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2025년 신년 기자회견 영상 |
|
2025년 더불어민주당 정당지표 |
2. 1월
- 1월 31일: 과학기술혁신특위가 발대식을 개최하며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
3. 2월
4. 3월
- 3월 12일: 이재명 대표를 암살하려고 한다는 제보가 들어왔다.
5. 4월
- 4월 4일: 헌법재판소의 만장일치로 윤석열이 대한민국 대통령 직에서 파면되었다. 이후 민주당은 즉각 대선 체제로 전환되었고, 이재명은 당대표에서 조기 사퇴해 제21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다.
- 4월 9일: 제6·7대 당대표 이재명이 대표직에서 사퇴를 선언하고,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사실상 공식화했다.
- 4월 13일: 제37대 경상남도지사 김경수가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
- 4월 15일: 더불어민주당 제21대 대통령 후보 경선에 이재명, 김경수, 김동연이 등록해 3파전으로 경선이 치뤄지게 되었다.
- 4월 27일: 더불어민주당 제21대 대통령 후보 경선에서 이재명 후보가 대선 후보로 선출되었다.
- 4월 30일: 이재명 대선 후보 캠프인 진짜 대한민국 선거대책위원회가 출범했다.
6. 5월
- 5월 10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대통령 선거 후보자 등록을 했다.
- 5월 18일: 김상욱 의원이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했다.
7. 6월
- 6월 3일 : 제21대 대통령 선거 본투표가 실시되었다.
- 6월 4일 : 제21대 대통령 선거에서 이재명 후보가 대한민국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더불어민주당은 3년 만에 다시 여당이 되었다. 또한 민주화 이후 최초로 같은 당명에서 복수의 대통령을 배출한 정당이 되었으며, 승리한 두 번의 대선이 모두 궐위로 인한 선거라는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웠다.
선거 결과 구체적인 득표율은 외부 미공표[1] | ||
후보 | [[동작구 갑| 서울 동작 갑 ]]김병기 | [[중랑구 갑| 서울 중랑 갑 ]]서영교 |
득표수 | 다수[2] | 소수 |
신임 원내대표 | ||
김병기 | ||
비고: 의원총회에 참석한 국회의원 표 80%와 권리당원 표 20%를 합산한 결과임 |
- 6월 16일 : 전국당원대회준비위원회가 8월 2일에 당대표와 최고위원 보궐선거 목적의 임시전국당원대회를 열기로 했다.
8. 7월
- 7월 19일 : 차기 당 대표 선출을 위한 첫 번째 순회 경선 지역인 충청에서 정청래 후보가 득표율 62.77%로 승리했다. #
- 7월 20일 : 두 번째 순회 경선 지역인 영남에서 정청래 후보가 득표율 62.55%로 승리했다. #
- 7월 23일 : 갑질 의혹으로 논란이 많았던 강선우 여성가족부장관 후보자가 자진사퇴했다.
9. 8월
- 8월 2일 : 정청래 후보가 전당대회에서 당대표에 당선되었다.
- 8월 5일 : 4선 의원이자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인 이춘석 의원의 차명계좌 논란이 발생했다. 당일, 탈당계 및 법사위원장 사임계를 제출하였다.
