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7 18:55:48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c479c> 매각, 그룹 해체 이전 계열사 종합상사 (주)대우 (상사부문 , 건설부문* , 섬유사업부문 , 극장사업부문 , 물류사업부문* ) 전자·정보통신 대우전자 (모니터사업부문* ) | 대우전자부품 | 대우통신 (통신사업부문 ) | 대우캐리어 | 대우정보시스템 | 오리온전기 (오리온디스플레이 ) | 한국전기초자 | 한국산업전자 | 대우반도체 | 대우ST반도체설계 | 동흥전기 | 한국신용유통 | DCN 금융 대우증권 | 삼보증권 | 다이너스 클럽 코리아 | 대우투자금융 | 대우캐피탈 | 대우창업투자 자동차 대우자동차 (승용차부문 , 상용차부문* , 버스부문 ) | 대우자동차판매 (건설부문* ) | 대우정밀공업 | 쌍용자동차 (팬서 웨스트윈즈 ) 중공업 대우중공업 (기계부문 , 조선해양부문 , 항공사업부문 , 경형자동차사업부문 ) | 동명중공업 | 한국철도차량 | 대우전장 | 대우파츠닉 건설 대우엔지니어링 | 대창기업 | 경남기업 | 경남시니어타운 | 광주제2순환도로 | 한일대우시멘트 | 경우정화기술 유통·호텔·서비스 대우백화점 | 대우개발 | 설악개발 | 아도니스 | 동우공영 | 유화개발 | 일산역사 | 하노이 대우호텔* 섬유·화학 대우어패럴 | 신성통상 | (주)고려 | 일광화학공업 | 대우실업 스포츠 부산 대우 로얄즈 | 레기아 대우 바르샤바 | 인천 대우 제우스 | 대우증권 남자 탁구단 | 대우중공업 여자 테니스단 싱크탱크 대우경제연구소 매각, 그룹 해체 이전 CSR 교육·문화·보건·복지 대우재단* 학교 대우학원* (아주대학교 , 거제대학교 , 아주자동차대학교 ) | 지성학원 (거제고등학교 , 거제중학교 , 대우초등학교 ) 의료 아주대학교의료원 | 대우조선 의료재단 기타 관련 단체·건물 대우세계경영연구회* | 대우인회* | 대우센터빌딩 | 대우빌딩 | 고등기술연구원 주요 경영진 김우중 | 장병주 | 김덕중 | 이재명 | 추호석 | 이한구 * 현재 대우 상표 유지중
}}}}}}}}} || <colbgcolor=#006cb7><colcolor=white> 대우전자부품 Daewoo Electronic Components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다국적 기업 ) 창립일 1973년 10월 13일 주요 인물 서중호 (대표이사) 문종은 (대표이사) 정명환 (전무이사) 정환욱 (전무이사) 산업 분야 자동차부품, 전자부품, 전장 종목 코드 009320 KOSPI 주소 <colbgcolor=#006cb7><colcolor=white> 본사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공단2길 3(망제동) 사업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3px -1px -12px" <colbgcolor=#006cb7><colcolor=white> 정읍사업장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공단2길 3(망제동) 동탄연구소 경기도 화성시 동탄대로 635 (영천동) 대전연구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테크노중앙 65 (관평동) 아진그룹 기술교육원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공단4로 171(신상리 1191-3) 중국사업장 중국 장쑤성 쑤저우시 상성경제개발구 강원로 777 베트남사업장 베트남 빈즈엉성 Tan Dinh Viliage Ben Cat Disrict }}}}}} 모기업 아진그룹 웹 사이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기업 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6cb7><colcolor=#ffffff> 매출액 1,005억 193만 4,262원(2022년 기준) 영업 이익 57억 6,051만 5,771원(2022년 기준) 직원 수 250명(2022년 기준)
}}}}}}}}} ||1 . 개요2 . 지배 구조3 . 역사4 . 관련 문서
아진그룹 계열 자동차전장 및 전기차 수소차부품을 제조하는 대한민국의 다국적 기업 . 대우그룹 전자부품 사업의 후신이다.2. 지배 구조 2021년 7월 기준 주주명 지분율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우신산업 14.21%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서중호 9.85%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아진산업 9.73%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성영주 0.15%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서준교 0.06%
1973년 10월 대한전선 이 일본 의 마루콘전자와 합작 으로 대한마루콘전자(주)를 설립한 뒤 1979년 대한콘덴서(주)로 상호를 변경하였고, 1983년 대한전선 가전사업부문이 대우그룹에 인수되어 함께 편입되면서 대우전자부품(주)으로 변경하였다. 1989년 증권거래소에 주식을 상장하였다. 대우그룹 편입 후부터 업종을 변경해 자동차 부품사업을 영위하고 있다.1997년 외환 위기 후 1999년 8월 대우전자부품은 대우그룹 의 다른 계열사들과 함께 워크아웃 에 들어가면서 기나긴 세월 동안의 방황을 시작하게 된다. 이후 2000년 콘덴서용 알루미늄박 생산업체이자 대우부품의 하청업체였던 '알루코'가 회사를 인수하면서 ‘파츠닉’으로 이름을 변경했다. 이후 2009년 법정관리에 들어가고 아진그룹 에 편입된 후 사명을 다시 ‘대우전자부품’으로 바꿨다. 대우 브랜드를 사용하는 편이 더 인지도가 높고, 대우그룹 해체 후 '대우' 브랜드 소유권을 가진 포스코인터내셔널이 구 대우 계열사와 임직원들에 한해서 대우 브랜드의 라이센스 비용을 면제해주기 때문.# 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