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2 16:11:02

대탈출: 더 스토리/파묘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0"
[[대탈출: 더 스토리|
파일:대탈출: 더 스토리 화이트 로고.png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5%; color:#fff;margin-top:3px"
{{{#!folding [ 출연 멤버 ]
{{{#!wiki style="margin: 0 -1px"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
[ 방영 목록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white,#1c1d1f><tablebgcolor=white,#1c1d1f><width=10000> 파묘 || 조선의 살인귀 || 여기는 새땅 ||
폐광산의 비밀 신인류
[ 관련 문서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white,#1c1d1f><tablebgcolor=white,#1c1d1f><width=10000> 대탈출 ||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px -10px; padding: 5px 0px"
파일:DTCU.png
{{{#!wiki style="min-width: 100px; 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5%"
{{{#!folding [ 프로그램 ]
<tablewidth=100%> 파일:대탈출 로고 검정.png 파일:여고추리반 타이틀 로고.png
파일:대탈출: 더 스토리 화이트 로고.png 파일:여고추리반2 타이틀 로고.png
파일:P001754831.webp
대탈출 에피소드 목록 여고추리반 방영 목록
대탈출: 더 스토리 에피소드 목록 여고추리반2 방영 목록
여고추리반3 방영 목록
}}}}}}
[ 출연진 ]
||<tablewidth=100%><-6><width=1000><rowbgcolor=#ffe400,#010101><color=#373a3c,#ffe400> 대탈출 탈출러 ||
<rowcolor=#ffe400> 파일:대탈출 강호동.png
파일:대탈출2_강호동.png
파일:대탈출 김종민.png
파일:대탈출2_김종민.png
파일:대탈출 김동현.png
파일:대탈출2_김동현.png
파일:대탈출 신동.png
파일:대탈출2_신동.png
파일:대탈출 유병재.png
파일:대탈출2_유병재.png
파일:대탈출 피오.png
파일:대탈출2_피오.png
대탈출: 더 스토리 탈출러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여고추리반 추리러
파일:여고추리반박지윤.png
파일:여고추리반장도연.png
파일:여고추리반재재.png
파일:여고추리반비비.png
파일:여고추리반예나.png
파일:여고추리반 타이틀 로고.png
여고추리반2 추리러
파일:여고추리반2 박지윤.png
파일:여고추리반2 장도연.png
파일:여고추리반2 재재.png
파일:여고추리반2 비비.png
파일:여고추리반2 최예나.png
파일:여고추리반2 타이틀 로고.png
여고추리반3 추리러
파일:여고추리반3 학생증 박지윤.png
파일:여고추리반3 학생증 장도연.png
파일:여고추리반3 학생증 재재.png
파일:여고추리반3 학생증 비비.png
파일:여고추리반3 학생증 최예나.png
파일:P001754831.webp
[ 세계관 ]
||<|2><tablewidth=100%><colcolor=#491413><color=#ffffff> 세계관 ||<-9><rowbgcolor=#000000><rowcolor=#ffffff,#ffffff> 에피소드 목록 ||
<rowcolor=#ffffff> 대탈출 대탈출2 대탈출3 대탈출4 대탈출: 더 스토리 여고추리반
좀비
세계관
폐병원 부암동 저택 무간교도소 좀비공장 적송교도소
희망연구소
귀신
세계관
악령감옥 조마테오 정신병원 어둠의 별장
태양여고
SSA
세계관
미래대학교 빵공장 제3공업단지 새라여고
하늘에 쉼터 태평여고 송화여고
타임머신
세계관
타임머신 연구실 백 투 더 경성 백 투 더 아한 대탈출: 더 스토리
기울임은 유니버스에 포함되지만 세계관 주요 소재와 직접적인 관련이나 언급이 없는 에피소드
[ 관련 문서 ]
||<tablewidth=100%><width=1000><tablebgcolor=#FFFFFF,#191919><colbgcolor=#000000><colcolor=#ddd> 제작진 / 방송사 ||
정종연 | 임수정 | 이우형 / tvNTVING
관련 하위 문서
대탈출 틀대탈출 포스터대탈출 평가대탈출 BGM대탈출 마이너 갤러리명장면 TOP 50절대 ~하지 마시오
대탈출 분류대탈출: 더 스토리 분류여고추리반 분류대탈출 틀대탈출: 더 스토리 틀 | 여고추리반 시리즈 틀여고추리반 틀여고추리반2 틀여고추리반3 틀
}}} ||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1. 오프닝2. 첫 번째 탈출 - 파묘
2.1. 2025년
2.1.1. 타임머신 연구실2.1.2. 타임머신 TM-002
2.2. 1900년대
2.2.1. 어느 산골2.2.2. 무덤
2.2.2.1. 입구2.2.2.2. 벽화의 방
3. 에피소드 등장인물4. 평가
4.1. 멤버별 평가
4.1.1. 강호동4.1.2. 김동현4.1.3. 유병재4.1.4. 고경표4.1.5. 백현4.1.6. 여진구
5. 여담

