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nt-weight: bol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CC00>세대 | 작품 | ||||||
<colbgcolor=#FFCC00><colcolor=#3861AD,#527AC7>히카루 | 1 퍼팩트 에디션/진형 | |||||||
잇키 | 2 弐CORE | 3 | 4 | |||||||
코이시마루 | 5 | |||||||
아즈마 | DS | 7 | |||||||
솔트 | 8 | |||||||
텐마 | 9 | }}}}}}}}} | ||||||
외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nt-weight: bol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CC00>세대 | 작품 | ||||||
<colbgcolor=#FFCC00><colcolor=#3861AD,#527AC7>PS | R | |||||||
TCG | 카드로보틀 | |||||||
GBA | navi | G | |||||||
GC | BRAVE | |||||||
3DS | DUAL | 걸즈 미션 | |||||||
모바일 | S | }}}}}}}}} | ||||||
합본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nt-weight: bol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CC00>세대 | 작품 | ||||||
<colbgcolor=#FFCC00><colcolor=#3861AD,#527AC7>3DS | 클래식스 | |||||||
Switch | 클래식스 플러스 | }}}}}}}}} | ||||||
미디어 믹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nt-weight: bol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CC00>세대 | 작품 | ||||||
<colbgcolor=#FFCC00><colcolor=#3861AD,#527AC7>TVA | 메다로트 | 혼 | }}}}}}}}} | ||||||
등장인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nt-weight: bol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CC00>세대 | 주요 등장인물 | ||||||
본판 | 아가타 히카루 | 아키타 키라라 | 아키하바라 나에 | 니모사쿠 유우키 | 패디 | |||||||
2~4 | 텐료 잇키 | 아마자케 아리카 | 카라쿠치 코우지 | 준마이 카린 | 아가타 히카루괴도 레토르트 | |||||||
5 | 코이시마루 | |||||||
DS,7 | 아즈마 | |||||||
8 | 솔트 | |||||||
9 | 텐마 |
메다로트 (1999~2000) メダロット | |||
<nopad> | |||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212529,#e0e0e0> 장르 | SF | |
원안 | 메다로트사(メダロット社) | ||
감독 | 오카무라 텐사이 | ||
감독 보좌 | 하마나 타카유키 | ||
시리즈 구성 | 야마구치 료타(山口亮太) | ||
캐릭터 디자인 | 마츠타케 토쿠유키 | ||
메카 디자인 | 스즈키 히로후미 | ||
미술 감독 | 코야마 토시히사(小山俊久) | ||
색채 설계 | 코바야시 미요코(こばやしみよこ) | ||
촬영 감독 | 모리시타 세이이치(森下成一) 타케하라 켄지(武原健二) | ||
편집 | 모리타 세이지(森田清次) →사카모토 마사노리(坂本雅紀) | ||
녹음 연출 | 미츠야 유지 | ||
음향 연출 | 에비나 야스노리(蝦名恭範) | ||
음악 | 테즈카 오사무(手塚 理) | ||
기획 | 스기야마 유타카(杉山 豊) | ||
프로듀서 | 구시마 토모코(具嶋朋子)테레비 도쿄 마츠시타 요코(松下洋子) | ||
라인 프로듀서 | 호리카와 켄지 | ||
애니메이션 제작 | BEE TRAIN | ||
제작 | 테레비 도쿄 NAS | ||
방영 기간 | 1999. 07. 02. ~ 2000. 06. 30. | ||
방송국 | |||
편당 러닝타임 | 24분 | ||
화수 | 52화 | ||
시청 등급 |
1. 개요
1999년 7월 2일부터 2000년 6월 30일까지 테레비 도쿄계 채널에서 총 52화가 방영되었다. 애니메이션 제작은 BEE TRAIN. 감독은 오카무라 텐사이. 그림체가 단순해서 작화가 좋은 애니라는 인식이 별로 없는 편. 하지만 잘 들여다보면 연출과 작화가 엄청난 작품이다. 마츠타케 토쿠유키, 이마이시 히로유키, 마사유키, 히라마츠 타다시, 이노우에 토시유키, 스즈키 히로후미, 오카무라 텐사이, 오오츠카 마사히코, 코가와 토모노리, 안도 마사히로(安藤真裕), 카미야마 켄지, 야나기사와 마사히데, 코니시 켄이치, 요시하라 마사유키, 오오츠카 신지, 키자키 후미노리, 이소 미츠오, 모리오카 히데유키, 미야자와 야스노리 등 1류 스태프들이 참여했다. 그림체가 단순한 만큼 실력있는 애니메이터에게 작화감독이 아닌 연출이나 러프 원화를 담당하게 해서 액션의 품질을 높였다. 스토리의 평도 좋고 명작으로 꼽힌다.제작 데스크가[1] 호리카와 켄지인데[2] 인랑과 같은 사람이라 애니메이터를 많이 알고 있었고 그 애니메이터들이 또 자신의 인맥을 끌고와서 이렇게 대단한 애니메이터가 모였다고 한다. 원래 4쿨 예정이 아니었으나 반응이 좋아 4쿨로 연장되었다.
