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2 11:14:42

몽강군


[[일본군|
파일:일본 황실.svg
일본군
日本軍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파일:일본 제국 육군기.svg
대일본제국 육군
大日本帝國陸軍
파일:일본 제국 해군기.svg
대일본제국 해군
大日本帝國海軍
<rowcolor=#FFF>

||<-3><tablewidth=100%><bgcolor=#B0313F><tablebgcolor=#FDFEFA,#2D2F34><colcolor=#FFF> 관련 문서 ||
<colbgcolor=#B0313F> 정보·역사 검술 · 군가 · 군복 · 계급 · 무기 목록 · 역사 · 대본영 · 연합국 코드명 · 욱일기 · 진수부 · 함대결전사상 · 해군반성회 · 해군선옥론 · 731부대 · 의열공정대 · 해군성 · 육군성
병역 일본군의 소집 · 징병제 · 병역법
편제 육군 관동군 만주군 · 조선군 · 대만군 · 남방군 · 항공총군 · 몽강군 · 화평건국군 · 베트남 제국군 · 인도 국민군
해군 연합함대 · 제1함대 · 88함대 · 수뢰전대 · 제2 수뢰전대 · 343 해군항공대
무기체계 일본군/무기체계 · 일본군/무기체계/원인 · 일본군/무기체계/육군 · 일본군/무기체계/해군
전술 반자이 돌격 · 대전차총검술 · 카미카제 · 신멸작전 · 대륙타통작전
인물 인물 · 포로 · 전후 패잔병 · 삼간사우 · 삼대오물 · 조선인 일본군
철도 남만주철도주식회사 · 조선총독부 철도국
교육기관 일본육군사관학교 · 일본해군병학교 · 육군대학교 · 육군항공사관학교 · 나카노 학교 · 총력전 연구소
식민지 및 통치기관 조선(조선총독부) · 대만(대만총독부) · 가라후토(가라후토청) · ▤관동주(관동청)
논란 일본군/문제점 · 일본의 전쟁범죄 · 야스쿠니 신사 · 일본군의 육해군 대립 · 일본군 위안부
▤ : 만주국 관련 문서

||<-2><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DFEFA,#2D2F34><bgcolor=#B0313F> 장비 둘러보기 틀 ||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군 기갑차량 · 보병장비 · 화포 · 함선(1차 대전) · 함선(2차 대전) · 항공병기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군 기갑차량 · 보병장비 · 함선(2차 대전) · 항공병기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bgcolor=#B0313F> 관련 틀 ||
군가 · 식민지 · 괴뢰국 · 군정청 · 일본군의 전쟁 범죄
}}}}}}}}} ||
파일:Menjiang_Flag_(1936)_svg.png
몽강국군의 군기(軍旗)[1]

파일:0a375f1c53d0253ee77a03cb71252f10.jpg

1. 개요2. 역사3. 편제4. 해체5. 주몽군6. 군종
6.1. 육군6.2. 민병대

[clearfix]

1. 개요

몽강국의 군대

만주군과 마찬가지로 몽골인은 커녕 한족과 일본인으로만 구성되었다.

화평건국군은 몽강군의 상급부대다.

2. 역사

초기에는 군의 대부분이 기병으로 9개 사단과 4개 여단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9개 사단 중 8개 사단이 기병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그러나 루거우차오 사건 이후에 치명타를 입어 군이 괴멸되다시피하여 총 2만 명의 소규모 사단으로 재편제되었고, 39년 자치정부 수립 이후에는 군대가 다시금 재편되어 5개 사단과 3개 연대를 거느렸지만, 거의가 민병대였으며, 전차비행기는 단 한대도 없었고 기관총 등의 소화기만 소유하고 있었다.

소련군의 만주 전략 공세 작전 직전에는 2개 보병사단, 4개 기병사단, 3개의 한족 독립여단, 1개의 경비연대를 보유하게 되지만, 여전히 무장은 소화기 정도에 그쳤다. 이 빈약한 무장을 지닌 몽강군은 만주 전략 공세 작전에서 당연하게도 몽강군과 비교해서 전차와 비행기를 보유하며 압도적으로 훌륭한 무장을 갖춘 정규군인 소련-몽골 연합의 기병-기계화 집단을 막지 못하고 전부 무너졌다.

3. 편제

몽강군 편제

4. 해체

전투 이후 남은 장병들은 만주군, 화평건국군이 그랬듯이 이들 또한 항복 이후 각자 국부군중국공농홍군으로 알아서 갈아탔다.

5. 주몽군

몽강국에 주둔 하던 일본군으로 참고

6. 군종

6.1. 육군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몽강국군 보병장비
파일:몽강연합자치정부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color=#373a3c> 제2차 세계 대전
파일:Menjiang_Flag_(1936)_svg.png 몽강군보병장비
개인화기 <colcolor=#373a3c>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88식 소총, 30년식 소총, 38식 소총, 99식 소총
기관단총 MP18, M1920
권총 26년식 권총, 마우저 C96, 남부 권총, 루거 P08
지원화기 기관총 루이스 경기관총, 11년식 경기관총, Vz.26, 92식 중기관총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몽강연합자치정부 국기.svg 몽강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6.2. 민병대


[1] 몽골 군사정부의 기와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