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05 14:32:54

로스앤젤레스 다저스/2025년/포스트시즌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로스앤젤레스 다저스/2025년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5A9C><tablebgcolor=#005A9C> 파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화이트 엠블럼.svg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25년 월별 경기
}}}||
3~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포스트시즌

1. 개요2. 와일드카드 시리즈
2.1. 1차전 (10:5 승)2.2. 2차전 (8:4 승)2.3. 시리즈 총평
3. 디비전 시리즈
3.1. 1차전 (5:3 승)3.2. 2차전 (4:3 승)3.3. 3차전 (2:8 패)3.4. 4차전 (2:1 승)3.5. 시리즈 총평
4. 챔피언십 시리즈
4.1. 1차전 (2:1 승)4.2. 2차전 (5:1 승)4.3. 3차전 (3:1 승) 4.4. 4차전 (5:1 승)4.5. 시리즈 총평
5. 월드 시리즈
5.1. 1차전 (4:11 패)5.2. 2차전 (5:1 승)5.3. 3차전 (6:5 승)5.4. 4차전 (2:6 패)5.5. 5차전 (1:6 패)5.6. 6차전 (3:1 승)5.7. 7차전 (5:4 승)5.8. 시리즈 총평

1. 개요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의 2025년 포스트시즌 일정 및 결과를 정리한 문서이며, 모든 시간은 별도의 언급이 없다면 LA 현지 시간(미국 서부)에 따른다. 또한 모든 스코어는 다저스가 앞에 위치하도록 적는다.

2. 와일드카드 시리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내셔널 리그 와일드카드 시리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내셔널 리그 와일드카드 시리즈#s-3|3]]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내셔널 리그 와일드카드 시리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 1차전 (10:5 승)

파일:2025 내셔널 리그 와일드카드 게임 로고.svg
2025 National League Wild Card Series
2025년 9월 30일 화요일 18:08 (PDT, 현지시각) | 경기 진행 시간 : 3시간 8분
다저 스타디움 (미국, 로스앤젤레스)
관중 수: 50,555명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CIN 헌터 그린 0 0 0 0 0 0 2 3 0 5 7 1 5
LAD 블레이크 스넬 1 0 4 0 1 2 2 0 - 10 15 0 4
<colbgcolor=#09235D><colcolor=#FFFFFF> W: 블레이크 스넬(1-0) | L: 헌터 그린(0-1)
HR CIN
LAD 오타니 쇼헤이 (1회 1점, 6회 2점),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3회 3점, 5회 1점), 토미 에드먼 (3회 1점)
선발 라인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타순 선수명 포지션
1 오타니 쇼헤이 DH
2 무키 베츠 SS
3 프레디 프리먼 1B
4 맥스 먼시 3B
5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RF
6 토미 에드먼 2B
7 앤디 파헤스 CF
8 키케 에르난데스 LF
9 벤 로트베트 C
P 블레이크 스넬
}}}}}}}}}}}} ||
경기 하이라이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데이브 로버츠 감독은 1차전에는 스넬, 2차전에는 야마모토, 3차전에는 오타니가 등판한다고 말하였다. 또한 앤서니 반다, 마이클 콘포토가 와일드카드 시리즈 로스터에서 제외되었고 윌 스미스, 김혜성, 저스틴 딘이 포함되었다.
이번 경기에서 다저스의 타선이 폭발하였다. 오타니 쇼헤이테오스카 에르난데스의 멀티 홈런이 있었고, 무키 베츠, 프레디 프리먼, 키케 에르난데스가 멀티 히트를 기록하였다. 다저스는 이번 경기에서 10득점을 기록하며 대승을 거두었다.

다만 여전히 불펜의 불안함이 노출되기도 하였다. 선발 투수 블레이크 스넬이 7이닝 2실점 호투를 펼치고 마운드에서 내려왔으나 이후 등판한 알렉스 베시아, 에드가르도 엔리케스, 잭 드라이어가 8회에만 도합 59구를 던졌다. 특히 베시아가 안타와 볼넷을 허용하며 1사 1, 2루 위기를 자초했고, 다음으로 등판한 엔리케스가 2연속 볼넷에 이어 스펜서 스티어에게 적시타를 허용하며 부진했다. 그래도 드라이어가 이닝을 어찌어찌 마무리했고, 9회초에 등판한 블레이크 트라이넨은 삼진 2개를 잡아내는 등 살아나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2.2. 2차전 (8:4 승)

파일:2025 내셔널 리그 와일드카드 게임 로고.svg
2025 National League Wild Card Series
2025년 10월 1일 수요일 18:08 (PDT, 현지시각) | 경기 진행 시간 : 3시간 1분
다저 스타디움 (미국, 로스앤젤레스)
관중 수: 50,465명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CIN 잭 라텔 2 0 0 0 0 0 0 2 0 4 6 1 6
LAD 야마모토 요시노부 0 0 1 2 0 4 1 0 - 8 13 3 5
<colbgcolor=#09235D><colcolor=#FFFFFF> W: 야마모토 요시노부(1-0) | L: 잭 라텔(0-1)
HR CIN
LAD
선발 라인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타순 선수명 포지션
1 오타니 쇼헤이 DH
2 무키 베츠 SS
3 프레디 프리먼 1B
4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RF
5 맥스 먼시 3B
6 앤디 파헤스 CF
7 키케 에르난데스 LF
8 미겔 로하스 2B
9 벤 로트베트 C
P 야마모토 요시노부
}}}}}}}}}}}} ||
경기 하이라이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다저스의 타선이 이번 경기에서도 폭발하면서 전승으로 디비전 시리즈에 진출했다. 무키 베츠가 5타수 4안타 3타점으로 맹활약했고, 하위 타선에서 키케 에르난데스, 미겔 로하스, 벤 로트베트가 멀티 히트를 기록하였다.

