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8 18:10:08

무학교

청계천의 교량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모전교 - 광통교 - 광교 - 장통교 - 수표교 - 관수교 - 세운교 - 배오개다리 - 새벽다리 - 마전교 - 나래교 - 전태일다리(버들다리) - 오간수교 - 맑은내다리 - 다산교 - 영도교 - 황학교 - 비우당교 - 무학교 - 두물다리 - 고산자교 - [[수도권 전철 중앙선|
경의·중앙
]]신답철교 - 제2마장교 - 사근용답간인도교 - 용답나들목교 - 중랑천
상류 → 하류 방향
한강 | 북한강 | 남한강 | 중랑천 | 경안천 | 탄천 | 양재천 | 안양천 }}}}}}}}}



파일:무학교.png
<colbgcolor=#006fb9> 무학교
1. 개요2. 이름과 역사3. 구조4. 교통
4.1. 지하철4.2. 버스
5. 여담

1. 개요

無學橋/ Muhakgyo

청계천다리이다. 청계광장 기준으로 청계천의 20번째 다리이다.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용두제2동 255번지와 성동구 하왕십리동 596번지 사이에 있다. 다리 위로는 무학로가 지난다.

2. 이름과 역사

조선 초기승려였던 무학대사의 호[1]에서 따온 도로 무학로가 지나는데에서 유래했다. 무학로의 이름은 무학대사가 도읍을 정하기 위해 여러 곳을 돌던 중 왕십리까지 왔다는 설화에서 유래하였다.

조선 시대일제강점기에는 없었고 2000년대청계천 복원공사를 하면서 새로 지은 다리이다. 현대건설에서 시공했으며 2005년 9월 30일에 준공했다.

3. 구조

4. 교통

4.1. 지하철

4.2. 버스

5. 여담


[1] 무학은 법명이 아니라 호이며, 실제 법명은 자초이다.[2] 사진 출처 - 카카오맵.[3] 사진 출처 - 서울특별시: 청계천, 〈청계천즐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