10. 9월
- 9월 11일: 하지만 합의 내용에 대해 민주당 내 일부 의원들과 지지층 사이에서 반발이 일었고, 이재명 대통령과 정청래 대표 또한 합의에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면서 합의는 결국 번복되었다. 민주당은 3대 특검의 수사 인력과 기간을 늘리는 기존의 개정안을 그대로 추진하면서 개정안은 국회에서 가결되었다. # 한편 김병기 원내대표가 야당과 협상을 하는 과정에서 정청래 대표와 충분한 상의를 거쳤는지에 대해 당 안팎에서 설왕설래가 이어지면서, 정청래 대표와 김병기 원내대표 간 충돌이 빚어졌다. # 정청래 대표는 민주당 의총에서 당내 잡음에 대해 부덕의 소치라며 사과했다. #
- 9월 13일: 김병기 원내대표 또한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며 사과하면서 갈등은 봉합되었다. #
11. 10월
12. 11월
13. 12월
14. 결론
15. 지지도
2025년 정당지지율 한국갤럽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주차 | 지지율 | 자세히 |
● 국민의힘 / ● 더불어민주당 / ● 조국혁신당 / ● 개혁신당 / ● 진보당 / ● 기본소득당 / ● 사회민주당 / ● 그 외 정당 / ● 무당층 | |||
1월 2주차 | 34% |
| |
1월 3주차 | 39% |
| |
1월 4주차 | 38% |
| |
2월 2주차 | 39% |
| |
2월 3주차 | 34% |
| |
2월 4주차 | 36% |
| |
3월 1주차 | 36% |
| |
3월 2주차 | 36% |
| |
3월 3주차 | 36% |
| |
3월 4주차 | 33% |
| |
4월 1주차 | 35% |
| |
● 더불어민주당 / ● 국민의힘 / ● 조국혁신당 / ● 개혁신당 / ● 진보당 / ● 기본소득당 / ● 사회민주당 / ● 그 외 정당 / ● 무당층 | |||
4월 2주차 | 41% |
| |
4월 3주차 | 42% |
| |
4월 4주차 | 42% |
| |
5월 3주차 | 48% |
| |
5월 4주차 | 42% |
| |
6월 2주차 | 46% |
| |
● 더불어민주당 / ● 국민의힘 / ● 조국혁신당 / ● 진보당 / ● 개혁신당 / ● 기본소득당 / ● 사회민주당 / ● 그 외 정당 / ● 무당층 | |||
6월 4주차 | 43% |
| |
7월 1주차 | 46% |
| |
7월 2주차 | 43% |
| |
7월 3주차 | 46% |
| |
8월 2주차 | 41% |
| |
8월 3주차 | 44% |
| |
8월 4주차 | 44% |
| |
9월 1주차 | 41% |
| |
9월 2주차 | 42% |
| |
2024년 ◀ | |||
이 자료는 한국갤럽에서 자체적으로 조사한 2025년 정당지지율 주간집계 결과임. 각 주차마다 3일간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하였음.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한국갤럽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할 것.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주차 | 지지율 | 자세히 |
● 국민의힘 / ● 더불어민주당 / ● 조국혁신당 / ● 개혁신당 / ● 진보당 / ● 기타 / ● 무당층 | |||
1월 1주차 | 34.4% |
| |
1월 2주차 | 40.8% |
| |
1월 3주차 | 46.5% |
| |
1월 4주차 | 45.4% |
| |
2월 1주차 | 42.8% |
| |
2월 2주차 | 41.4% |
| |
2월 3주차 | 42.7% |
| |
2월 4주차 | 37.6% |
| |
3월 1주차 | 42.7% |
| |
3월 2주차 | 39.0% |
| |
3월 3주차 | 40.0% |
| |
3월 4주차 | 36.1% |
| |
4월 1주차 | 35.7% |
| |
● 더불어민주당 / ● 국민의힘 / ● 조국혁신당 / ● 개혁신당 / ● 진보당 / ● 기타 / ● 무당층 | |||
4월 2주차 | 46.7% |
| |
4월 3주차 | 48.7% |
| |
4월 4주차 | 46.8% |
| |
5월 1주차 | 42.1% |
| |
5월 2주차 | 46.9% |
| |
5월 3주차 | 46.4% |
| |
5월 4주차 | 45.9% |
| |
5월 5주차 | 46.8% |
| |
6월 1주차 | 48.0% |
| |
6월 2주차 | 49.9% |
| |
● 더불어민주당 / ● 국민의힘 / ● 조국혁신당 / ● 진보당 / ● 개혁신당 / ● 기타 / ● 무당층 | |||
6월 3주차 | 48.4% |
| |
6월 4주차 | 50.6% |
| |
7월 1주차 | 53.8% |
| |
7월 2주차 | 56.2% |
| |
7월 3주차 | 50.8% |
| |
7월 4주차 | 50.8% |
| |
7월 5주차 | 54.5% |
| |
8월 1주차 | 48.4% |
| |
8월 2주차 | 39.9% |
| |
8월 3주차 | 45.8% |
| |
8월 4주차 | 46.7% |
| |
9월 1주차 | 44.6% |
| |
9월 2주차 | 44.3% |
| |
9월 3주차 | 44.2% |
| |
◀ 2024년 | |||