마운드에서는 선발 야마모토 요시노부가 1회초 테오스카 에르난데스의 수비 실책이 있으면서 흔들리기도 했지만 이후에 실점을 허용하지 않았다. 야마모토는 113구를 던졌으며 6⅔이닝 4피안타 9K 2실점(무자책)을 기록하였다. 불펜에서는 8회초에 등판한 에밋 시핸이 불안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지만 알렉스 베시아가 위기를 넘겼고, 9회초에 등판한 사사키 로키가 안정적으로 경기를 마무리했다.

2.3. 시리즈 총평

다저스의 타선이 폭발하며 2승으로 비교적 손쉽게 디비전 시리즈에 진출했다. 특히 이 시리즈에서는 오타니 쇼헤이, 무키 베츠,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등 상위 타선 뿐만 아니라 키케 에르난데스, 미겔 로하스, 벤 로트베트 등 하위 타선까지 강력한 모습을 보였다. 또한 선발 투수 블레이크 스넬야마모토 요시노부가 호투한 것 역시 큰 호재라 할 수 있다. 다만 불펜에서는 에밋 시핸, 에드가르도 엔리케스 등이 불안한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그래도 마무리로 낙점된 사사키 로키가 좋은 모습을 보여준 것은 정규시즌에 불안한 모습을 보였던 다저스의 불펜진에 전환점이 될 수 있다.

3. 디비전 시리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내셔널 리그 디비전 시리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내셔널 리그 디비전 시리즈#s-4|4]]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내셔널 리그 디비전 시리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 1차전 (5:3 승)

파일:2025 내셔널 리그 디비전 시리즈 로고.svg
2025 National League Division Series
2025년 10월 4일 토요일 15:38 (PDT, 현지시각) | 경기 진행 시간 : 3시간
시티즌스 뱅크 파크 (미국, 필라델피아)
관중 수: 45,777명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LAD 오타니 쇼헤이 0 0 0 0 0 2 3 0 0 5 6 1 5
PHI 크리스토퍼 산체스 0 3 0 0 0 0 0 0 0 3 5 0 4
<colbgcolor=#09235D><colcolor=#FFFFFF> W: 오타니 쇼헤이(1-0) | L: 데이비드 로버트슨(0-1) | S: 사사키 로키(1)
HR LAD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7회 3점)
PHI
선발 라인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타순 선수명 포지션
1 오타니 쇼헤이 DH
2 무키 베츠 SS
3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RF
4 프레디 프리먼 1B
5 토미 에드먼 2B
6 키케 에르난데스 3B
7 알렉스 콜 LF
8 앤디 파헤스 CF
9 벤 로트베트 C
P 오타니 쇼헤이
}}}}}}}}}}}} ||
경기 하이라이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데이브 로버츠 감독은 디비전 시리즈에 오타니 쇼헤이-블레이크 스넬-야마모토 요시노부-타일러 글래스나우의 선발 로테이션을 가질 것이라고 말하였다. 1차전에 등판하는 오타니는 6~7이닝을 소화할 것을 기대했으며, 4차전에 선발 등판하는 글래스나우가 1차전에 불펜 등판이 가능한 것도 언급하였다.

에드가르도 엔리케스, 저스틴 로블레스키 대신 앤서니 반다, 클레이튼 커쇼가 로스터에 합류했다.
다저스가 짜릿한 역전승을 거두었다. 이번 경기에서 선발 투수인 오타니 쇼헤이는 2회말에 흔들리는 모습에 이어 테오스카 에르난데스의 산책 수비가 나오며 3실점을 허용했다. 그래도 이후에는 탈삼진을 9개 잡아내는 등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며 본인의 메이저 리그 포스트시즌 첫 등판에서 퀄리티 스타트를 기록하며 마운드에서 내려왔다.

다저스의 타선은 후반에 살아나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5회까지 크리스토퍼 산체스에게 묶였지만 6회초 2사 1, 2루에서 키케 에르난데스의 2타점 적시 2루타가 터지며 2:3까지 추격하였다. 그리고 7회초 2사 1, 2루에서 테오스카 에르난데스가 시리즈 1차전을 결정짓는 쓰리런 홈런을 터트리면서 5:3으로 경기를 뒤집었다. 이후 다저스는 타일러 글래스나우가 불펜 등판하기도 했으며 사사키 로키가 경기를 마무리하면서 중요한 1차전을 승리로 장식했다. 또한 이번 경기 승리로 포스트시즌 통산 시티즌스 뱅크 파크 원정에서의 첫 승리를 기록하였다.

