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D5AE59,#AF8D3E> ◐ | 바둑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D5AE59,#AF8D3E><colcolor=#000,#FFF> 규칙 | 국가별 룰 · 초읽기 · 접바둑 · 덤 · 착수금지 | |
기초 원리 | 활로(단수) · 따냄 · 집 · 행마 | ||
기본 형태 | 축 · 패 · 자충 · 빅 · 장문 · 촉촉수 · 환격 · 후절수 · 귀곡사 · 공배 · 궁도 | ||
특수 형태 | 장생 · 삼패 · 진신두 | ||
대국 흐름 | 포석 · 정석 · 끝내기 · 계가 · 복기 · 기보 | ||
수읽기 | 먹여치기 · 사활 · 수상전 · 수나누기 · 교환 · 맞보기 | ||
도구 | 바둑판 · 바둑돌 · 인공지능 · 101weiqi | ||
사람 및 기관 | 바둑 기사 · 품계 · 기원 · 한국기원 · 대한바둑협회 · 일본기원 · 관서기원 · 중국기원 · 바둑 기전 | ||
프로젝트 | 나무위키 바둑 프로젝트 | ||
기타 | 용어 · 격언 · 특징 · 화점 | }}}}}}}}} |
1. 개요
촉촉수/연단수/몰아떨구기(한국어), 接不归(중국어), [ruby(追い落とし, ruby=オイオトシ)](일본어), Connect and die(영어)바둑에서 바둑돌을 이어도 단수가 연속으로 이어져 죽는 형태. 지그재그로 단수를 이어가는 축하고는 다르게 구분된다.
2. 기본 원리
단수 상태에 몰린 돌을 다른 돌과 잇게되면 일반적으로는 활로가 늘어나지만 활로가 늘어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위 형태에서 단수에 몰린 백 3점을 이으면 어떻게 될까?
돌을 이어도 여전히 단수에 몰려있기 때문에 바로 잡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돌을 이어도 단수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는 형태를 촉촉수라고 한다. 촉촉수에 몰린 돌은 그 자리에 두 번 이상 가일수하지 않는 한 살릴 수 없기 때문에 중요한 돌이 촉촉수에 몰리지 않게 하는 편이 좋다.
일반적으로 촉촉수는 단수 상태가 이어지는 형태를 의미하지만, 단수 상태가 바로 이어지지는 않더라도 확정적으로 죽는 단수가 이어지는 형태도 촉촉수라고 한다. 위 참고도에서 백 ▲를 이으면 이은 상태에서 바로 단수에 몰리지는 않지만 흑이 끊어서 1수만에 잡히는 형태가 만들어진다. 이 경우 백 ▲도 촉촉수에 몰렸다고 할 수 있다.
촉촉수는 실전에서도 자주 나오기 때문에 간단한 형태에서부터 꽤 복잡한 형태까지 익혀두는 것이 좋다. 환격, 수상전, 사활 등과 함께 초급자가 촉촉수를 못 봐서 상급자에게 털리는 경우가 자주 나온다.[1] 어느 정도 단계까지 올라가면 판이 망할 정도로 규모가 큰 촉촉수는 서로 당하지 않지만 알고도 당하거나 일부러 당해야 하는 촉촉수도 있어서 묘미가 있다.
3. 먹여치기와 촉촉수
촉촉수는 먹여치기와 굉장히 연관이 큰 형태다. 먹여치기 없이 성립되는 촉촉수도 많지만, 먹여치기를 해야 촉촉수가 성립되는 형태도 굉장히 많기 때문. 위 참고도의 흑이 둘 차례에서 백 ▲ 두 점을 잡는다고 해보자.
그냥 정직하게 왼쪽에서 막으면 백이 테트리스 Z미노 모양으로 이었을 때 흑이 단수를 쳐야하는 X 자리가 호구 모양이 되어 단수를 칠 수 없는 것을 볼 수 있다. 흑이 백돌을 그냥 잡을 수 없으므로 실패.
그래서 이 때는 먹여치기를 이용해서 백이 호구를 만들지 못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먹여치기를 한 뒤 백을 막으면 원래 호구가 되어야 할 자리에 백 2가 오게되어 뒤의 백돌이 촉촉수로 잡힌다. 이와 같이 먹여치기나 1선~2선의 돌을 끊어서 잡는 형태의 촉촉수가 많으며, 회돌이축 등 다른 형태와 결합되어있는 형태의 몰아떨구기도 가끔 나온다.
4. 호리병
촉촉수 중에서도 별도 명칭이 있는 유명한 형태. 백이 둘 차례라고 했을 때, 위 참고도에서 흑의 형태에 주목하자. 아래에 있는 흑 3점을 잡을 수 있을까?
흑의 연결을 추궁하려면 한 칸 뛴 자리에 끼우는 수밖에 없는데, 얼핏 보기에는 위의 흑 1점 때문에 끼운 돌이 단수에 몰려서 흑을 잡을 수 없을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흑이 백돌을 단수쳤을 때 잇는 것이 아니라 3의 자리로 역으로 끊는 것이 가능하다. 흑이 백 1을 따내더라도 5로 단수치면 흑이 5점을 이어도 단수 상태가 유지되는 촉촉수가 만들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위쪽이 좁아지는 형태로 돌을 몰아잡는 형태에서 호리병이라는 명칭이 붙었다.
흑의 입장에서 흑 3점을 살리려면 조건이 필요하다. 흑 ▲처럼 백 포위망의 활로를 메우는 것이 그 조건. 1처럼 빈삼각으로 두어 활로가 적은 쪽의 백에 기대면 백돌을 단수치면서 나갈 수 있다.
흑돌이 있더라도 한 칸 뛰어서 나가려는 것은 성립하지 않는다. 왼쪽 아래의 흑돌이 있건 없건 백이 끼워서 촉촉수로 유도하는 것을 막을 수 없다. 한 칸 뛰어서 나가려면 흑에게 다른 조건이 필요하다.
5. 기타
'촉'이라는 음가를 가진 한자는 觸(닿을 촉), 燭(촛불 촉), 矗(우거질 촉) 등이 있지만 여기의 촉촉은 순우리말이다.[1] 특히 정석에서 함정수를 못 보고 촉촉수를 당하는 경우가 잦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