한국에서는 2005년 챔프TV 개국 시기에 방영하였으며, 후에 재능방송에서도 방영한 듯 하다. 성우진은 이선호, 정미숙, 양석정 등이 참여했다.
2. 줄거리
인간과 로봇의 우정과 모험을 그린 명작.
인간과 로봇이 공존하는 근미래. 아이들 사이에서는 '로보틀'이라는 메다로트로 겨루는 경기가 유행하고 있다. 잇키는 우연한 계기로 메다로트의 생명이 되는 레어 메달을 주워, "메타비"라고 하는 메다로트를 만난다. 두 사람이 지혜, 용기, 우정으로 로봇 배틀에 맞서 나가는 우정과 성장 이야기.
반다이 채널 소개문
인간과 로봇이 공존하는 근미래. 아이들 사이에서는 '로보틀'이라는 메다로트로 겨루는 경기가 유행하고 있다. 잇키는 우연한 계기로 메다로트의 생명이 되는 레어 메달을 주워, "메타비"라고 하는 메다로트를 만난다. 두 사람이 지혜, 용기, 우정으로 로봇 배틀에 맞서 나가는 우정과 성장 이야기.
반다이 채널 소개문
3. 등장인물
문서 참조.4. 주제가
4.1. 오프닝
OP 知恵と勇気だ! メダロット | |||
TV ver.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타케우치 준코 | ||
작사 | 나고야 츠카사(名古屋 司) | ||
작곡 | |||
편곡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작화감독 | 마츠타케 토쿠유키 스즈키 히로후미 | |
원화 | 이노우에 토시유키, 안도 마사히로(安藤真裕) |
| |
|
4.2. 엔딩
ED やっぱり君が好き! | |||
TV ver.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센다이 에리 | ||
작사 | 카와나 미도리(川菜 翠) | ||
작곡 | 카와나 미도리(川菜 翠) 나고야 츠카사(名古屋 司) | ||
편곡 | 나고야 츠카사(名古屋 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원화 | 스즈키 히로후미 |
| |
|
5. 회차 목록
<rowcolor=#373a3c,#dddddd> 회차 | 제목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제1화[5] | うごけ! ポンコツメダロット 움직여라! 고물 메다로트 | 야마구치 료타 (山口亮太) | 오카무라 텐사이 | 후루카와 히사키 (古川尚哉) | 日: 1999.07.02. 韓: | |
제2화 | 逆襲のスクリューズ 역습의 스크류즈 | 사카타 준이치 | 이리에 켄지 (入江健司) | 日: 1999.07.09. 韓: | ||
제3화[6] | 男の夢は体力だ 남자의 꿈은 체력이다 | 소고 마사시 (十川誠志) | 이타니 키요타카 (井硲清高) | 타카기 시게키 (高木茂樹) | 오카 타츠야 (岡 辰也) | 日: 1999.07.16. 韓: |
제4화 | 伝説のメダロッター 전설의 메다로터 | 요시다 레이코 | 오카무라 텐사이 | 아리에 유키 (有江勇樹) | 모리오카 히데유키 | 日: 1999.07.23. 韓: |
제5화 | 海よ今日もありがとう 바다여 오늘은 고맙다 | 토키무라 나오 (時村 尚) | 타카무라 카즈히로 사에키 쇼지 | 타카기 시게키 | 하마나 타카유키 | 日: 1999.07.30. 韓: |
제6화 | 宇宙人だロボ!! 우주인이다 로봇!! | 야마구치 료타 | 袋小路昌和 | 오오츠카 마사히코 | 박형인 (朴炯仁) 모리오카 히데유키 | 日: 1999.08.06. 韓: |
