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특정한 개인이나 집단의 근거지를 의미하는 단어
공작원들이 비밀 작전 수행을 위해 작전 지역 내에 마련한 소규모 접선 장소, 혹은 반정부 투쟁을 하는 정치 단체의 비밀 거점을 일컫는다. 그러다 의미가 점점 확장되어 일반인들이 개인적으로 즐겨 찾거나 자주 머무르는 장소를 은유적으로 '아지트'로도 칭하게 되었다.대한민국에서는 북한과의 전쟁 및 빨치산, 남파 간첩 등 북한 공작원들과 오랫동안 싸워왔기 때문에 이들이 구축한 근거지를 '아지트'로 일컫기 시작했다. 냉전 기간에 북한 공작원들이나 빨치산들이 건설한 아지트가 많았으며, 일부는 보존되어 지금도 남아 있다. 특히 제주도에는 관광지로 개발된 곳도 있으니 구경할 수도 있다.
또 산 속에 은밀하게 구축한 구덩이를 국군에선 비트라고 하는데, 이것은 영어나 러시아어가 아니고 '비밀 아지트'를 두 글자로 줄인 말이라는 설이 있다. 표준국어대사전 항목 참고할 것. 그런데 '피트(pit, 구덩이)'를 군대식(?)으로 '삐트'로 부르던 것이 순(?)해져서 '비트'가 되었다는 설도 있다.
아지트의 어원은 일본어 アジト이다. 디지털 다이지센은 アジト를 영어 agitating point를 일본에서 축약한 말이라고 설명한다. 이한섭 전 고려대 교수도 일본어로 규정했다. 그런데 이한섭은 영어가 아니라 러시아어 агитпункт(agitpunkt)를 일본에서 줄인 말이라고 봤다.[1] 일본에선 더 줄여서 '아지(アジ)'라고도 한다.[2] 민중서림 엣센스 일한사전을 참고하면 알 수 있듯 한국어 아지트와 뜻과 용례가 대체로 일치한다. 그렇지만 표준국어대사전 항목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 한국어 아지트는 정치적인 뉘앙스가 없이 '어떤 사람들이 자주 어울려 모이는 장소'를 가리키기도 하는데 일본어엔 이런 뜻이 없다.
러시아어 '아기트푼크트(агитпункт)'는 선동, 선전을 의미하는 '아기타치야(агитация)'와 지점, 거점을 의미하는 '푼크트(пункт)'의 합성어다.[3] 원래 '아기트푼크트'는 공작원의 비밀기지를 가리키지 않고 어원에 걸맞게 소련에 있던 대민 사상교육과 선동을 담당하는 교육센터를 가리킨다. 일본, 한국의 '아지트'와는 그 의미가 많이 다른 셈.
간혹 '아지트'를 영어로 어떻게 쓰냐고 묻는 이들이 있는데, 한국에서 쓰는 아지트는 일본을 거쳐 의미가 번형된 말이기에 곧이 곧대로 'agit'라고 옮기는 것은 부적절하다.[4] 뜻을 살려 번역하면 \'hideout(비밀 은신처)' 내지는 'base of operation(작전 거점)' 정도가 적절하다. 반면 은유적 의미의 '아지트(즐겨 찾는 장소, 자주 가는 곳)'는 'hangout', 'haunt', 'stamping(stomping) ground'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사극에서 이 단어가 나오는 반영 오류가 등장하기도 했다. 그런데 이건 자막으로만 나오고 극중에서 직접 언급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엄밀히는 반영 오류로 보기 어렵다. 굳이 문제를 따지면 '근거지', '소굴', '은신처'라는 표현도 있는데 구태여 '아지트'라는 현대식 표현을 쓴 것. 이후 VOD에는 '산채'로 수정되었다.
2. 대한민국의 업무용 커뮤니티 서비스 agit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다음 | 다음 뉴스 | 다음 메일 | 다음 부동산 | 헤이카카오★ |
다음 사전 | 다음 카페 | 멜론★ | 브런치스토리 | 쇼핑하우 | |
스토리채널 | 아지트★ | 증권플러스★ | 카카오 i 번역 | 카카오 T★ | |
카카오 T 대리★ | 카카오 TV | 카카오같이가치 | 카카오게임★ | 카카오내비★ | |
카카오맵 | 카카오메이커스 | 카카오메일 | 카카오뮤직 | 카카오뱅크★ | |
카카오버스 | 카카오스토리 | 카카오 이모티콘 | 카카오워크★ | 카카오웹툰★ | |
카카오지하철 | 카카오톡 채널 | 카카오톡 | 카카오톡 선물하기 | 카카오톡 쇼핑하기 | |
카카오쇼핑라이브 | 카카오페이★ | 카카오페이지★ | 카카오프렌즈 (니니즈) (골골즈) | 카카오홈★ | |
클립★ | 티스토리 | 팟플레이어 | 패션★ | ||
★ (주)카카오의 계열사 또는 관계사에서 위탁 운영하는 서비스 | }}}}}}}}} |
카카오에서 2015년에 개발한 업무용 커뮤니티 사이트. PC와 안드로이드, iOS를 지원하고 있다. 주요 기능으로는 목적에 맞는 그룹 생성과 1:1 및 그룹 대화를 별도의 메신저 없이 쓸 수 있는 것 정도가 있다.
현재는 카카오엔터프라이즈에서 운영 중이다.
참고로 2010년대 초에 제공되었던 폐쇄형 커뮤니티 서비스인 카카오아지트와는 운영회사와 이름만 같고 전혀 다른 서비스이다.
3. 일본에서 제작된 비디오 게임 AZITO
특촬물 캐릭터 비디오 게임이다. 자세한 것은 AZITO 문서 참조.4. NOW.의 라디오 프로그램 Agit
[1] 이한섭(2014), 일본에서 온 우리말 사전,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pp. 529~530[2] 여담으로 일본 게임 중 매니악한 게임 시리즈로 아지토(AZITO) 시리즈란 것이 있다. 게임을 플레이하는 방식도 정의의 조직과 악의 조직 중 하나를 골라서 플레이하며 악의 조직은 지하에 비밀 기지를 건설하여 정의의 조직과 싸우는 방식.[3] 둘 다 고유 러시아어는 아니고 라틴어 유래의 어휘이다. '아기타치야'는 라틴어로 '운동', '선동'이라는 뜻의 '아기타티오(agitatio)'에서 유래한 단어다.[4] 영어에서 'agit'라면 'agitation', 즉 '선동'이란 의미로 전혀 다른 단어가 되며 대개 'agitprop(agitation propaganda, 선전선동-프로파간다)'으로 쓴다. 'agitation' 역시 전술한 러시아어 '아기따찌야(агитация)'와 마찬가지로 라틴어 '아기타티오(agitatio)'에서 유래했기에 그리 놀라울 것은 없다. 즉 라틴어를 공통 뿌리로 하고 있는 영어, 러시아어 모두 '아지트'를 원래 뜻인 '선동'으로 쓰고, 한국어에서 쓰이는 '아지트'는 역사적인 이유로 다른 뜻으로 변질된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