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7 17:07:10

단다단(애니메이션 2기)

단다단 2기에서 넘어옴

[[단다단|
파일:단다단 애니플러스 로고.png파일:단다단 한글 화이트 로고.png
]]


야마시로 후가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000000><bgcolor=#fff001> 파일:단다단_공식로고(일본어).webp ||<bgcolor=#fff001> 파일:단다단_공식로고(일본어).webp ||
[[단다단(애니메이션 1기)|
단다단 (2024)
]]
[[단다단(애니메이션 2기)|
단다단 2기 (2025)
]]

상세 정보 링크 열기

'''
단다단 2기 (2025)
ダンダダン 第2期
Dandadan Season 2
'''
<nopad> 파일:단다단 2기 키 비주얼 제1탄.jpg
{{{#ceff00,#ceff00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020202,#020202><colcolor=#ffffff,#e0e0e0> 장르 오컬트, 퇴마, 배틀, 액션,
코미디 공포, SF, 러브 코미디
원작 타츠 유키노부
감독 야마시로 후가
아벨 공고라
부감독 ○○
시리즈 구성 ○○
각본 ○○
캐릭터 디자인 ○○
우주인 / 요괴 디자인 ○○
미술 감독 ○○
색채 설계 ○○
컬러 스크립트 ○○
촬영 감독 ○○
편집 ○○
음향 감독 ○○
음향 효과 ○○
녹음 조정 ○○
음악 ○○
제작' ○○
치프 프로듀서 ○○
프로듀서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애니메이션 제작 사이언스 SARU
제작 '''
단다단
''' 제작위원회
방영 기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5. 07. 04. ~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TBS(슈퍼 아니메이즘 TURBO)
(금) 00:2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정
스트리밍
[[넷플릭스|
NETFLIX
]]
#!if 링크 != null
[[https://www.netflix.com/title/81736884|▶]]
#!if 주석 != null
^^자체수입^^
#!if 링크1 != null
[[https://www.netflix.com/title/|▶]]
#!if 주석1 != null
^^^^
#!if 링크2 != null
, [[https://www.netflix.com/title/|▶]]
#!if 주석2 != null
^^^^
편당 러닝타임 ○○분
화수 ○○화
시청 등급 미정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일본어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영어
}}}}}}}}}}}} ||

1. 개요2. 공개 정보
2.1. PV2.2. 키 비주얼
3. 줄거리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4.1. 기타 등장인물 및 성우진
5. 설정6. 주제가
6.1. OP6.2. ED
7. 회차 목록8. 회차별 WEB 예고편9. 해외 공개
9.1. 대한민국9.2. 미국
10. 평가
10.1. 방영 전10.2. 방영 후
11. 기타


1. 개요

일본의 만화 단다단을 원작으로 한 TV 애니메이션 시리즈 중 제2기. 감독은 야마시로 후가 / 아벨 공고라, 방영 시기는 2025년 7월.

2. 공개 정보

2.1. PV

<rowcolor=#ceff00> 제2기 결정 CM
<rowcolor=#ceff00> 티저 PV

2.2. 키 비주얼

파일:단다단 제2기 티저 비주얼.jpg
파일:단다단 2기 키 비주얼 제1탄.jpg
<rowcolor=#ceff00> 티저 비주얼 키 비주얼 제1탄
<rowcolor=#ceff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영어 ▼
{{{#!wiki style="margin: -5px -1px"
파일:단다단 2기 티저 비주얼 EN.jpg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5%"
{{{#!folding 논텔롭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width=100%> 파일:단다단 2기 티저 비주얼.webp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영어 ▼
{{{#!wiki style="margin: -5px -1px"
<tablewidth=100%> 파일:단다단 2기 키 비주얼 제1탄 EN.jpg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5%"
{{{#!folding 논텔롭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width=100%> 파일:단다단 2기 키 비주얼 제1탄.webp }}}}}}}}}}}}

3. 줄거리

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단다단/등장인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단다단/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단다단/등장인물#|]][[단다단/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단다단 애니플러스 로고.png