3.2. 2차전 (4:3 승)

파일:2025 내셔널 리그 디비전 시리즈 로고.svg
2025 National League Division Series
2025년 10월 6일 월요일 15:08 (PDT, 현지시각) | 경기 진행 시간 : 3시간 7분
시티즌스 뱅크 파크 (미국, 필라델피아)
관중 수: 45,653명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LAD 블레이크 스넬 0 0 0 0 0 0 4 0 0 4 7 0 3
PHI 헤수스 루자르도 0 0 0 0 0 0 0 1 2 3 7 0 4
<colbgcolor=#09235D><colcolor=#FFFFFF> W: 블레이크 스넬(2-0) | L: 헤수스 루자르도(0-1) | S: 사사키 로키(2)
HR LAD
PHI
선발 라인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타순 선수명 포지션
1 오타니 쇼헤이 DH
2 무키 베츠 SS
3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RF
4 프레디 프리먼 1B
5 토미 에드먼 2B
6 키케 에르난데스 LF
7 미겔 로하스 3B
8 앤디 파헤스 CF
9 벤 로트베트 C
P 블레이크 스넬
}}}}}}}}}}}} ||
경기 하이라이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다저스가 블레이크 스넬의 6이닝 1피안타 9K 무실점 호투에 이어 7회초에 타선의 득점 지원이 있으면서 4:3 신승을 거두었다. 6회까지 다저스의 타선은 상대 투수 헤수스 루자르도에게 묶였다. 그러나 7회초 1사 2, 3루에서 키케 에르난데스의 땅볼 타구에 트레이 터너가 홈 송구를 시도했지만 테오스카 에르난데스가 먼저 홈에 들어왔다. 또한 이후 2사 만루에서 대타로 등장한 윌 스미스의 2타점 적시타, 오타니 쇼헤이의 1타점 적시타가 나오며 다저스는 7회에만 4득점을 기록했다.

다만 이번 경기에서는 9회말에 등판한 블레이크 트라이넨이 로버츠 감독의 기대에 배신하며 0이닝 3피안타 2실점으로 부진하였고, 알렉스 베시아와 교체되었다. 그래도 이어진 무사 1, 2루 위기에서 브라이슨 스탓의 번트 타구를 맥스 먼시무키 베츠에게 빠르게 송구하며 2루 주자 닉 카스테야노스를 잡아냈고, 이후 2사 1, 3루에서 사사키 로키가 등판하여 트레이 터너를 2루 땅볼로 잡아내며 경기는 4:3 다저스의 승리로 종료되었다. 이로써 다저스는 시티즌스 뱅크 파크 원정에서 2승을 거두며 NLCS 진출에 1승만을 남기게 되었다.

3.3. 3차전 (2:8 패)

파일:2025 내셔널 리그 디비전 시리즈 로고.svg
2025 National League Division Series
2025년 10월 8일 수요일 18:08 (PDT, 현지시각) | 경기 진행 시간 : 2시간 54분
다저 스타디움 (미국, 로스앤젤레스)
관중 수: 53,689명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PHI 애런 놀라 0 0 0 3 0 0 0 5 0 8 12 0 6
LAD 야마모토 요시노부 0 0 1 0 0 0 0 0 1 2 8 2 3
<colbgcolor=#09235D><colcolor=#FFFFFF> W: 레인저 수아레즈(1-0) | L: 야마모토 요시노부(1-1)
HR PHI 카일 슈와버 (4회 1점, 8회 2점), J.T. 리얼무토 (8회 1점)
LAD 토미 에드먼 (3회 1점)
선발 라인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타순 선수명 포지션
1 오타니 쇼헤이 DH
2 무키 베츠 SS
3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RF
4 프레디 프리먼 1B
5 윌 스미스 C
6 키케 에르난데스 LF
7 맥스 먼시 3B
8 앤디 파헤스 CF
9 토미 에드먼 2B
P 야마모토 요시노부
}}}}}}}}}}}} ||
경기 하이라이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이번 경기에서 선발 투수 야마모토 요시노부가 조기 강판되었고, 7회초 구원 등판한 클레이튼 커쇼가 8회초에 대량 실점을 허용하며 2:8로 대패하였다. 다저스는 3회말 토미 에드먼의 솔로 홈런으로 선취점을 가져왔지만 곧바로 야마모토가 흔들리는 모습을 보였다. 4회초에 카일 슈와버의 솔로 홈런, 알렉 봄의 1타점 적시타[1], 브랜든 마쉬의 희생 플라이로 역전을 허용했다. 이후 야마모토는 4이닝 6피안타 2K 3실점을 기록하며 마운드에서 내려왔고 7회까지 1:3의 스코어로 경기는 이어졌다.

8회초 클레이튼 커쇼가 마운드에 다시 등판하였다.[2] 그러나 7회에도 불안한 모습이 있었던 커쇼는 결국 8회초에 무너지고 말았다. J.T. 리얼무토의 솔로 홈런, 트레이 터너의 2타점 적시타, 카일 슈와버의 투런 홈런으로 경기는 순식간에 1:8로 터져버렸다. 이번 경기에서 커쇼는 2이닝 6피안타 2K 5실점(4자책)을 기록했고, 다저스는 이후 9회말에 2:8까지 추격했으나 결국 패배하면서 시리즈는 4차전을 향하게 되었다.

3.4. 4차전 (2:1 승)

파일:2025 내셔널 리그 디비전 시리즈 로고.svg
2025 National League Division Series
2025년 10월 9일 목요일 15:08 (PDT, 현지시각) | 경기 진행 시간 : 3시간 30분
다저 스타디움 (미국, 로스앤젤레스)
관중 수: 50,563명
선발 1 2 3 4 5 6 7 8 9 10 11 R H E B
PHI 크리스토퍼 산체스 0 0 0 0 0 0 1 0 0 0 0 1 4 2 4
LAD 타일러 글래스나우 0 0 0 0 0 0 1 0 0 0 1 2 7 1 5
<colbgcolor=#09235D><colcolor=#FFFFFF> W: 알렉스 베시아(1-0) | L: 헤수스 루자르도(0-2)
HR PHI
LAD
선발 라인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타순 선수명 포지션
1 오타니 쇼헤이 DH
2 무키 베츠 SS
3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RF
4 프레디 프리먼 1B
5 토미 에드먼 2B
6 윌 스미스 C
7 알렉스 콜 LF
8 키케 에르난데스 3B
9 앤디 파헤스 CF
P 타일러 글래스나우
}}}}}}}}}}}} ||
경기 하이라이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태너 스캇이 수술을 받게 되며 로스터에서 제외되었고, 저스틴 로블레스키가 중도 합류했다.
마지막에 전례가 없는 끝내기 실책이 나오며 다저스가 4차전을 승리함과 동시에 NLCS에 진출하게 되었다.