제7화 | 暗闇に消えたメダル 암흑에 사라진 메달 | 우에다 코지 (植田浩二) | 히라마츠 타다시 | 아리에 유키 | 미야지 사토코 (宮地聡子) | 日: 1999.08.13. 韓: |
제8화 | 迷子のメダロット 고아 메다로트 | 요시다 레이코 | 사카타 준이치 | 후루카와 히사키 | 日: 1999.08.20. 韓: | |
제9화[7] | 吠えろ! シアンドッグ 짖어라! 시안도그 | 우에다 코지 | 요시하라 마사유키 | 이리에 켄지 | 日: 1999.08.27. 韓: | |
제10화 | 嵐のロボトルトーナメント 폭풍의 로보틀 토너먼트 | 야마구치 료타 | 이타니 키요타카 | 타카기 시게키 | 오카 타츠야 | 日: 1999.09.03. 韓: |
제11화 | メタビー、グレる 메타비, 비뚤어지다 | 칸베 마모루 | 세키구치 마사히로 (関口雅浩) | 日: 1999.09.10. 韓: | ||
제12화 | その名はロクショウ 그 이름은 로쿠쇼 | 소고 마사시 | 요시하라 마사유키 | 아리에 유키 | 하마나 타카유키 | 日: 1999.09.17. 韓: |
제13화 | キクヒメの恋 키쿠히메의 사랑 | 요시다 레이코 | 마사유키 | 니시무라 사토시 (西村智史) | 미야지 사토코 | 日: 1999.09.24. 韓: |
제14화[8] | 忍びが通る 살그머니 지나가다 | 토키무라 나오 | 이마이시 히로유키 | 日: 1999.10.01. 韓: | ||
제15화 | キン・タロー注意報 킨 타로 주의보 | 사토 유조 | 카시야마 토시유키 (樫山聡之) | 코가와 토모노리 | 日: 1999.10.08. 韓: | |
제16화 | 花ことばはロボトル 꽃말은 로보틀 | 요시다 레이코 | 사카타 준이치 | 오카 타츠야 | 日: 1999.10.15. 韓: | |
제17화 | レトルト危機一髪! 레토르트 위기일발! | 우에다 코지 | 쿠스네 아키라 (楠根 彰) | 스기타니 코이치 (杉谷光一) | 이리에 켄지 | 日: 1999.10.22. 韓: |
제18화 | ロボトル禁止令! 로보틀 금지령! | 후루카와 히사키 | 니시무라 사토시 | 후루카와 히사키 | 日: 1999.10.29. 韓: | |
제19화 | ピンゲン南へ… 펭귄 남쪽으로… | 소고 마사시 | 카미야마 켄지 | 요시하라 마사유키 | 쿠보 사토시 (窪 敏) | 日: 1999.11.05. 韓: |
제20화 | レアメダルを奪え! 레어 메달을 뺏어라! | 야마구치 료타 | 사토 유조 | 카시야마 토시유키 | 하마나 타카유키 | 日: 1999.11.12. 韓: |
제21화 | 潜入! メダロット社 잠입! 메다로트사 | 오카무라 텐사이 | 니시무라 사토시 | 미야지 사토코 | 日: 1999.11.19. 韓: | |
제22화 | 翔べ! メタビー 날아라! 메타비 | 우에다 코지 | 안도 마사히로 (安藤真裕) | 타다 슌스케 카와구치 히토시 (川口 仁) | 이리에 켄지 | 日: 1999.11.26. 韓: |
제23화 | 風と火の記憶 바람과 불의 기억 | 소고 마사시 | 요시하라 마사유키 | 오카 타츠야 | 日: 1999.12.03. 韓: | |
제24화 | ロボトル舞踏会 로보틀 무도회 | 토키무라 나오 | 사카타 준이치 | 카시야마 토시유키 | 와시다 토시야 (鷲田敏也) | 日: 1999.12.10. 韓: |
