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30 18:28:54

다음커뮤니케이션

다음 커뮤니케이션에서 넘어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다음
,
,
,
,
,

파일:카카오(기업) 로고.svg
,출범 이전 역사,
파일:다음 로고.svg 파일:카카오(구) 로고.png
<colcolor=#fff> 다음커뮤니케이션
Daum Comunications
파일:다음 로고.svg
<colbgcolor=#608df9> 법인명[1] 정식: 다음커뮤니케이션 주식회사
영문: Daum Comunications Inc.
창업주 이재웅, 이택경, 박건희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설립일 1995년 2월 16일
명칭 변경일 2014년 10월 1일
(해산법인 카카오와 합병해 다음카카오(現 카카오)가 출범한 날짜.)
업종명 포털 및 기타 인터넷 정보매개 서비스업
상장여부 상장기업
상장시장 코스닥시장(1999.11~소멸 시까지)
소재지 제주특별자치도 다음글로벌미디어센터 & 스페이스닷원빌딩
후신 다음카카오
(2015년 9월 1일 카카오로 사명 변경)

1. 개요2. 제공 서비스3. 중단 서비스
3.1. 문서가 있는 서비스3.2. 문서가 없는 서비스
4. 여담
4.1. 본사 제주도 이전

[clearfix]

1. 개요

1995년이재웅과 공동 창업주 2인이 설립한 대한민국의 IT관련 기업이었다. 대표 서비스로는 온라인 검색 포털인 다음이 존재했으며, 2014년카카오(구)와 합병하면서 본 문서의 기업을 존속 법인으로 다음카카오가 출범하게 된다.

이후 2015년 9월 다음카카오가 카카오로 사명을 변경하면서 현재의 카카오는 옛 다음커뮤니케이션과 법적으로만 동일법인일 뿐이지 체제상으로는 카카오(구)를 승계하게 되었다.

2. 제공 서비스

파일:카카오(기업) 국문 로고.svg 서비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다음 아이콘.svg
다음
파일:icon_daum_mediadaum.png
다음 뉴스
파일:icon_daum_mail.png
다음 메일
파일:icon_daum_realestate.png
다음 부동산
파일:icon_kakao_iconnect.png
헤이카카오
파일:다음 사전 아이콘.png
다음 사전
파일:다음 카페 아이콘.svg
다음 카페
파일:멜론 아이콘.svg
멜론
파일:브런치 아이콘.svg
브런치스토리
파일:쇼핑하우 아이콘.png
쇼핑하우
파일:스토리채널 아이콘.svg
스토리채널
파일:아지트 아이콘.png
아지트
파일:증권플러스 아이콘.png
증권플러스
파일:카카오 i 번역 아이콘.png
카카오 i 번역
파일:카카오 T 아이콘.svg
카카오 T
파일:카카오드라이버2016.png
카카오 T 대리
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
카카오 TV
파일:카카오같이가치 아이콘.svg
카카오같이가치
파일:ic_kakao_games.png
카카오게임
파일:카카오내비 아이콘.svg
카카오내비
파일:카카오맵 아이콘.svg
카카오맵
파일:카카오메이커스 아이콘.svg
카카오메이커스
파일:카카오메일 아이콘.png
카카오메일
파일:카카오뮤직 아이콘.png
카카오뮤직
파일:카카오뱅크 아이콘.svg
카카오뱅크
파일:카카오버스2016.png
카카오버스
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
카카오스토리
파일:카카오이모티콘 아이콘.svg
카카오 이모티콘
파일:카카오워크.png
카카오워크
파일:카카오웹툰 아이콘.svg
카카오웹툰
파일:카카오지하철2016.png
카카오지하철
파일:카카오톡채널 아이콘.svg
카카오톡 채널
파일:카카오톡 아이콘.svg
카카오톡
파일:카카오톡 선물하기 아이콘.svg
카카오톡 선물하기
파일:카카오톡 쇼핑하기 아이콘.svg
카카오톡 쇼핑하기
파일:카카오쇼핑라이브 1대1 로고.png
카카오쇼핑라이브
파일:카카오페이 BI.svg
카카오페이
파일:카카오페이지 아이콘.svg
카카오페이지
파일:카카오프렌즈 아이콘.png
카카오프렌즈
(니니즈)
파일:카카오홈 아이콘.svg
카카오홈
파일:클립 아이콘.png
클립
파일:티스토리 아이콘.svg
티스토리
파일:팟플레이어 아이콘.svg
팟플레이어
파일:카카오스타일2016.png
패션
파일:icon_kakao_hairshop.png
카카오헤어샵
★ (주)카카오의 계열사 또는 관계사에서 위탁 운영하는 서비스}}}}}}}}}

서비스 전체 목록

다음의 많은 서비스들의 이름이 카카오로 바뀌거나, 서비스가 종료되고있다.

2.1. 다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다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다음커뮤니케이션의 주력 서비스.