이 자료는 에너지경제신문이 의뢰하여 리얼미터에서 조사한 2025년 정당지지율 주간집계 결과임.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리얼미터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할 것.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주차 | 지지율 | 자세히 |
● 국민의힘 / ● 더불어민주당 / ● 조국혁신당 / ● 개혁신당 / ● 진보당 / ● 기타 / ● 모름ㆍ무응답 / ● 무당층 | |||
1월 2주차 | 32% |
| |
1월 3주차 | 35% |
| |
1월 4주차 | 38% |
| |
2월 1주차 | 39% |
| |
2월 2주차 | 37% |
| |
2월 3주차 | 37% |
| |
2월 4주차 | 37% |
| |
3월 1주차 | 34% |
| |
3월 2주차 | 38% |
| |
3월 3주차 | 32% |
| |
3월 4주차 | 36% |
| |
4월 1주차 | 33% |
| |
● 더불어민주당 / ● 국민의힘 / ● 조국혁신당 / ● 개혁신당 / ● 진보당 / ● 기타 / ● 모름ㆍ무응답 / ● 무당층 | |||
4월 2주차 | 34% |
| |
4월 3주차 | 37% |
| |
4월 4주차 | 38% |
| |
5월 1주차 | 39% |
| |
5월 2주차 | 38% |
| |
5월 3주차 | 42% |
| |
5월 4주차 | 40% |
| |
6월 2주차 | 45% |
| |
● 더불어민주당 / ● 국민의힘 / ● 조국혁신당 / ● 진보당 / ● 개혁신당 / ● 기타 / ● 모름ㆍ무응답 / ● 무당층 | |||
6월 4주차 | 45% |
| |
7월 2주차 | 45% |
| |
7월 4주차 | 43% |
| |
8월 1주차 | 44% |
| |
8월 3주차 | 40% |
| |
9월 1주차 | 43% |
| |
9월 3주차 | 41% |
| |
2024년 ◀ | |||
이 자료는 엠브레인퍼블릭ㆍ케이스탯리서치ㆍ코리아리서치ㆍ한국리서치에서 공동으로 조사한 2024년 정당지지율 주간집계 결과임. 각 주차마다 3일간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하였음.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전국지표조사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할 것.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주차 | 지지율 | 자세히 |
● 국민의힘 / ● 더불어민주당 / ● 조국혁신당 / ● 개혁신당 / ● 진보당 / ● 기타 / ● 모름ㆍ무응답 / ● 무당층 | |||
1월 1주차 | 26.8% |
| |
1월 2주차 | 33.2% |
| |
1월 3주차 | 38.1% |
| |
1월 4주차-현안미포함 | 37.8% |
| |
1월 4주차-현안포함 | 36.5% |
| |
2월 1주차 | 34.3% |
| |
2월 2주차 | 34.3% |
| |
2월 3주차 | 35.8% |
| |
2월 4주차 | 30.4% |
| |
3월 1주차 | 34.3% |
| |
3월 2주차 | 34.3% |
| |
3월 3주차 | 34.4% |
| |
3월 4주차 | 31.6% |
| |
3월 5주차 | 30.5% |
| |
4월 1주차 | 28.9% |
| |
4월 2주차 | 30.1% |
| |
4월 3주차 | 31.1% |
| |
4월 4주차 | 31.3% |
| |
5월 1주차 | 34.5% |
| |
5월 2주차 | 30.4% |
| |
5월 3주차 | 32.0% |
| |
5월 4주차 | 31.1% |
| |
5월 5주차 | 21대 대선 직전 주(공표금지 기간) 관계로 조사 쉼 | - | |
● 더불어민주당 / ● 국민의힘 / ● 조국혁신당 / ● 개혁신당 / ● 진보당 / ● 기타 / ● 모름ㆍ무응답 / ● 무당층 | |||
6월 1주차 | 52.9% |
| |
6월 2주차 | 내부 사정으로 조사 쉼 | - | |
● 더불어민주당 / ● 국민의힘 / ● 조국혁신당 / ● 진보당 / ● 개혁신당 / ● 기타 / ● 모름ㆍ무응답 / ● 무당층 | |||
6월 3주차 | 53.7% |
| |
6월 4주차 | 56.4% |
| |
7월 1주차 | 57.0% |
| |
7월 2주차 | 57.8% |
| |
7월 3주차 | 58.9% |
| |
7월 4주차 | 59.3% |
| |
8월 1주차 | 55.3% |
| |
8월 2주차 | 56.7% |
| |
8월 3주차 | 54.0% |
| |
8월 4주차 | 49.7% |
| |
8월 5주차 | 50.3% |
| |
9월 1주차 | 55.6% |
| |
9월 2주차 | 56.3% |
| |
9월 3주차 | 56.2% |
| |
2024년 ◀ | |||
이 자료는 여론조사꽃에서 자체적으로 조사한 2025년 정당지지율 주간집계 결과임. 각 주차마다 2일간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하였음.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 유튜브 채널 본 방송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할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