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2 18:13:22

룩 카스타뇨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68b3><tablebgcolor=#0068b3> 파일:1. FC 마그데부르크 로고.svg
}}} ||
1 라이만 · 2 피치니 · 3 호티 · 4 조고비치 · 5 로렌스 · 6 엘파들리 · 7 보크호른 · 8 아르슬란 · 9 카스타뇨스 · 10 체카
11 엘한쿠리 · 12 할부니 · 13 크렘피츠키 · 14 프란츠케 · 15 헤버 · 16 파비슈 · 17 놀렌베르거 · 18 쿠히냐 · 19 벨벨 · 21 뮐러 · 23 아티크
24 위고네 · 25 냐카 · 26 슐러 · 27 카쿠탈루아 · 29 [[아마라 콩데|콩데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65B6; font-size: .8em"]] · 30 크루트 · 34 차헤드 · 35 코르슈 · 37 이토 · 42 폴러스베크
파일:독일 국기.svg 크리스티안 티츠
파일:독일 국기.svg S. 방케르트 · 파일:독일 국기.svg K. 발리체크 · 파일:독일 국기.svg A. 킬리안 · 파일:스위스 국기.svg D. 비드머
파일:독일 국기.svg M. 티셔
* 이 표는 간략화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타 팀으로 임대 간 선수는 제외되었습니다.
파일:dfl-obj-00264o-dfl-clu-000n5d-dfl-sea-0001k7-body.webp
1. FC 마그데부르크 No. 3
뤽 카스타뇨스
Luc Castaignos
<colbgcolor=#0068b3> K리그 등록명
출생 1992년 9월 27일 ([age(1992-09-27)]세)
자위트홀란트주 스히담
국적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
[[프랑스|]][[틀:국기|]][[틀:국기|]]
신체 188cm, 체중 85kg
포지션 센터 포워드, 스트라이커
소속 유스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2007~2009)
선수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2009~2011)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2011~2012)
FC 트벤터 (2012~2015)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2015~2016)
스포르팅 CP (2017~2019)
SBV 피테서 (2017~2018 / 임대)
경남 FC (2019~2020)
OFI 크레타 FC (2021~2022)
1. FC 마그데부르크 (2023~ )
국가대표 파일: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15경기 6골 (네덜란드 U-21 / 2011~2014)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클럽 경력
2.1. K리그 이전2.2. 경남 FC
2.2.1. 2019 시즌2.2.2. 2020 시즌
2.3. 근황
3. 플레이 스타일4. 여담

[clearfix]

1. 개요

네덜란드의 축구선수로, 포지션은 공격수이다. 프랑스계 네덜란드인 아버지와 카보베르데계 이탈리아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2. 클럽 경력

2.1. K리그 이전

파일:castinnnn_400x400.jpg

페예노르트 로테르담에서 프로에 데뷔하였으며, 2008~2009년 네덜란드 청소년 국가대표로 선발되어 17경기 13골을 작렬했고, 현재까지도 네덜란드 유스팀 최고 골 기록을 보유하고 U-19 17경기 8골, U-21 15경기 6골 등 유스 시절에는 네덜란드에서도 압도적인 재능을 보였던 유망주였다.

아스널, 리버풀 FC,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레알 마드리드, 바이에른 뮌헨 등 유럽 최고 클럽들이 관심을 보이고 영입하려 했지만 페예노르트에 잔류했으며, 2010년에는 손흥민, 네이마르, 필리페 쿠티뉴, 로멜루 루카쿠, 하메스 로드리게스 등과 함께 FIFA 선정 유망주 23인에 들기도 했다.

파일:152056_heroa.jpg

2009-2011년까지 페예노르트에서 37경기 15골을 넣었으며 2011-2012 시즌에는 인터 밀란으로 이적했다. 페예노르트에서는 전방 공격수로만 출전했었지만, 인터 밀란의 쟁쟁한 공격진[1] 때문에 좌, 우 윙포워드로만 출전했다. 2011-12 시즌은 인터 밀란이 굉장히 부진했던 시즌인데도 선발 출전한 적은 한 번도 없으며 후반 교체로만 출전해서 6경기 1골을 기록한 후 12-13 시즌부터 다시 고국인 네덜란드 리그의 팀인 FC 트벤터로 돌아갔다.