'''
'''TV 애니메이션 단다단 2기
주요 [[단다단/등장인물|
등장인물
]] & 성우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ㆍ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아야세 모모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와카야마 시온 / 파일:미국 국기.svg 애비 트롯
타카쿠라 켄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하나에 나츠키 / 파일:미국 국기.svg A.J. 베클스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엔조지 진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이시카와 카이토 / 파일:미국 국기.svg 알렉스 리
터보 할멈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타나카 마유미 / 파일:미국 국기.svg 바바라 굿슨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아야세 세이코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미즈키 나나 / 파일:미국 국기.svg 카리 월그런
시라토리 아이라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사쿠라 아야네 / 파일:미국 국기.svg 리사 레이몰드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갯가재 성인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세키 토모카즈 / 파일:미국 국기.svg 브렌트 무카이
타로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스기타 토모카즈 / 파일:미국 국기.svg 케이지 탕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키토 나키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이소베 마사코 / 파일:미국 국기.svg 미정
사안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타무라 무츠미 / 파일:미국 국기.svg 미정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만지로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미정 / 파일:미국 국기.svg 미정
사카타 킨타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미정 / 파일:미국 국기.svg 미정
}}}}}}}}}

4.1. 기타 등장인물 및 성우진

5. 설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단다단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단다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단다단#설정|설정]][[단다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주제가

6.1. OP

OP
(원제목)
(번역명)
TV ver.
Full ver.
<colbgcolor=#020202><colcolor=#fff,#e0e0e0> 노래 -
작사 -
작곡 -
편곡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20202,#020202><colcolor=#fff,#e0e0e0>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 ||

6.2. ED

ED
(원제목)
(번역명)
TV ver.
Full ver.
<colbgcolor=#020202><colcolor=#fff,#e0e0e0> 노래 -
작사 -
작곡 -
편곡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20202,#020202><colcolor=#fff,#e0e0e0>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 ||

7. 회차 목록

<rowcolor=#fff,#e0e0e0> 회차 제목[2]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총작화감독 방영일
제○○화 선행: 2025.06.06.
日: 2025.07.04.
제○○화 선행: 2025.06.06.
日: 2025.07.
제○○화 선행: 2025.06.06.
日: 2025.07.

8. 회차별 WEB 예고편

<colbgcolor=#020202><colcolor=#ceff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9. 해외 공개

9.1. 대한민국

9.2. 미국

GKIDS를 통해 첫 세 에피소드를 「DAN DA DAN: EVIL EYE」라는 제목으로 6월 6일 극장에서 선행 상영한다. 야마시로 후가아벨 공고라의 단독 인터뷰도 진행한다.

10. 평가

10.1. 방영 전

현재까지 나온 티저 비주얼을 미루어 보아 2기의 메인이 될 요괴 사안, 음악실의 위인들, 바모라가 입었던 괴수 슈트가 나왔으며, 티저 예고편에서는 키토 나키가 나왔으므로 최소 사안 편부터 단지의 유령 편 도입부까지는 방영을 할 것으로 보인다. 또 1기에서 호평 받았던 감독인 야마시로 후가가 연임하고, 공동 감독으로 사이언스 SARU의 에이스 연출가 및 애니메이터인 아벨 공고라가 내정되면서 1기에서 지적받은 단점도 메꿀 수 있는 완전체 퀄리티가 될 것이라 기대하는 반응이 많다.[3]

특히 이번 편인 사안 편부터 본격적으로 액션 스케일이 커지고, 여러 설정들과 등장인물들이 등장하기에, 이번 시즌의 성과가 가장 중요한 분기점으로 볼 수 있다.

10.2. 방영 후

11. 기타


[1] 하루 전인 19일에 실수로 2기 제작 결정 PV가 잠시 공개되는 해프닝이 있었다.[2]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3] 다른 시퀀스들은 호평일색이었으나, 격투 연출에서 어색하다는 지적이 꽤 있었다.[4] 둘 다 체인소 맨의 1부의 어시스트를 담당하였다.[5] 특히 단다단의 만화 작가 타츠 유키노부는 아예 작가 후지모토 타츠키의 메인어시스트였다.[6] 여기서 다른 점은 레제편의 경우 극장 개봉이라서, 크게 본 작하고 비교될 일은 적으며, 앞선 3분기 경쟁작들과 달리 개봉시기 역시 일본 9월 19일, 대한민국 9월 26일로 본 작이 2쿨이 아닌 이상 종영 직전이거나 종영한 상태에서 개봉하기에 체인소 맨과는 오히려 귀칼 무한성1부가 본 작과 체인소 맨의 유력 경쟁작이자 비교군이 될 전망이다.[7] 거기에다 극장판 체인소맨 레제편과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성 1부에서 하나에 나츠키 성우가 참여하는 데, 아이러니하게도 본 작의 남주인공 오카룽의 담당 성우이다.성우 쪽까지 경쟁 구도가 잡혀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