1. 오프닝

1~2화 예고

7월 23일에 공개된 에피소드이자 첫 번째 금척 조각에 관한, 대탈출: 더 스토리의 첫 번째 에피소드

2. 첫 번째 탈출 - 파묘

2.1. 2025년

2.1.1. 타임머신 연구실

김동현
- 종합 격투기 선수 출신, 월등한 피지컬 — 파이터 기질
- 한국사검정능력시험 5급 (똑똑한 두뇌 겸비?)
- 겁이 많을 듯 다기 보다 반사 신경이 뛰어난 듯.
강호동
- 천하장사 출신, 강인한 신체 보유
- 좀비로 변했다가 살아난 경험 있음
→ 끈질긴 생명력 ... 강인한 정신력?
- 정신적 지주?
고경표
- 두뇌, 체력, 연기, 노래, 패션 감각 등
모든능력을 갖추고 있음. 종합 예술인?
- 입금전후가 다르다는 소문있음. → 선입금 필요?
백현
- 재주꾼 사주
- 잔머리 능력치 최상급.
- 빛을 다스리는 초능력?[2] → 확인필요
유병재
- 문제 해결 능력 上, 자타공인 브레인
- 대장으로서의 자질이 보임 (유대장?)
여진구
- 선한 눈빛과 차분한 중저음 목소리 (100% 신뢰할 수 있을듯)
- 아직 알려진 바가 많지 않아 추가 연구 필요

2.1.2. 타임머신 TM-002

2.2. 1900년대

2.2.1. 어느 산골

2.2.2. 무덤

2.2.2.1. 입구
2.2.2.2. 벽화의 방

3. 에피소드 등장인물

4. 평가

첫 번째 에피소드 - 파묘
탈출 성공 여부 전원 탈출 성공
탈출 조건
효수왕의 무덤에서 금척 조각을 찾아 타임머신에 탑승 후 2025년으로 복귀
탈출 실패 분기점
동물 발자국 함정에서 잘못된 칸을 밟고 시간 내에 대피하지 못해 내려오는 창에 깔림
진짜 통로가 아닌 함정인 보물창고의 문을 열거나 보물을 훔침(추측)[16]
마지막 방 도달 후 조선총독부 고적조사단에게 발각
효수왕이 들고 있던 두개의 금척 조각 중 왼손에 든 진짜 금척조각(녹슨 조각)이 아닌 오른손에 든 가짜 금척조각(금빛 조각)을 들고 나왔을 경우[17]

탈출러들의 움직임들 자체는 나쁘지 않았다. 기존의 탈출러들은 잘 풀어나갔고, 새로 온 탈출러들도 자기만의 개성을 가지고 탈출을 해나가는 데 있어서 크게 어려움 없이 잘 풀어나갔거니와 세트를 비롯한 소품들의 퀄리티 역시 대탈출답게 공들인 편.