이 경기는 투수전 양상으로 진행되었다. 다저스는 선발 타일러 글래스나우가 6이닝 2피안타 3K 무실점 호투를 펼쳤다. 그러나 타선 또한 상대 선발 크리스토퍼 산체스에게 6회까지 무득점으로 고전했다. 7회초 필리스가 닉 카스테야노스의 적시타로 선취점을 가져왔지만 다저스가 곧바로 7회말 2사 만루에서 무키 베츠의 밀어내기 볼넷이 나오며 동점을 만들었다. 1:1 상황에서 다저스는 사사키 로키가 불펜으로 등판하여 3이닝 2K 무실점으로 인상적인 모습을 보였지만 타선 또한 10회까지 득점을 기록하지 못하며 경기는 11회로 이어졌다.

11회말 토미 에드먼맥스 먼시의 안타로 2사 1, 3루에서 필리스는 헤수스 루자르도오리온 커커링으로 교체하였다. 그러나 키케 에르난데스에게 볼넷을 허용하며 2사 만루를 허용한 커커링은 앤디 파헤스의 땅볼 타구를 홈에 송구하는 결정적인 실수를 저질렀다. 심지어 그 송구조차 관중석으로 날아가며 3루 주자 김혜성이 홈에 들어왔고 극적인 장면으로 경기가 마무리되었다.

3.5. 시리즈 총평

다저스가 오타니 쇼헤이, 블레이크 스넬, 타일러 글래스나우 등 선발진의 호투에 이어 사사키 로키가 불펜으로서 필리스 타선을 봉쇄하며 필리스를 3승 1패로 꺾고 챔피언십 시리즈에 진출했다. 또한 1차전 테오스카 에르난데스의 쓰리런 홈런, 2차전 사사키 로키의 세이브, 4차전 오리온 커커링의 시리즈를 결정짓는 송구 실책 등 극적인 장면이 많았던 시리즈이기도 하였다.

4. 챔피언십 시리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 1차전 (2:1 승)

파일:2025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로고.svg
2025 National League Championship Series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17:08 (PDT, 현지시각) | 경기 진행 시간 : 2시간 53분
아메리칸 패밀리 필드 (미국, 밀워키)
관중 수: 41,737명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LAD 블레이크 스넬 0 0 0 0 0 1 0 0 1 2 7 0 8
MIL 애런 애쉬비 0 0 0 0 0 0 0 0 1 1 2 0 3
<colbgcolor=#09235D><colcolor=#FFFFFF> W: 블레이크 스넬(3-0) | L: 채드 패트릭(0-1) | S: 블레이크 트라이넨(1)
HR LAD 프레디 프리먼 (6회 1점)
MIL
선발 라인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타순 선수명 포지션
1 오타니 쇼헤이 DH
2 무키 베츠 SS
3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RF
4 프레디 프리먼 1B
5 윌 스미스 C
6 토미 에드먼 2B
7 맥스 먼시 3B
8 키케 에르난데스 LF
9 앤디 파헤스 CF
P 블레이크 스넬
}}}}}}}}}}}} ||
경기 하이라이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시리즈에 앞서 달튼 러싱 대신 벤 캐스패리우스가 로스터에 합류했다.
블레이크 스넬의 호투에 힘입어 다저스가 1차전에서 신승을 거두었다. 스넬은 이번 경기에서 8이닝 1피안타 10K 무사사구 무실점을 기록하며 밀워키 타자들을 압도했다. 6회초 프레디 프리먼의 솔로 홈런, 9회초 1사 만루에서 무키 베츠의 밀어내기 볼넷이 나오며 2:0으로 리드하였던 다저스는 9회말에 사사키 로키가 난조를 보이며 위기를 맞기도 하였다. 그래도 이후에 등판한 블레이크 트라이넨이 2사 만루에서 브라이스 투랑을 헛스윙 삼진으로 잡아내며[3] 다저스가 1차전을 가져왔다.

4.2. 2차전 (5:1 승)

파일:2025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로고.svg
2025 National League Championship Series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17:08 (PDT, 현지시각) | 경기 진행 시간 : 2시간 51분
아메리칸 패밀리 필드 (미국, 밀워키)
관중 수: 41,427명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LAD 야마모토 요시노부 0 2 0 0 0 1 1 1 0 5 11 1 6
MIL 프레디 페랄타 1 0 0 0 0 0 0 0 0 1 3 1 1
<colbgcolor=#09235D><colcolor=#FFFFFF> W: 야마모토 요시노부(2-1) | L: 프레디 페랄타(1-2)
HR LAD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2회 1점)
MIL 잭슨 추리오 (1회 1점)
선발 라인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타순 선수명 포지션
1 오타니 쇼헤이 DH
2 무키 베츠 SS
3 프레디 프리먼 1B
4 윌 스미스 C
5 맥스 먼시 3B
6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RF
7 토미 에드먼 2B
8 키케 에르난데스 LF
9 앤디 파헤스 CF
P 야마모토 요시노부
}}}}}}}}}}}} ||
경기 하이라이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야마모토 요시노부가 완투승을 기록하며 다저스가 밀워키 원정에서 2차전도 승리하였다. 야마모토는 1회말에 잭슨 추리오에게 리드오프 홈런을 허용하였지만 이후에는 완벽한 모습을 보였다. 9이닝 3피안타 7K 1실점을 기록하며 전날 스넬에 이어 밀워키 타자들을 압도했다.

