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레고 비디오 게임 시리즈 일람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5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오리지널 시리즈 ] {{{#!wiki style="margin: -5px -1px" | <colcolor=#0f0f0f,#ddd>1990년대 레고 아일랜드(1997) · 레고 체스(1998) · 레고 크리에이터(1998) · 레고 로코(1998) · 레고 레이서(1999) · 레고 락 레이더(1999) · 레고랜드(1999) 2000년대 레고 크리에이터: 나이트 킹덤(2000) · 레고 스턴트 랠리(2000) · 레고 알파팀(2000) · 레고 아일랜드 2: 브릭스터의 복수(2001) · 레고 레이서 2(2001) · 레고 싸커 매니아(2002) · 레고 아일랜드 익스트림 스턴트(2002) · 드롬 레이서(2002) · 바이오니클 더 게임(2003) · 바이오니클 히어로즈(2006) 2010년대 레고 유니버스(2010) · 레고 시티 언더커버(2013) · 레고 키마의 전설 온라인(2013) · 레고 미니피규어 온라인(2014) · 레고 월드(2017) · 레고 브롤즈(2019) · 레고 빌더스 저니(2019) 2020년대 레고 레거시: 상자 속의 영웅들(2020) · 레고 브릭테일즈(2022) · 레고 2K 드라이브(2023) · 레고 보이저스(2025) · 레고 파티!(2025)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5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라이선스 시리즈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color=#0f0f0f,#ddd>스타워즈 시리즈 레고 스타워즈: 더 비디오 게임(2005) · 레고 스타워즈 2: 더 오리지널 트릴로지(2006) · 레고 스타워즈: 컴플리트 사가(2007) · 레고 스타워즈 3: 클론 전쟁(2011) · 레고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2016) · 레고 스타워즈: 스카이워커 사가(2022) DC 코믹스 레고 배트맨: 더 비디오 게임(2008) · 레고 배트맨 2: DC 슈퍼히어로즈(2012) · 레고 배트맨 3: 비욘드 고담(2014) · 레고 DC 슈퍼빌런(2018) · 레고 배트맨: 레거시 오브 더 다크 나이트(2026) 마블 코믹스 레고 마블 슈퍼히어로즈(2013) · 레고 어벤져스(2016) · 레고 마블 슈퍼히어로즈 2(2017) 해리 포터 시리즈 레고 크리에이터: 해리 포터(2001) · 크리에이터: 해리 포터와 비밀의 방(2002) · 레고 해리 포터: 이어스 1-4(2010) · 레고 해리 포터: 이어스 5-7(2011) · 레고 해리 포터 콜렉션(2016) |
인디아나 존스 시리즈 레고 인디아나 존스: 디 오리지널 어드벤처(2008) · 레고 인디아나 존스 2: 디 어드벤처 컨티뉴(2009) 디즈니/픽사 시리즈 레고 캐리비안의 해적: 더 비디오 게임(2011) · 레고 인크레더블(2018) 반지의 제왕 시리즈 레고 반지의 제왕(2012) · 레고 호빗(2014) 레고 무비 시리즈 레고 무비 비디오 게임(2013) · 레고 닌자고 무비 비디오 게임(2017) · 레고 무비 2 비디오 게임(2019) 레고 포트나이트 오디세이(2023) · 브릭 라이프(2024) · 탐험대(2025) 단일 게임들 갤리도어: 외부 차원의 수호자(2002) · 레고 쥬라기 월드(2015) · 레고 디멘션즈(2015) · 레고 호라이즌 어드벤처(2024) | }}}}}}}}}}}} |
레고 배트맨 시리즈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메인 시리즈 | ||||||
레고 배트맨: 더 비디오 게임 (2008) | 레고 배트맨 2: DC 슈퍼히어로즈 (2012) | 레고 배트맨 3: 비욘드 고담 (2014) | 레고 배트맨: 레거시 오브 더 다크 나이트 (2026) | ||||