문제는 우선 부제부터 스토리에 집중하겠다고 선언한 것에 비해 스토리의 구성이 좋지 못했다는 것이다. 이번 스토리는 기존에도 무리하게 이어나갔다가 혹평받은 세계관인 타임머신 세계관을 들고 왔는데 그러다보니 기본적으로 신선한 재미가 있기는 어려운 상황이었던데다가 금척과 관련한 스토리도 시작점이나 구성이나 모든게 빈약했던지라 반응이 애매했고, 결국 이 금척조각을 찾는 것으로 전체 스토리를 구성하는 식으로 가는 바람에 기존 대탈출이 가지고 있던 장점이었던 여러 세계관에서 다양한 구도의 탈출을 보기가 어려워지게 되었다. 그리고 추리 및 퍼즐적인 요소를 줄이고 스토리에 좀 더 치중하는 면을 보여줬는데 이러다보니 이전작들과 비교했을때 좀 이질감이 드는 전개가 진행되게 되었다. 원래 대탈출의 컨셉은 논리적인 추리와 관찰을 바탕으로 한 "방탈출"이었는데 이번 시리즈는 예전에 00년대에 주로 진행했었던 납량특집 방송들처럼 추리보다는 "체험"적인 면이 더 부각되는 모습이 보인다.

그리고 "문자"와 "일제강점기"라는 특정 소재에 너무 의존하는 모습도 많이 보여주었다. 전자의 경우에는 추리의 대체요소로 가져온 것 같은데 단순히 해독표를 가지고 읽거나 한자 자체를 읽을줄만 알면 퍼즐이 해결되는 식으로 너무 단순하게만 활용되었고 후자의 경우는 이미 "백 투 더 경성"에서 나왔던 전적이 있는지라 신박하기보다는 "쟤네 또 나오네?"라는 뜨뜻미지근한 반응이 대부분이다. 그렇다고 SSA나 천해명 일가처럼 메인 세계관과 관련있는 단체나 인물들이 다시 나온것도 아니고. 특히 "일찍 죽은 어린 왕과 황금이 잔뜩 묻혀있는 무덤"이라는 컨셉은 이집트의 유명한 괴담인 "투탕카멘의 저주"를 그대로 가져와서 효수왕의 배경으로 써먹은 것으로 보인다.

편집 또한 너무나 재미 없는 구도였다. 그냥 탈출만 냅다 하는 구도로 흘러가는 바람에 탈출러들의 케미나 다양한 상황에서 보여지는 예능적인 재미가 거의 없었다. 그러다보니 기존 대탈출이 지니고 있던 예능적 재미를 내다 던진 모습이었다. 다음 에피소드에서 더 괜찮게 나올 수 있겠지만 모든 작품에서 첫 단추가 중요한데 이런 퀄리티로 내놓았단 점에서 불호가 더 많은 여론이다.[18] 특히 "스토리"를 강조하면서도 정작 인물들의 심리를 보여주는 원샷이나 스케치들이 상당히 부족한데 이는 동선 및 카메라 배치의 한계 때문에 그런 것으로 보인다.

자막 또한 웹예능스럽게 바뀌었고 인터넷 댓글로 주로 사용되는 말투를 사용했는데 이런 자막이 작중의 진지한 상황과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경우가 대다수여서 이질감만 잔뜩 보여주었다.[19]

애당초 대탈출이 문제적 남자와는 다른 팬층을 보유하고 있었던 것은 단순히 퍼즐을 풀고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거기에 시청자들이 몰입할 수 있는 요소가 있기 때문이었다. 물론 이번 시즌에서 전면에 내세운 '스토리'도 그 요소 중의 하나였으며, 사실적인 세트장 속에서 몰입한 멤버들의 진지한 상황극도 중요한 요소였지만, 가끔씩 분위기를 풀기 위해 멤버들간에 나누는 장난이나 농담같은 케미도 몰입 요소 중의 하나였다.[20][21] 그런 케미를 편집해버린 것[22]은 아쉬운 부분이다.

심각한 것은 이 모든 비판이 시즌 4 초반에도 지적되었던 문제였음에도 같은 잘못을 그대로 답습했다는 점이다. 시즌 4는 그나마 아한 편 촬영 도중 예상치 못한 폭우라는 악재가 발생했다는 핑계라도 있었고, 첫 화에 비판을 받자 이후 2화부터 편집 스타일이나 자막 요소를 최대한 이전 시즌과 비슷하게 변경하는 결단을 내렸었다. 하지만 이번 시즌은 JJY가 없고..
사실상 시즌 자체를 미리 만들어놓았기에 큰 틀에서의 변화를 가져오기 매우 어려울 가능성이 높기에 큰 변화를 가져오기 어렵다는 점에서 더욱 아쉬울 수 밖에 없다.