제25화 | 激突! メタビー対ロクショウ 격돌! 메타비 VS 로쿠쇼 | 야마구치 료타 | 코가와 토모노리 | 日: 1999.12.17. 韓: | ||
제26화[9] | メダフォース発動 메다포스 발동 | 오카무라 텐사이 | 후루카와 히사키 | 모리오카 히데유키 | 日: 1999.12.24. 韓: | |
제27화 | 発表! ロボトルランキング 발표! 로보틀 랭킹 | 사토 유조 | 아리에 유키 | 쿠보 사토시 | 日: 2000.01.07. 韓: | |
제28화 | たこ焼き大作戦! 타코야키 대작전! | 소고 마사시 | 쿠스네 아키라 | 오카무라 텐사이 | 오카 타츠야 | 日: 2000.01.14. 韓: |
제29화 | 雪だるまが来た 눈 다루마가 왔다 | 토키무라 나오 | 안도 마사히로 (安藤真裕) | 아리에 유키 | 하마나 타카유키 | 日: 2000.01.21. 韓: |
제30화 | 捨て犬のブルース 버림받은 개의 블루스 | 야마구치 료타 | 사카타 준이치 | 이리에 켄지 | 日: 2000.01.28. 韓: | |
제31화 | りんたろう参上! 린타로 등장! | 오카무라 텐사이 | 타다 슌스케 | 미야지 사토코 | 日: 2000.02.04. 韓: | |
제32화 | 宇宙からの使者? 우주에서 온 사자? | 카시야마 토시유키 | 오카 타츠야 | 日: 2000.02.11. 韓: | ||
제33화 | ロボトルに架ける橋 로보틀에 걸친 다리 | 우에다 코지 | 사카타 준이치 | 아리에 유키 | 와시다 토시야 (鷲田敏弥) | 日: 2000.02.18. 韓: |
제34화 | 奥義! シャドウソード 오의! 섀도우 소드 | 소고 마사시 | 카미야마 켄지 | 코가와 토모노리 | 日: 2000.02.25. 韓: | |
제35화 | 囚われたチドリ! 붙잡힌 치도리! | 토키무라 나오 | 오카무라 텐사이 | 타다 슌스케 | 이리에 켄지 | 日: 2000.03.03. 韓: |
제36화[10] | さらば宇宙メダロッターX 안녕 우주 메다로터 X | 야마구치 료타 | 요시하라 마사유키 | 미야지 사토코 | 日: 2000.03.10. 韓: | |
제37화 | 決戦! ミヤマ遺跡 결전! 미야마 유적 | 우에다 코지 | 테라히가시 카츠미 (寺東克己) | 카시야마 토시유키 | 하마나 타카유키 | 日: 2000.03.17. 韓: |
제38화 | メタビーをとり戻せ! 메타비를 되찾아라! | 야마구치 료타 | 니시무라 히로유키 | 아리에 유키 | 오카 타츠야 | 日: 2000.03.24. 韓: |
제39화 | 灼熱の最終ロボトル 작열의 최종 로보틀 | 오카무라 텐사이 | 타다 슌스케 | 와시다 토시야 | 日: 2000.03.31. 韓: | |
제40화 | 開幕! 世界大会 개막! 세계 대회 | 소고 마사시 | 사카타 준이치 | 아베 이사무 (阿部 勇) | 세키구치 마사히로 (関口雅弘) | 日: 2000.04.07. 韓: |
제41화 | 一回戦から大波乱! 1회전의 대파란! | 토키무라 나오 | 카미야마 켄지 | 미야지 사토코 | 日: 2000.04.14. 韓: | |
제42화 | ルパン三兄弟七変化 루팡 3형제 7변화 | 우에다 코지 | 코가와 토모노리 | 카시야마 토시유키 | 코가와 토모노리 | 日: 2000.04.21. 韓: |
제43화 | 踊る! 大おやびん 춤추는 대두목 | 요시다 레이코 | 안도 마사히로 (安藤真裕) | 호시아이 타카히코 (星合貴彦) | 이리에 켄지 | 日: 2000.04.28. 韓: |