스핀오프 | |||||||
레고 DC 슈퍼빌런 (2018) | }}} }}} }}} |
레고 배트맨: 레거시 오브 더 다크 나이트 LEGO® Batman™: Legacy of the Dark Knight | |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개발 | TT 게임즈 |
유통 | 워너 브라더스 게임즈 |
플랫폼 | PS5[1] | XSX|S | NS2 | Windows |
ESD | 콘솔 PS Store | MS Store | 닌텐도 e숍 PC Steam | 에픽게임즈 스토어 |
장르 | 오픈 월드 액션 어드벤처 |
출시 | 2026년 |
엔진 | 언리얼 엔진 5 |
지원 언어 | 음성 영어 자막 영어, 한국어[2] 등 |
심의 등급 | |
관련 사이트 | |
상점 페이지 |
1. 개요
2026년 발매 예정인 TT 게임즈의 레고 배트맨 게임 시리즈 신작.2. 발매 전 정보
3. 트레일러
공식 공개 트레일러[3] |
https://www.youtube.com/watch?v=iB9SqHGitFs
4. 시스템 요구 사항
5. 등장인물
게임 트레일러, 프리 알파 영상, 개발자 인터뷰(#1 #2) 및 공식 사이트의 정보를 참조함.5.1. 플레이어블 캐릭터
5.2. 조력자
5.3. 빌런
- 베인 (성우: 맷 베리)
- 콘디먼트 킹
5.4. 세력 불명
6. 평가
7. 기타
- 이전까지의 레고 배트맨 게임들과는 아예 별개의 스토리라인으로 진행되는 듯 하다. 트레일러의 내용으로 보아 배트맨의 탄생기부터 다루는 것으로 추정되며, 전작인 레고 배트맨 3: 비욘드 고담과 달리 제목에도 넘버링이 붙지 않았다.[5]
- 인게임 플레잉 측면에서도 결이 꽤나 다르다. 보통의 레고 게임처럼 퍼즐 위주로 진행되던 전작들과 달리, 본작의 트레일러와 공식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는 플레잉 장면을 보면 거의 아캄버스 시리즈에 레고 스킨을 씌운 수준이다. 액션 쪽에 중점을 두면서 전작들과의 차별점을 꾀한 것으로 보이는데, 개발자의 인터뷰에 따르면 게임 개발 과정에서 락스테디 스튜디오와의 소통도 이루어졌다고 한다.[6][7]
- 외전 레고 DC 슈퍼빌런을 제외하면 메인 타이틀 작품 중에서는 최초로 공식 한국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작품이다.[8]
- 트레일러를 통해 배트맨 앤솔로지와 다크 나이트 트릴로지, 더 배트맨 사가 등 실사영화의 명대사나 명장면 패러디도 다수 포함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또한 트레일러를 통해 캣우먼은 앤솔로지 시리즈, 알프레드 페니워스와 조커, 베인은 다크 나이트 트릴로지, 제임스 고든과 펭권은 더 배트맨 사가와 유사한 디자인으로 나온 것을 볼 수 있다. 다만 플레이어블 캐릭터의 경우에는 유저가 원하는 스킨을 선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Steam에 출시된 레고 비디오 게임 전체를 통틀어 최초로 PS 레이아웃을 지원한다.
[1] 진동 기능 지원, PS5 Pro 대응[2] 출처[3] 배경 음악은 팀 버튼 배트맨 영화 1편의 메인 테마곡. 배트맨 실사영화의 역사에서 상당한 상징성을 지니고 있는 곡이다.[4] 외형은 다크나이트 조커인데 영화 설정처럼 칼에 찢겨진 입에 얼굴화장을 한 건 아닌 듯 그냥 화약통에 빠져서 이렇게 변했다는 설정으로 한 듯 싶다. 레고 게임인데 입을 찢었다는 설정을 넣으면 아니지 않나.[5] 이전에 레고 DC 슈퍼빌런이라는 게임이 나오긴 했지만, 배트맨이 아닌 DC 코믹스의 빌런들이 주인공인 외전이었다.[6] TT 게임즈와 락스테디 둘다 워너 브라더스 게임즈 산하 스튜디오이기 때문에 원활한 소통이 가능했던 것으로 보인다.[7] 이를 본 배트맨 팬들은 "드디어 아캄 배트맨 속편이 나왔다!"라는 반응이 나오는데 그 흑역사는 아캄버스를 대차게 말아먹은데다 세계관을 망가뜨렸기 때문이다.[8] 정확히는 레고 배트맨 2: DC 슈퍼히어로즈의 경우, 닌텐도의 3DS와 Wii 버전에 한하여 한국어 서비스가 제공된 적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