청계천의 교량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모전교 - 광통교 - 광교 - 장통교 - 수표교 - 관수교 - 세운교 - 배오개다리 - 새벽다리 - 마전교 - 나래교 - 전태일다리(버들다리) - 오간수교 - 맑은내다리 - 다산교 - 영도교 - 황학교 - 비우당교 - 무학교 - 두물다리 - 고산자교 - [[수도권 전철 중앙선| 경의·중앙 ]]신답철교 - 제2마장교 - 사근용답간인도교 - 용답나들목교 - 중랑천 |
상류 → 하류 방향 | |
한강 | 북한강 | 남한강 | 중랑천 | 경안천 | 탄천 | 양재천 | 안양천 | }}}}}}}}} |
|
<colbgcolor=#006fb9> 무학교 |
1. 개요
無學橋/ Muhakgyo청계천의 다리이다. 청계광장 기준으로 청계천의 20번째 다리이다.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용두제2동 255번지와 성동구 하왕십리동 596번지 사이에 있다. 다리 위로는 무학로가 지난다.
2. 이름과 역사
조선 초기의 승려였던 무학대사의 호[1]에서 따온 도로 무학로가 지나는데에서 유래했다. 무학로의 이름은 무학대사가 도읍을 정하기 위해 여러 곳을 돌던 중 왕십리까지 왔다는 설화에서 유래하였다.조선 시대와 일제강점기에는 없었고 2000년대에 청계천 복원공사를 하면서 새로 지은 다리이다. 현대건설에서 시공했으며 2005년 9월 30일에 준공했다.
3. 구조
<colbgcolor=#006fb9> 무학교 구조물
강관트러스교량으로 하부는 강재아이빔으로 들보를 걸쳤다. 교각은 없다.
<colbgcolor=#006fb9> 무학교 알림표지판
다리 양 측면 중앙에 무학교 알림표지판이 있다. 짙은 회색 바탕에 흰 글씨이며 큰 글씨로 ‘무학교’라 쓰여있고 그 아래에는 로마자로 ‘Muhakgyo’라 적혀있다.
<colbgcolor=#006fb9> 청계천 산책로로 들어가는 무학교 진입로[2]
무학교의 동남쪽에 청계천 산책로를 오갈 수 있는 계단이 있다. 번호는 32번. 계단 하단에는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눈금이 그려져 있다.
4. 교통
4.1. 지하철
- 서울 지하철 2호선: 상왕십리역 2번 출구 (도보 11분)
- 서울 지하철 1 · 2호선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신설동역 9번 출구 (도보 12분)
- 서울 지하철 2호선: 용두역 5번 출구 (도보 15분)
4.2. 버스
- 이 곳을 참조.
5. 여담
<colbgcolor=#006fb9> 존치한 청계고가도로 교각
무학교와 비우당교 사이에 청계고가도로를 철거할 때 남긴 교각 3개가 있다. 청계고가도로의 역사적 의미를 남기기 위해서라고. 단, 잘 모르는 사람들에게는 흉물로 오인받는 모양이다.# 2013년 7월에는 〈서울미래유산〉으로, 2021년 9월에는 '활명수', '국회의사당 청사'와 함께 〈서울특별시 이달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받았다.#
<colbgcolor=#006fb9> 터널 분수[3]
청계고가도로 교각의 남쪽 벽면에 터널분수가 있다. 곡선을 그리며 나오는 물줄기가 꼭 터널같다해서 붙은 이름이다. 청계천 복원사업이 막바지이던 2005년 7월 20일에 서울특별시에서 시험가동했다.# 노즐 수는 42개이며 5m 높이의 석축에 50m 폭으로 설치되었다.# 16m 거리를 분사하는 터널 분수의 모습은 〈청계 8경〉 중 하나일 정도로 굉장히 멋있고 아름다운 풍경으로 꼽힌다. 4월부터 10월에는 오전 8시부터 오후 11시까지, 3월과 11월에는 오전 8시부터 오후 10시까지 가동한다. 겨울에는 추위로 인한 파손을 막기 위해 물이 나오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