4.1. 멤버별 평가

4.1.1. 강호동

여전히 큰형으로서 멤버들을 잘 이끌었고 힘이 필요할 때는 적극적으로 벽을 부수는 사용하는 장면도 보여주었다. 상형 문자표를 끝까지 챙겨 마지막까지 문자 해석을 돕기도 했다.

다만 조선총독부 고적조사단이 도굴을 하는 장면에서, 고적조사단에게 분노하여 뛰쳐나가려고 하는 등 쓸데없는 상황극[23]을 시도하여, 팀을 위기에 빠뜨릴 뻔 했다. 물론 강호동은 '여기서 분노하는 상황극을 조금 한다고 해도 별 문제는 없을 것이다' 라고 생각했을 가능성이 크다. 그러다가 고적조사단에게 들킬뻔하자, 상황극만으로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을 뒤늦게 깨닫고 갑자기 얌전해지는 모습도 볼 수 있다. 하지만 불필요한 소리를 내어 팀을 위기에 빠뜨릴 뻔 한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24]

4.1.2. 김동현

기억력이 약해 동물 발자국 함정에서 잘못된 칸을 밟는 실책을 저질렀다. 다행히 재도전이 가능한 관문이었고, 이후 헷갈리지 않게 장갑을 칸마다 놓고 가자는 아이디어를 냈다. 그래도 한자 다이얼 문제에서는 뫼 산(山)자 2개를 합치면 날 출(出)자가 된다는 것을 떠올려 문제를 풀어내는 활약을 했다.

4.1.3. 유병재

자신과 함께 양대 브레인이었던 신동이 곁에 없는 만큼, 가장 믿을 만한 브레인으로서 강호동과 함께 리더격 역할을 맡았다. 중간중간 나오는 고대 상형 문자 해석을 맡았고, 문 함정에서는 문 문(門)자에 철창에 희미하게 그려진 문자가 더해지면 열 개(開)가 된다는 것을 알아채 철창을 내려야 한다는 것을 유추해 냈다.

4.1.4. 고경표

무서운 곳에 앞장서는 등 행동력이 뛰어난 모습을 보였다. 동물 발자국 함정에서는 여진구와 함께 화살 개수의 역순이 정답일 가능성을 제시하고 입증했으며, 조선총독부 고적조사단이 두 번째로 들이닥쳤을 때 간발의 차로 밖에 떨어져 있던 천을 가져와 통로를 가리거나 멤버들의 몸이 수색당할 때는 금척 조각과 탐지기를 바닥에 떨어뜨려 숨기는 순발력을 보여주기도 했다.

4.1.5. 백현

처음의 초대장 퍼즐에서 모두 겹쳐보자는 실마리를 제시하거나 무덤 입구 문양을 찾아내고서 입에 있던 물건을 사용하는걸 유추하고 문을 열기 위해 나무 조각에 적힌 한자대로 수문장의 자세를 바꾸자는 아이디어를 내고 동물 발자국 함정에서 맨마지막줄에 빈 발판을 발견한 뒤 이를 사람 칸이라 판단해 역순으로 가자는 의견을 가장 먼저 제안하는 등 신흥 브레인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였다. 신동이 하차한 지금 새로운 퍼즐 풀이의 강자로 떠오를 수 있을지가 중요해 보인다.

4.1.6. 여진구

다른 새 멤버들에 비하면 많은 임팩트를 주지는 못했지만, 고경표와 함께 동물 발자국 함정을 풀어내거나 용상 아래의 상자를 찾아내고 김동현이 놓친 토우 인형을 회수하는 등 소소하게 활약했다. 막내로서 멤버들을 안내하거나 뒤처리보필를 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했다.