2.2. 다음 메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다음 메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다음 주소록

2.4. 다음 카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다음 카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5. 다음 지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카카오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6. 다음 뉴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다음 뉴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7. 다음 게임

다음 게임은 다음커뮤니케이션이 카카오로 변모하면서 카카오 게임으로 서비스명이 변경되었다. 처음에는 지주회사인 카카오에서 관할하는 서비스 중 하나였지만, 이후 카카오가 게임 개발사인 (주)엔진을 인수해 2016년 카카오게임즈로 사명을 변경하면서 현재는 카카오 게임의 서비스 주체 또한 자회사인 카카오게임즈로 이관되었다. 따라서 현재의 카카오게임즈 자체가 옛 '다음 게임'인 것은 아니며, 그저 그룹 내에서 관할이 바뀐 것 뿐이다.

2.8. 다음 금융

2.9. 다음 부동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다음 부동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0. 다음 사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다음 사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1. 다음 캐쉬

다음 유료서비스를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인터넷 결제 수단

다음 웹툰, 다음 부동산 법원경매정보 이용권, 다음 게임 등에 사용가능하다.

3. 중단 서비스

카카오는 최근 다음의 여러 사업들을 잇달아 접고 있다. 카카오와 합병한 이후 전반적인 서비스들(즉, 다음 커뮤니케이션 측)을 기존의 PC 중심에서 모바일 중심으로 이동시키는 추세다.[2] 그러나 다음 클라우드 등 향후 신성장 소재로 이용 가능한 사업들을 급작스럽게 종료하는 데 있어 유저들의 반응은 좋지 못한 편이다. 이에 따른 기존 다음 유저들의 네이버구글으로의 이전[3] 등 사용자 이탈도 우려된다. 아래는 서비스가 종료되었거나 종료 예정인 목록이다.

3.1. 문서가 있는 서비스

3.2. 문서가 없는 서비스

4. 여담

4.1. 본사 제주도 이전

파일:external/weekly.chosun.com/2230_10_01.jpg

2003년부터 창업자 이재웅 대표에 의해 시작된 프로젝트로 정례 조찬회의 때 지각한 신입사원과의 에피소드에서 영감을 받아 시작했다고 한다.[4] 대표의 결단에 따라 통째로 이전하는 것이 아니라 직원들의 자발적인 결정을 이끌어 내기 위해 단계적으로 이전하기로 결정, 2004년 펜션 2동으로 시작한다. 2006년에는 제주도에 "다음글로벌미디어센터"를 열어서 미디어본부를 이전[5]시켰고, 결국 2009년 3월에 본사를 제주도로 이전시키기로 주주총회에서 결의했다.[6][7] 이로 인하여 다른 인터넷 기업에 다음 출신 인원들이 많이 퍼졌다는 소문이 났는데, 다음 직원의 확인 결과 그런 일은 없었다고 한다. 여기에는 제주특별자치도청의 후한 대접이 한몫하였는데, 다음이 새 본사를 선정하려고 하자 여러 지방들이 뛰어들었는데, 그중 제주특별자치도청이 제시한 것은 무려 서울 왕복 출퇴근 항공편 지원, 지원자에 한해 제주도 정착비 지원, 그 외 제주관광코스 무료 및 할인이었다고 한다.
파일:external/i2.media.daumcdn.net/20120422120211546.jpg
2012년에는 제주GMC(미디어본부) 이외에 새로 Space.1(스페이스닷원)이라고 새로 사옥을 신축한 후 이곳으로 본사 등기를 이전하였다. 따라서 이제 공식적으로 다음의 본사는 제주가 되었다. 하지만 아직 서울에 근무하는 직원이 더 많은 상태. 장기적으로 Space.1 근처에 사옥을 더 확장할 계획인데 다음-카카오 합병과 거의 비슷한 시점에 제2사옥이 완공되었다. 스페이스닷원은 2013년 동아일보와 SPACE가 선정한 월간 SPACE 선정 한국 현대건축 명작에 8위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그런데 그 SPACE에 실린 제2사옥 완공 기사를 보면 스페이스닷원이 제주도에 있는 것에 의미를 둔다느니 하는 소리가 있는 걸 보면 완벽하게 좋은 건물.



[1] 카카오(구)와 합병 및 다음카카오 출범 이전의 법인명.[2] 수익성이 안 좋다고 판단되는 사업만 접는 것 같다. 다음 입장에서는 계정당 50GB의 무료 클라우드 서비스가 상당한 부담이었던 듯.[3] 이건 네이트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는 상황이다. 둘 다 유저가 조금씩 줄어들고 있다.[4] 한경비즈니스 특집 기사 참조.[5] 기사 참조.[6] 조선일보 기사 참조.[7] 이때 제주도로 본사를 이전시킨 게 아니라 주주총회에서 '결의'만 한 것이다. 본사 이전 등기는 2012년에 이루어졌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3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3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