12-13 시즌 트벤터에서 주전 공격수로 활약하며 13골을 기록하여 부활의 조짐을 보였다. 13-14 시즌에는 14골을 기록하였고 14-15 시즌에도 10골을 넣었다. 이러한 활약으로 분데스리가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로 2015년 7월 1일 250만 유로(약 33억 원)에 이적하였다.

2015-16 시즌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에서 시작은 좋았다. 전반기 3, 4라운드 VfB 슈투트가르트쾰른전에서 2경기 연속 멀티골을 기록하며 기존 주전 스트라이커 알렉산더 마이어를 밀어낼 것으로 보였지만, 13라운드 레버쿠젠전에서 전반 22분에 발목 인대 파열 부상으로 아웃된 후 결국 25라운드까지 3개월 이상 결장하게 된다. 2016년 3월 12일 26라운드에 교체 투입되며 복귀했지만, 부상 기간 동안 그의 자리는 하리스 세페로비치와 마이어가 주전을 차지하고 있었다. 15-16 시즌 기록은 19경기 4골 3도움. 2016년 8월 250만 유로에 스포르팅 CP로 이적했지만 그곳에서도 무득점으로 부진하며 고국 피테서로 임대되었고, 그 곳에서도 29경기 2골에 그치며 부진했다.

2018-19 시즌 스포르팅으로 복귀했지만 스포르팅 역대 최고의 공격수로 꼽히는 바스 도스트와의 주전 경쟁에서 밀리며 3경기 출전에 그쳤고, 공격 포인트는 기록하지 못했다.

2.2. 경남 FC

2.2.1. 2019 시즌

2019 시즌을 앞두고 팀을 떠난 말컹의 대체자를 찾던 경남 FC가 꽤 좋은 조건으로 작업을 걸어 왔으며, 더구나 뤽은 시즌 전 창원을 방문해 경남으로 이적하면 그의 아들이 다닐 것으로 보이는 외국인 유치원을 확인하고 만족을 표했다고도 한다. (연봉이 10억을 넘긴다는 이야기가 있다.)

하지만 뤽은 귀국 후 현지 이적 시장 판도 변화에 따라 경남에게 확답을 주지 않았으며, 유럽의 여러 매체에 따르면 룩은 스위스 FC 시옹 등과 링크가 뜨면서 경남 이적을 거부했다고 하면서 일각에서는 헬기까지 동원해 영입을 추진했을 거라는 이야기도 들리는 등 사실상 경남 이적은 무산되는 듯했다.

하지만 스위스 이적 시장 마감 후에도 시온행 발표가 없으면서 결국은 경남 이적을 택했음이 다. #

2.2.2. 2020 시즌

설기현 감독 부임 후 전력 외로 분류되어 버렸다. 선수단 훈련에서 여러 가지 테스트를 해봤지만 설기현 감독의 전술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되었고, 설 감독은 룩에게 이런 입장을 진솔하게 전달하고 올 시즌 전력 외라고 통보까지 했다고 한다. 전술 훈련에는 참가하지도 못하고 체력 훈련만 반복하고 있으며, 연습 경기도 뛰지 못하고 있다.# 연봉이 현 외국인 선수들 중 Top4(연봉 9억 7,514만 4,000원)에 해당되는 선수라 구단 재정에 큰 손실이 되고 있는 상황.

2.3. 근황

3. 플레이 스타일

타깃맨 역할보다는 움직임으로 찬스를 만들어 내는 스타일이다. 오프더볼 상황에서 움직임이 좋은 지능적인 플레이를 펼치며 특히 뒷공간으로 파고드는 능력이 뛰어나며, 네덜란드인 답게 기술이 꽤 좋다. 특히 우아한 터치가 장점이다.

4. 여담

성인 Castaignos는 원래 프랑스식 성씨로, 네덜란드어로도 카스타이흐노스라 읽지 않고 프랑스어 발음을 따라해 카스테뇨스(cas-tai-gnos) 혹은 카스타뇨스(cas-ta-ignos)로 읽는다. 후자는 Castaignos가 Castagnos의 옛 표기인 걸 의식한 발음이다.

언론에서는 카스타노스, 카스타뇨스, 카스타이노스, 카스타이뇨스, 카스타이흐노스 등으로 표기하고 있다.


[1] 그 당시 인터 밀란의 스트라이커는 잠파올로 파치니, 디에고 밀리토, 디에고 포를란, 마우로 사라테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