타선에서는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맥스 먼시가 각각 2회초와 6회초에 솔로 홈런을 기록하였고, 그동안 부진하였던 앤디 파헤스가 2회초에 1타점 적시 2루타를 기록하였다. 이후에는 7회초 오타니 쇼헤이의 1타점 적시타, 8회초에는 토미 에드먼의 1타점 적시타가 나오며 쐐기를 박기도 하였다.

4.3. 3차전 (3:1 승)

파일:2025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로고.svg
2025 National League Championship Series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15:08 (PDT, 현지시각) | 경기 진행 시간 : 2시간 48분
다저 스타디움 (미국, 로스앤젤레스)
관중 수: 51,251명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MIL 애런 애쉬비 0 1 0 0 0 0 0 0 0 1 4 1 3
LAD 타일러 글래스나우 1 0 0 0 0 2 0 0 - 3 5 1 3
<colbgcolor=#09235D><colcolor=#FFFFFF> W: 알렉스 베시아(2-0) | L: 제이콥 미저라우스키(2-1) | S: 사사키 로키(3)
HR MIL
LAD
선발 라인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타순 선수명 포지션
1 오타니 쇼헤이 DH
2 무키 베츠 SS
3 윌 스미스 C
4 프레디 프리먼 1B
5 토미 에드먼 2B
6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RF
7 맥스 먼시 3B
8 키케 에르난데스 LF
9 앤디 파헤스 CF
P 타일러 글래스나우
}}}}}}}}}}}} ||
경기 하이라이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선발 투수 타일러 글래스나우가 5⅔이닝 3피안타 8K 1실점을 기록하였고, 이후 불펜이 실점을 허용하지 않으며 다저스는 3:1 신승을 거두었다. 이 경기 승리로 다저스는 월드 시리즈 진출까지 1승만을 남기게 되었다.

타선에서는 1회말 오타니 쇼헤이의 3루타에 이어 무키 베츠의 적시 2루타가 있었고, 6회말에는 1사 1, 2루에서 토미 에드먼의 적시타가 터진 것에 이어 이후 견제 과정에서 밀워키의 실책이 나오며 득점을 추가하기도 하였다.

4.4. 4차전 (5:1 승)

파일:2025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로고.svg
2025 National League Championship Series
2025년 10월 17일 금요일 17:38 (PDT, 현지시각) | 경기 진행 시간 : 2시간 41분
다저 스타디움 (미국, 로스앤젤레스)
관중 수: 52,883명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MIL 호세 퀸타나 0 0 0 0 0 0 0 1 0 1 5 0 4
LAD 오타니 쇼헤이 3 0 0 1 0 0 1 0 - 5 9 0 2
<colbgcolor=#09235D><colcolor=#FFFFFF> W: 오타니 쇼헤이(2-0) | L: 호세 퀸타나(0-1)
HR MIL
LAD 오타니 쇼헤이 (1회 1점, 4회 1점, 7회 1점)
선발 라인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타순 선수명 포지션
1 오타니 쇼헤이 DH
2 무키 베츠 SS
3 윌 스미스 C
4 프레디 프리먼 1B
5 토미 에드먼 2B
6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RF
7 맥스 먼시 3B
8 키케 에르난데스 LF
9 앤디 파헤스 CF
P 오타니 쇼헤이
}}}}}}}}}}}} ||
경기 하이라이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말 그대로 오타니 쇼헤이의 원맨쇼가 펼쳐진 경기였다. 오타니는 선발 투수로서 6이닝 2피안타 10K 무실점으로 밀워키 타선을 봉쇄한 것에 이어 타석에서도 3타수 3홈런을 기록하며 전례가 없는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이후 다저스의 불펜은 8회초에 블레이크 트라이넨이 불안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지만 앤서니 반다사사키 로키가 등판하여 경기를 마무리하였다.

4.5. 시리즈 총평

다저스가 정규시즌에서 상대전적 0승 6패로 고전했던 밀워키 브루어스를 상대로 시리즈 4승 0패 스윕[4]을 거두며 완벽하게 설욕하였다. 이번 시리즈 승리의 원동력은 역시 강력한 선발 투수진으로, 블레이크 스넬-야마모토 요시노부-타일러 글래스나우-오타니 쇼헤이가 모두 1실점 이하로 밀워키 타선을 침묵시켰다. 또한 오타니는 4차전에서 6이닝 무실점 10K 호투와 동시에 3타수 3홈런이라는 PS 역대급 퍼포먼스를 펼치며 원맨쇼를 선보였고 결국 챔피언십 시리즈 MVP에 선정되었다.

