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천의 교량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모전교 - 광통교 - 광교 - 장통교 - 수표교 - 관수교 - 세운교 - 배오개다리 - 새벽다리 - 마전교 - 나래교 - 전태일다리(버들다리) - 오간수교 - 맑은내다리 - 다산교 - 영도교 - 황학교 - 비우당교 - 무학교 - 두물다리 - 고산자교 - [[수도권 전철 중앙선| 경의·중앙 ]]신답철교 - 제2마장교 - 사근용답간인도교 - 용답나들목교 - 중랑천 |
상류 → 하류 방향 | |
한강 | 북한강 | 남한강 | 중랑천 | 경안천 | 탄천 | 양재천 | 안양천 | }}}}}}}}} |
|
<colbgcolor=#006fb9> 맑은내다리 |
1. 개요
맑은내다리 / Malgeunnaedari청계천의 다리이다. 청계광장 기준으로 청계천의 15번째 다리이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신동 동대문B동 신발도매상가와 중구 신당동 동평화패션타운 사이에 있다.
2. 이름과 역사
이름은 청계천의 순우리말이다.[1]조선 시대와 일제강점기에는 없었고 2000년대에 청계천 복원공사를 하면서 새로 지은 다리이다. GS건설과 현대산업에서 시공했이며 2005년 9월 30일 준공했다.
3. 구조
- 길이 26.3m, 폭 13.5m 규모이다. 차량은 다닐 수 없고 오직 사람만 통행할 수 있다.
<colbgcolor=#006fb9> 맑은내다리 하부 구조[A]
강재박스형 구조이며 교각은 없다.
<colbgcolor=#006fb9> 맑은내다리 구조물[A]
아치형 구조물과 크로스 케이블을 둔 사장교 형식이다. 이 구조물은 마치 나비의 날개처럼 생겼다. 다리 주변이 의류 상권이기에 패션 중심 거리를 나타냄과 동시에 의류 시장이 힘차게 도약하길 바라는 의미라고 한다. 구조물 바깥 가장자리에 보행로가 있으며 각 보행로 사이는 비어있다.
<colbgcolor=#006fb9> 맑은내다리 난간과 알림표지판
난간은 철제로, 6줄짜리 일자형 선이 가로로 달려있으며 선 가운데에 수직으로 철제 곡선 기둥이 있는 형태이다. 다리 양 측면 중앙에 새벽다리 알림표지판이 있다. 짙은 회색 바탕에 흰 글씨이며 큰 글씨로 ‘맑은내다리’라 쓰여있고 그 아래에는 로마자로 ‘Malgeunnaedari’라 적혀있다.
<colbgcolor=#006fb9> 청계천 산책로로 들어가는 맑은내다리 경사로
맑은내다리의 동북쪽에 청계천 산책로를 오갈 수 있는 경사로가 놓여있다. 출입구 번호는 23번. 유모차 및 휠체어 이용자들이 편히 이용할 수 있게 경사로로 만들었다고 한다.#
4. 교통
4.1. 지하철
- 서울 지하철 1 · 4호선: 동대문역 7번 출구 (도보 6분)
- 서울 지하철 1 · 6호선: 동묘앞역 6번 출구 (도보 9분)
- 서울 지하철 2 · 6호선: 신당역 10번 출구 (도보 10분)
4.2. 버스
- 이 곳을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