5. 여담


[1] 즉, 시즌3~시즌4의 타임머신을 탑승한 사람.[2] 실제로 엑소의 멤버별로 부여된 초능력이 빛이다. 물론 SM이 부여한 컨셉[3] 연구 보고서가 있던 책상 가운데에서 올라온다.[4] 즉, TM-001과는 다르게 금척이 이끄는 시대로 알아서 이동한다.[5] 돼지 피.[6] 원래의 시나리오는 비석에 피를 뿌리면 글씨가 나오지만 기상 문제로 인해 나오지 않았다고 한다.[7] 다만 의심스러운 면도 존재하는데 원래 신화에선 금척이 사람을 재서 죽은 사람을 살리거나 병자를 치유하는 능력 외에는 전해지지 않는다. 그런데 연구원은 파멸의 미래를 피하기 위해 금척이 필요하다고 했고 설명도 뭔가 과장된 느낌이 강했고 거기다 본인도 생명 유지 장치에 있어야 할 정도로 위중한 상황이기에 본인의 병을 치유하기 위해 금척을 구하려고 탈출러들을 이용하는 게 아니냐는 의혹도 언급되고 있다.[8] 더 글로리 무당 배우다.[9] 비슷한 나이에 즉위해 사망했다.[10] 베어낸 목을 내거는 효수랑 같은 말이다.[11] 보물창고가 있는데 목이 잘린 유해가 문앞에 놓여있었다. 정황상 금괴 등을 문의 구멍을 통해서 훔치려다 목이 베인걸로 보인다. (이쪽은 가시천장과 달리 자동 함정은 아니지만 플롯을 위해 친절히 리셋되어 있었다.)[12] 이 외에 발판을 순서대로 안 밞으면 가시천장이 내려오는 덫도 있지만 발을 헛딛여 삑사리 나기도 쉽고 한번에 주파하기 힘든 문제여서 그랬는지 멤버들이 도망칠 시간은 충분히 준다.[13] 다만, 계급장을 보면 부하들은 이등병이지만 대장은 일등병(...)으로 되어 있다. 무기들의 경우 Kar98k 에어소프트건과 대충 모양을 흉내낸 마우저 권총으로 되어있다.[14] 둘을 가지고 있던 고경표가 뒷쪽 바닥에 몰래 버려 숨겼다.[15] 이후 폐광산의 비밀 편에서 다시 언급된다.[16] 확실하지는 않지만 도굴꾼의 목이 잘린 유해를 보면 보물창고를 열거나 도굴을 시도하면 탈출실패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았다.[17] 다만 스토리 진행을 위해 탈출러들이 가짜 금척조각을 들고 나갈려고 했다고 해도 곧바로 고적조사단이 투입돼 몸수색으로 가짜 금척조각만 뺏고 나갔을 가능성이 높다.[18] 이야기가 너무 무난하다. 즉 기승전결은 좋지만 드라마가 아닌 예능이기에 톡 쏘는 재미가 거의 없다. 일단 구성도 무난하다 보니 긴장감이나 뭔가 기대하게 만드는 재미가 부족하다. 특히 대탈출의 묘미이자 생명인 출연진간의 케미가 전혀 느껴지지 않았다.[19] 후술하겠지만, 시즌 4의 첫 화인 아한 1부도 웹발 개드립을 부적절하게 투입했다 비판 받았다.[20]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인간적으로 서로 친분이 있어 보이는 형동생들이 힘을 합쳐 함께 위기를 극복해나가는 모습이 시청자를 몰입하게 했다.[21] 여고추리반과 비교를 했을 경우에도 이 부분은 두드러진다. 여고추리반의 경우, 사실상 주요멤버들의 이름을 제외하면 거의 대부분의 것들이 제작진에 의해서 설정된 내용들이다. 40대 중반의 여성이 여고생이 되고, 20살 차이가 나는 조카뻘아이와 동급생 친구가 된다. 하지만 대탈출에서 강호동은 그대로 강호동이 되고, 유병재는 그대로 유병재가 되며, 김동현은 그대로 김동현이 된다. 상황극이나 설정이 개입되지 않은채로 멤버들의 인간적인 케미가 살아있는 것은 대탈출 시리즈의 특징이자 장점 중의 하나였다는 것이다.[22] 멤버들이 탈출장소에 들어가기 전 이야기를 나누는 장면이 모두 편집되고, 탈출장소에 들어가는 장면부터 1편이 시작된다든지[23] 콩트외에는 연기 경험이 없는 강호동이기에 연기력이 형편없었음은 굳이 논하지 말자[24] 이전 시즌에서도 적송교도소 편에서 아무리 암흑 속이었다지만 신동 좀비를 보고 흐느끼는 소리를 내서 좀비들이 반응하는 등 여럿 불필요한 상황극이 지적을 받곤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