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단어
1.1. 車道, 차가 다니는 길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도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도로#|]][[도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차도와 보도가 구분되어 있는 도로 중 차의 통행이 목적인 구역을 말한다. 반댓말은 당연히 인도(人道)이다.
법적으로 차도란 차로와 길어깨 부분을 합친 영역 전부를 말한다.
일반적인 차도는 모든 차가 다닐 수 있다. 차에는 자동차, 이륜자동차, 자전거, 손수레, 마차, 건설기계, 농기계 등 바퀴가 달리고 인력이나 동력으로 움직이는 운송수단을 말하기 때문이다. 말이나 소 같은 운송 가축도 차도를 통행할 수 있다. 그러나 '자동차도' 즉 자동차전용도로에서는 자동차만 다닐 수 있다. 이륜자동차도 자동차에 포함되지만 한국에서는 자동차전용도로를 통행할 수 없다.
1.2. 差度, 차이가 나는 정도
주로 질병의 증상에 대하여 이전에 비해 나아졌는지를 가리키는 말로 쓴다. '차도가 없다'라는 말은 증상이 나아지지 않았다는 뜻이다. 한자 의미와는 달리 '더 심해지지 않았으니 다행이다'라는 의미로는 잘 쓰이지 않는다.1.3. 茶道
전통차를 마실 때 지키는 법도.1.4. 遮道
다니지 못하도록 길을 막음.2. 축약어
2.1. 차도, 메이플스토리의 지역 차원의 도서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차원의 도서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차원의 도서관#|]][[차원의 도서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2. 차도, JTBC 교양 프로그램 차이나는 도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차이나는 도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차이나는 도올#|]][[차이나는 도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