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6 03:12:41

람보르기니 베네노

Lamborghini Veneno에서 넘어옴
파일:람보르기니 로고.sv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Geneva_MotorShow_2013_-_Lamborghini_Veneno_1.jpg
VENENO

1. 개요2. 상세
2.1. 베네노 로드스터
3. 제원4. 모형화5. 기타6. 미디어7. 둘러보기


Lamborghini Veneno

1. 개요

파일:람보르기니 베네노_(1).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람보르기니 베네노_(2).jpg
파일:람보르기니 베네노_(3).jpg
파일:람보르기니 베네노_(4).jpg
파일:람보르기니 베네노_(5).jpg
Veneno

2013년 제네바 모터쇼에서 람보르기니 브랜드 창립 50주년 기념으로 선보인 3대 한정판 모델이다. 아벤타도르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2. 상세

차명 베네노(Veneno)스페인어"독극물"을 의미하며, 영어로 치면 베놈과 같은 의미를 갖고 있다. 제네바 모터쇼에서 공개되었던 전시용 쇼카와 실차주들에게 인도된 차량을 비교해보면 쇼카는 얇은 사이드미러를 달고있는데, 실제 양산형 차량에는 아벤타도르와 같은 사이드미러가 적용되어 있는 것이 보인다. 아벤타도르의 사이드미러도 안 그래도 작아서 잘 안 보인다는 비판이 많았는데, 그것보다도 더 얇은 사이드미러가 적용된 것. 따라서 양산형 차량에서는 얇은 사이드미러가 위험할 수도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삭제, 그 대신 아벤타도르의 것을 적용한 것으로 보인다.

슈퍼카로서는 정말 드물게 5m가 넘는 매우 길쭉한 전장을 자랑한다. 아무래도 원본 차량인 아벤타도르가 6.5L V12라는 거대한 엔진을 미드쉽으로 탑재하다보니 타 슈퍼카에 비해 크기가 큰 편이고, 베네노는 거기에 추가로 공기역학 관련 부품들까지 적용되다보니 크기가 더 커져서 5m를 넘기게 된 것.

이름은 람보르기니의 전통을 따라 1914년 '호세 산체스 로드리게스'라는 투우사에게 상처를 입힌 용맹한 황소에게서 따왔다. 커다란 리어 윙과 엔진룸 위의 루버 같은 에어로 파츠도 특징인데, 워낙 직선적인 디자인이기에 실제 공력 성능은 미지수. 여기에 탄소섬유와 플라스틱이 혼합된 복합소재가 사용되어 기존 아벤타도르 모델보다 가벼운 1,450kg의 중량을 자랑한다. 동력부는 람보르기니 아벤타도르의 V12 6.5L 엔진을 튜닝한 버전이 들어가는데 최대 출력 750마력, 제로백 2.8초, 최고 속력은 355km/h이다. 사실상 아벤타도르 LP-750 SV(슈퍼 벨로체)와 동등한 사양으로 이후 출시된 아벤타도르 LP-750 SV는 베네노의 대시보드 디자인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도어는 람보르기니답게 시저 도어. 가격은 약 390만 달러[2]이다.

2.1. 베네노 로드스터

파일:2CE5CE6A-8F0A-4CA2-848D-7622622814DE.png 파일:C18D28D4-5385-4DB1-9E80-2067D502C229.jpg

2013년 10월 경엔 로드스터 버전으로 아홉 대 한정 생산이 결정되었다. 로드스터는 전장만 5,020mm로 역대 람보르기니 모델 중에 두 번째로 길며, 가격은 약 380만 유로[3]이다.

3. 제원

제조국가 및 제조사 이탈리아, 람보르기니
최초생산년도 2013년
차량가격 약 54억 원[6]
엔진 12기통 6.5L 자연흡기
배기량 6,498cc
연료 휘발유
최고출력 750마력
미션형식 싱글 클러치 자동 7단
구동방식 AWD (항시 4륜구동)
전륜타이어 255/30/20
후륜타이어 355/25/21
전륜 서스펜션 더블 위시본
후륜 서스펜션 더블 위시본
전륜 브레이크 V디스크
후륜 브레이크 V디스크
0→100km/h 가속 2.8초[7]
최고속도 355.8km/h
승차인원 2명
전장 5,020mm
전폭 2,075mm
전고 1,165mm
축거 2,700mm
공차중량 (Dry Weight) 1,450kg[8]
생산모델 쿠페, 로드스터

4. 모형화

5. 기타

그 날카롭고 직선적인 람보르기니의 차량들 중에서도 유독 디자인이 날카롭고 독특한데, 때문에 호불호가 매우 갈린다. 2013년 미국의 자동차 리뷰 사이트인 에드먼드에서 선정한 '역사상' 가장 못생긴 자동차 TOP 100에서 1위를 차지한 자동차이기도 하다. "이탈리아의 것들 중 파시즘 이후로 최악의 존재. 다행히도 3대만 만들어지지만, 사실 3대도 너무 많다."라는 매우 신랄한 평가를 내렸다. 실제로도 전세계에 단 3명뿐인 소유주 중 한명은 인도받자마자 순정으로 제공되는 검은색 합금휠을 싸제 크롬휠로 교체해버리기도 했다. 게다가 출시된 지 12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종종 매체에서 못생긴 자동차 중 하나로 거론되고 있다.[9]

그러나 좋아하는 사람들은 엄청 좋아한다. 샤프한 전투기처럼 생겨서 좋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고, 베네노(Veneno)라는 이름값을 한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다.

6. 미디어

7. 둘러보기

파일:람보르기니 로고 2024~.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c3b48d> 차급 생산 차량 단종 차량
<colbgcolor=#0b0b0b,#191919><colcolor=#fff> V8 미드십 슈퍼카 테메라리오 우라코 · 실루엣 · 할파
V10 미드십 슈퍼카 - 가야르도 · 우라칸
V12 미드십 슈퍼카 레부엘토 미우라 · 쿤타치 · 디아블로 · 무르시엘라고 · 아벤타도르
그랜드 투어러 란자도르2029년 출시 예정 350 GT · 400 GT · 에스파다 · 아일레로 · 하라마
SUV・픽업트럭 우루스 LM002, 치타프로토타입
한정 생산 차종 시안 FKP 37 · 에센자 SCV12 · 쿤타치 LPI 800-4 · 인벤시블/오텐티카 레벤톤 · 세스토 엘레멘토 · 베네노 · 센테나리오
LMDh SC63 -
그룹 C - 쿤타치 QVX
콘셉트 카
}}}}}}}}} ||



[1] 판매 사양의 7스포크 와이드 림 휠과는 조금 다르다.[2] 한화로 약 54억 원.[3] 한화로 약 52억 원.[4] 적도 기니의 독재자 테오도로 오비앙 응게마 음바소고의 장남으로, 부통령 겸 국방부장관을 역임하고 있다.[5] 본 문단에 들어간 사진의 차량이다.[6] 로드스터 약 52억 원[7] 로드스터 2.9초[8] 로드스터 1,490kg[9] 대체로 구겨져있는 부분, 뚫려있는 부분이 너무 많다는 점 등이 지적된다. 반파되어 있는 사고차처럼 보인다는 평까지 있을 정도.[10] 하지만 현재는 저작권으로 인해 삭제 된 상태. https://youtu.be/RZq6yWQuXik[11] 그런데 이 게임에서는 유저들의 항의가 쎈 때문인지 코닉세그도 저작권 신고를 넣어서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지만 딜러점에만 삭제 된 상태[12] 하지만 최근에 부활했다! 다만 모델링은 실차와 많이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