제44화 | アイドルにご用心! 아이돌에는 주의를! | 야마구치 료타 | 요시나가 나오유키 (吉永尚之) | 오카무라 텐사이 | 오카 타츠야 | 日: 2000.05.05. 韓: |
제45화[11] | 強敵! エジプトの女王 강적! 이집트 여왕 | 타치바나 마사키 | 하마나 타카유키 | 日: 2000.05.12. 韓: | ||
제46화 | 華麗なるジョー 화려한 조 | 사카타 준이치 | 모리오카 히로시 (守岡 博) | 코가 마코토 | 日: 2000.05.19. 韓: | |
제47화 | 北から来た少年 북에서 온 소년 | 소고 마사시 | 요시하라 마사유키 | 에모리 마리코 (江森真理子) | 日: 2000.05.26. 韓: | |
제48화 | 孤独なライオン 고독한 라이온 | 요시다 레이코 | 카미야마 켄지 | 미야지 사토코 | 日: 2000.06.02. 韓: | |
제49화[12] | 世界大会決勝 세계 대회 결승 | 우에다 코지 | 안도 마사히로 (安藤真裕) | 이리에 켄지 사토 마사히로 | 日: 2000.06.09. 韓: | |
제50화 | よみがえる悪夢 되살아나는 악몽 | 야마구치 료타 | 사카타 준이치 | 오카 타츠야 | 日: 2000.06.16. 韓: | |
제51화 | 夢の途中 꿈의 도중 | 오카무라 텐사이 | 스즈키 히로후미 | 日: 2000.06.23. 韓: | ||
제52화[13] | 史上最大のロボトル 역사상 최대의 로보틀 | 요시하라 마사유키 | 마츠타케 토쿠유키 | 日: 2000.06.30. 韓: |
6. 여담
- 5화까지의 더빙판이 남아있었지만 사라져 로스트 미디어가 되었다. 이 때문에 등장인물의 한국명을 제대로 알 수 없다.
- 1기에 등장한 주요 인물의 대부분이 2기에선 등장하지 않는다.
[1] 제작진행의 리더[2] 훗날의 P.A.WORKS의 대표이사.[3] 一騎討(잇키우치)와 주인공 텐료 잇키의 이름을 사용한 언어 유희로 보인다.[4] 주인공 텐료 잇키를 향한 말로도 해석될 수 있다.[5] 원화 요시나리 요우, 이마이시 히로유키, 스나다 시게키(砂田茂樹), 요시가키 유스케, 코가 마코토, 스즈키 히로후미 등.[6] 원화 스즈키 타쿠야, 스즈키 타츠야, 호시 카즈노부(星 和伸), 마츠모토 노리오, 스즈키 유키에 등.[7] 원화 오오츠카 신지, 니시오 테츠야, 마츠모토 노리오, 사토 마사히로, 사노 타카시 등.[8] 원화 오구라 노부토시, 요시가키 유스케, 스에토미 신지, 사에키 쇼지 등.[9] 원화 야나기사와 마사히데, 요시나리 요우, 니시오 테츠야, 스즈키 히로후미, 사노 타카시, 모리오카 히데유키, 후루카와 히사키(古川尚哉), 이소 미츠오논크레딧 등.[10] 원화 이타노 이치로, 타치바나 히데키, 사노 타카시, 스즈키 히로후미, D.A.S.T 등.[11] 원화 이타노 이치로, 미야자와 야스노리, 겐마 노부히코, D.A.S.T 등.[12] 원화 쿠와나 이쿠오, 나카무라 유타카, 이토 요시유키, 사토 마사히로, 츠쿠마 타케노리(津熊健徳), 요시다 타카히코(吉田隆彦), 미야와키 치즈루((宮脇千鶴) 등.[13] 원화 안도 마사히로(1967), 이노우에 에이(井上 鋭), 이노우에 토시유키, 오오츠카 켄, 오오츠카 신지, 키자키 후미노리, 사토 마사히로, 타카다 아키라, 나카무라 유타카, 니시오 테츠야, 요시다 타카히코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