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06 11:58:42

리조트

🛏️ 숙박 시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colbgcolor=#B22222><colcolor=#fff> 공통 호텔 · 모텔 · 리조트 · 콘도미니엄 · 풀빌라 · 호스텔 · 게스트하우스 · 기숙사 · 셰어하우스 · 여관
국내 민박 · 펜션 · 찜질방 · 템플 스테이 · 한옥호텔 · 자연휴양림 · 주막
해외 한인 민박 · 알베르게 · 료칸 · 홈스테이
기타 캠핑장 · 글램핑 · 노숙
}}}}}}}}} ||

파일:ㅇㅍㅅㅇㄹㅈㅌ.jpg
대한민국 평창알펜시아 리조트

1. 개요2. 특징
2.1. 위치2.2. 시설
3. 리조트 브랜드4. 지역별 리조트 목록
4.1. 인천광역시4.2. 경기도4.3. 강원특별자치도4.4. 부산광역시4.5. 울산광역시4.6. 경상남도4.7. 경상북도4.8. 충청남도4.9. 충청북도4.10. 전라남도4.11. 전북특별자치도4.12. 제주특별자치도

1. 개요

Resort[1]

여가 시설과 숙박시설을 함께 갖춘 체류형 휴양 시설.

휴양지라고도 한다. 근로시간 단축, 소득 증가로 여가를 즐기려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숙박 수요와 여가 수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리조트가 증가하였다.

2. 특징

2.1. 위치

숙박을 목적으로 하는 호텔과는 달리 여가를 중점에 두기 때문에 주로 도심 생활권과는 떨어진 바다 근처나 산 근처와 같은 자연 속에 건설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이유로 교통편이 좋지 않기 때문에 주로 자가용을 이용하거나 셔틀버스로 오게 된다.

2.2. 시설

여가 시설과 숙박 시설을 합친 만큼 타 숙박 시설보다 시설이 풍부하다. 큰 부대 시설을 하나만 끼고 있는 경우도 있지만 스키장, 골프장, 테마파크, 워터파크 등의 큼직한 부대시설을 여러 개 운영하고 있는 대형 리조트들도 있다.

3. 리조트 브랜드

4. 지역별 리조트 목록

리조트 목록에 표시되는 리조트 시설 분류이다.

4.1. 인천광역시

4.2. 경기도

4.3. 강원특별자치도

4.4. 부산광역시

4.5. 울산광역시

4.6. 경상남도

4.7. 경상북도

4.8. 충청남도

4.9. 충청북도

4.10. 전라남도

4.11. 전북특별자치도

4.12. 제주특별자치도



[1] 콘도미니엄(Condominium)은 리조트 내에 위치한 숙박 시설 형태 중 하나이다.[2] 사이판, 가면 꼭 간다는 PIC리조트가 이 브랜드 소유이다.[3] 리조트 사업을 위한 자회사 HDC리조트가 있다.[4] 설악 쏘라노 (본관) 과 같은 부지에 있는 다른 건물이 아닌, 아예 다른 부지에 있는 별도 로 운영되고 있는 리조트이다.[5] 육상레저시설의 경우 일반적인 인식에서의 육상레저스포츠시설이라 볼 수 있는 것이 거의 없지만, 육상구기종목이라 할 수 있는 축구가 가능한 평창알펜시아 스포츠파크 내의 메인스타디움이 있으므로 편의상 기술.[6] 레지던스동 기준. 말이 레지던스지 사실상 리조트라고 볼수있다.[7] 애초에 쏠비치가 리조트 브랜드는 맞으나, 쏠비치 남해의 경우 5성급 호텔을 지향하고 만들어 리조트라기에 애매한 감이 있긴 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