5. 월드 시리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 월드 시리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월드 시리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월드 시리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1. 1차전 (4:11 패)

파일:2025년 월드 시리즈 로고.svg
2025 World Series
2025년 10월 24일 금요일 17:00 (PDT, 현지시각) | 경기 진행 시간 : 3시간 13분
로저스 센터 (캐나다, 토론토)
관중 수: 44,353명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LAD 블레이크 스넬 0 1 1 0 0 0 2 0 0 4 6 0 6
TOR 트레이 예세비지 0 0 0 2 0 9 0 0 - 11 14 0 5
<colbgcolor=#09235D><colcolor=#FFFFFF> W: 세란토니 도밍게스(2-0) | L: 블레이크 스넬(3-1)
HR LAD 오타니 쇼헤이 (7회 2점)
TOR 돌튼 바쇼 (4회 2점), 애디슨 바저 (6회 4점), 알레한드로 커크 (6회 2점)
선발 라인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타순 선수명 포지션
1 오타니 쇼헤이 DH
2 무키 베츠 SS
3 프레디 프리먼 1B
4 윌 스미스 C
5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RF
6 맥스 먼시 3B
7 키케 에르난데스 LF
8 토미 에드먼 2B
9 앤디 파헤스 CF
P 블레이크 스넬
}}}}}}}}}}}} ||
경기 하이라이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시리즈에 앞서 알렉스 베시아, 벤 캐스패리우스 대신 에드가르도 엔리케스, 윌 클라인이 로스터에 합류했다.[5]
다저스의 투수진이 토론토의 타선에 무너지며 완패한 1차전이었다. 선발 투수 블레이크 스넬이 제구 난조를 보이며 4회말에 돌튼 바쇼에게 투런 홈런을 맞았고, 6회말에 무사 만루 위기를 자초하며 결국 강판되어 에밋 시핸과 교체되었다. 또한 이후에 나온 시핸은 안타-밀어내기 볼넷-안타로 3실점을 허용하며 앤서니 반다와 교체되었고, 반다는 애디슨 바저알레한드로 커크에게 각각 만루 홈런과 투런 홈런을 맞으며 경기를 완전히 터트렸다. 이후 7회초 오타니 쇼헤이의 추격 투런포가 터졌으나 결국 벌어진 점수 차를 극복하지 못한 채 시리츠 첫 경기를 내주고 말았다. 다저스의 입장에서 이번 경기는 알렉스 베시아의 공백이 크게 느껴진 경기였으며, 2차전에서의 승리가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 되었다.

5.2. 2차전 (5:1 승)

파일:2025년 월드 시리즈 로고.svg
2025 World Series
2025년 10월 25일 토요일 17:00 (PDT, 현지시각) | 경기 진행 시간 : 2시간 36분
로저스 센터 (캐나다, 토론토)
관중 수: 44,607명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LAD 야마모토 요시노부 1 0 0 0 0 0 2 2 0 5 6 0 3
TOR 케빈 가우스먼 0 0 1 0 0 0 0 0 0 1 4 0 1
<colbgcolor=#09235D><colcolor=#FFFFFF> W: 야마모토 요시노부(3-1) | L: 케빈 가우스먼(2-2)
HR LAD 윌 스미스 (7회 1점), 맥스 먼시 (7회 1점)
TOR
선발 라인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타순 선수명 포지션
1 오타니 쇼헤이 DH
2 무키 베츠 SS
3 프레디 프리먼 1B
4 윌 스미스 C
5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RF
6 맥스 먼시 3B
7 키케 에르난데스 LF
8 토미 에드먼 2B
9 앤디 파헤스 CF
P 야마모토 요시노부
}}}}}}}}}}}} ||
경기 하이라이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야마모토 요시노부완투승을 거두며 다저스가 시리즈를 1:1 원점으로 되돌렸다. 이날 야마모토는 1회말 위기를 삼진, 직선타, 삼진으로 넘겼고, 3회말 알레한드로 커크의 희생 플라이 이후에는 4회부터 9회까지 출루를 허용하지 않으며 105구로 경기를 마무리지었다. 야마모토는 9이닝 4피안타 8탈삼진 1실점을 기록했으며 10월 14일 밀워키 브루어스전에 이어 단일 포스트시즌에서 2경기 연속 완투승을 달성하였다.

타선은 상대 선발 케빈 가우스먼에게 6회까지 1득점만을 기록하며 막혔다. 그러나 7회초 윌 스미스맥스 먼시의 솔로 홈런이 터졌고, 8회초에 폭투와 땅볼 타점으로 점수를 벌렸다.

5.3. 3차전 (6:5 승)

파일:2025년 월드 시리즈 로고.svg
2025 World Series
2025년 10월 27일 월요일 17:00 (PDT, 현지시각) | 경기 진행 시간 : 6시간 39분
다저 스타디움 (미국, 로스앤젤레스)
관중 수: 52,654명
선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R H E B
TOR 맥스 슈어저 0 0 0 4 0 0 1 0 0 0 0 0 0 0 0 0 0 0 5 15 0 10
LAD 타일러 글래스나우 0 1 1 0 2 0 1 0 0 0 0 0 0 0 0 0 0 1 6 16 2 11
<colbgcolor=#09235D><colcolor=#FFFFFF> W: 윌 클라인(1-0) | L: 브렌든 리틀(0-2)
HR TOR 알레한드로 커크 (4회 3점)
LAD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2회 1점), 오타니 쇼헤이 (3회 1점, 7회 1점), 프레디 프리먼 (18회 1점)
선발 라인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타순 선수명 포지션
1 오타니 쇼헤이 DH
2 무키 베츠 SS
3 프레디 프리먼 1B
4 윌 스미스 C
5 맥스 먼시 3B
6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RF
7 토미 에드먼 2B
8 키케 에르난데스 LF
9 앤디 파헤스 CF
P 타일러 글래스나우
}}}}}}}}}}}} ||
경기 하이라이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2018년 월드 시리즈 3차전이 연상되는 경기였으며, 다저스가 18회까지 이어진 접전 끝에 프레디 프리먼의 끝내기 홈런으로 승리를 거두었다. 다저스는 선발 타일러 글래스나우가 4⅔이닝 4실점(2자책)으로 부진했지만 불펜이 블레이크 트라이넨을 제외하면 실점을 허용하지 않았다. 특히 윌 클라인은 불펜이 다 소진된 상황에서 연장 15회부터 18회까지 4이닝 무실점을 기록했으며 72구를 던지는 역투를 통해 승리 투수가 되었다. 다저스의 타선 또한 에릭 라우어 등 토론토 불펜에게서 점수를 뽑지 못하며 고전했지만 18회말 선두타자였던 프리먼이 풀카운트 승부 끝에 브렌든 리틀의 92.4마일 싱커를 중앙 담장으로 넘기며 6시간 39분의 혈투를 마무리했다. 이 경기 승리로 다저스는 2:1로 시리즈 우위를 가져왔다.

이날 오타니 쇼헤이는 4타수 4안타(2홈런)를 기록했으며 이후 토론토가 계속 거르면서 이 경기에서 9번이나 출루하였다. 또한 18회초에는 2차전에서 완투한 야마모토 요시노부가 불펜에서 대기하는 장면이 있기도 하였다.

5.4. 4차전 (2:6 패)

파일:2025년 월드 시리즈 로고.svg
2025 World Series
2025년 10월 28일 화요일 17:00 (PDT, 현지시각) | 경기 진행 시간 : 2시간 54분
다저 스타디움 (미국, 로스앤젤레스)
관중 수: 52,552명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TOR 셰인 비버 0 0 2 0 0 0 4 0 0 6 11 0 4
LAD 오타니 쇼헤이 0 1 0 0 0 0 0 0 1 2 6 0 4
<colbgcolor=#09235D><colcolor=#FFFFFF> W: 셰인 비버(2-0) | L: 오타니 쇼헤이(2-1)
HR TOR 블라디미르 게레로 주니어 (3회 2점)
LAD
선발 라인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타순 선수명 포지션
1 오타니 쇼헤이 DH
2 무키 베츠 SS
3 프레디 프리먼 1B
4 윌 스미스 C
5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RF
6 맥스 먼시 3B
7 토미 에드먼 2B
8 키케 에르난데스 LF
9 앤디 파헤스 CF
P 오타니 쇼헤이
}}}}}}}}}}}} ||
경기 하이라이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다저스가 경기 후반에 무너지며 시리즈는 다시 원점이 되었다. 다저스는 키케 에르난데스의 희생 플라이로 선취점을 뽑았지만 3회초에 곧바로 블라디미르 게레로 주니어의 투런 홈런이 터졌다. 이후 1:2의 접전으로 경기는 이어졌지만 7회초에 승부의 추가 무너졌다.

오타니 쇼헤이가 6회까지 90구를 던진 상황에서 데이브 로버츠 감독은 오타니를 7회에도 등판시키는 선택을 하였다.[6] 이는 결과적으로 돌튼 바쇼의 안타, 어니 클레멘트의 2루타가 나오며 무사 2, 3루 위기가 되었고, 다저스는 앤서니 반다로 투수를 교체했다. 그러나 반다는 안드레스 히메네스에게 적시타, 타이 프랭스에게 땅볼 타점을 허용한 것에 이어 2사 1, 2루에서 보 비솃에게 적시타를 맞았다. 또한 뒤에 등판한 블레이크 트라이넨 역시 애디슨 바저에게 적시타를 맞았다. 7회에만 4실점을 허용한 다저스는 결국 점수 차를 극복하지 못하고 2:6으로 패배하였다.

5.5. 5차전 (1:6 패)

파일:2025년 월드 시리즈 로고.svg
2025 World Series
2025년 10월 29일 수요일 17:00 (PDT, 현지시각) | 경기 진행 시간 : 3시간 2분
다저 스타디움 (미국, 로스앤젤레스)
관중 수: 52,175명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TOR 트레이 예세비지 2 0 0 1 0 0 2 1 0 6 9 0 6
LAD 블레이크 스넬 0 0 1 0 0 0 0 0 0 1 4 0 2
<colbgcolor=#09235D><colcolor=#FFFFFF> W: 트레이 예세비지(3-1) | L: 블레이크 스넬(3-2)
HR TOR 데이비스 슈나이더 (1회 1점), 블라디미르 게레로 주니어 (1회 1점)
LAD 키케 에르난데스 (3회 1점)
선발 라인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타순 선수명 포지션
1 오타니 쇼헤이 DH
2 윌 스미스 C
3 무키 베츠 SS
4 프레디 프리먼 1B
5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RF
6 토미 에드먼 2B
7 맥스 먼시 3B
8 키케 에르난데스 CF
9 알렉스 콜 LF
P 블레이크 스넬
}}}}}}}}}}}} ||
경기 하이라이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타선이 침묵하며 완패, 엘리미네이션 게임에 몰리는 최악의 상황을 맞이하게 되었다. 다저스의 타선은 이번 경기에서 상대 선발 트레이 예세비지에게 7이닝 1실점으로 묶였다. 삼진을 12개나 당했으며 키케 에르난데스의 솔로 홈런을 제외하면 예세비지를 전혀 공략하지 못했다. 이후에도 세란토니 도밍게스제프 호프먼이 8, 9회에 실점을 허용하지 않았고, 다저스는 2승 3패의 열세 속에서 토론토 원정을 떠나게 되었다.

선발 투수 블레이크 스넬은 1회초에 데이비스 슈나이더블라디미르 게레로 주니어에게 백투백 홈런을 맞았다. 4회초에는 어니 클레멘트의 희생 플라이가 있었고, 이후에는 순항하는 듯 했으나 7회초에 2사 1, 3루 위기에서 에드가르도 엔리케스와 교체되었다. 그리고 엔리케스가 폭투와 적시타로 점수를 허용하며 이 경기에서 5실점을 기록하였다.

5.6. 6차전 (3:1 승)

파일:2025년 월드 시리즈 로고.svg
2025 World Series
2025년 10월 31일 금요일 17:00 (PDT, 현지시각) | 경기 진행 시간 : 3시간 2분
로저스 센터 (캐나다, 토론토)
관중 수: 44,710명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LAD 야마모토 요시노부 0 0 3 0 0 0 0 0 0 3 4 1 4
TOR 케빈 가우스먼 0 0 1 0 0 0 0 0 0 1 8 0 3
<colbgcolor=#09235D><colcolor=#FFFFFF> W: 야마모토 요시노부(4-1) | L: 케빈 가우스먼(2-3) | S: 타일러 글래스나우(1)
HR LAD
TOR
선발 라인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타순 선수명 포지션
1 오타니 쇼헤이 DH
2 윌 스미스 C
3 프레디 프리먼 1B
4 무키 베츠 SS
5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RF
6 맥스 먼시 3B
7 키케 에르난데스 LF
8 토미 에드먼 CF
9 미겔 로하스 2B
P 야마모토 요시노부
}}}}}}}}}}}} ||
경기 하이라이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무키 베츠가 4번 타순, 미겔 로하스가 2루수로 선발 출전한다. 또한 토미 에드먼이 9월 24일 이후 처음으로 중견수로 선발 출전한다.

데이브 로버츠 감독은 6차전에서 오타니 쇼헤이의 불펜 등판은 계획에 없으며, 타일러 글래스나우의 불펜 등판은 가능하다고 언급하였다. #

5.7. 7차전 (5:4 승)

파일:2025년 월드 시리즈 로고.svg
2025 World Series
2025년 11월 1일 토요일 17:00 (PDT, 현지시각) | 경기 진행 시간 :
로저스 센터 (캐나다, 토론토)
관중 수: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LAD 오타니 쇼헤이
TOR 맥스 슈어저
<colbgcolor=#09235D><colcolor=#FFFFFF> W: ( - ) | L: ( - )
HR LAD
TOR
선발 라인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타순 선수명 포지션
1 오타니 쇼헤이 DH
2 윌 스미스 C
3 프레디 프리먼 1B
4 무키 베츠 SS
5 맥스 먼시 3B
6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RF
7 토미 에드먼 CF
8 키케 에르난데스 LF
9 미겔 로하스 2B
P 오타니 쇼헤이
}}}}}}}}}}}} ||
경기 하이라이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예상 선발 타일러 글래스나우를 전날 세이브 요원으로 소모하여[7], 결국 원래의 선발 등판 루틴과는 다르게 오타니 쇼헤이가 단 3일만에 마운드에 오르게 됐다. 다만 평소처럼 긴 이닝을 소화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이며, 사실상 모든 투수를 동원하는 총력전인만큼 투구 컨디션이나 팀 전략에 따라 잦은 투수 교체가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9회 로하스의 동점 솔로포와 11회 스미스의 역전 솔로포, 그리고 야마모토의 역투와 함께 연장 11회 혈투 끝에 다저스가 토론토에게 5-4로 극적인 역전승을 거뒀다.

5.8. 시리즈 총평

믿었던 1선발 블레이크 스넬이 시리즈 2패를 떠안으며 무너진데다가, 타선은 월드 시리즈 양팀 통틀어 가장 높은 OPS 1.278을 기록한 오타니 쇼헤이를 제외하고는 사실상 시리즈 내내 답답한 모습을 보였지만, 야마모토 요시노부의 압도적인 3승 활약과 불펜으로 이동한 나머지 선발진의 솔리드한 투구에 힘입어 4승 3패로 극적인 21세기 최초의 월드 시리즈 2연패에 성공하였다.

[1] 중간에 앤디 파헤스의 3루 송구 실책이 있었다.[2] 경기 후 데이브 로버츠 감독의 인터뷰에 따르면 이는 태너 스캇이 개인 사정으로 경기장에 나오지 않았던 여파였다고 하며 다음 날에 스캇이 수술이 받는다는 소식이 전해졌다.[3] 중간에 투랑이 사구를 피한 장면이 있었다.[4] 구단 역사상 최초의 챔피언십 시리즈 스윕이며, 7전 4선승제 시리즈 기준으로는 1963년 월드 시리즈 이후 62년 만이다.[5] 베시아는 가족 관련 사유로 인해 로스터에서 제외되었다. #[6] 경기 이후 로버츠 감독은 얼마나 더 던질 수 있냐는 질문에 오타니가 3이닝은 더 던질 수 있다는 말을 하였다며 등판 이유를 말했다. #[7] 글래스나우는 6차전에서 3구만을 투구하긴 했지만 밤에 옆구리 통증을 호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