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9 01:34:37

닌텐도 DSi

닌텐도 DSi LL에서 넘어옴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닌텐도 DSi/한국어판 목록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7세대 콘솔 게임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가정용
Wii PS3 Xbox 360
Hyperscan Zeebo V.Smile
휴대용
닌텐도 DS PSP
닌텐도 DSi
GP2X · Wiz · CAANOO Gizmondo }}}}}}}}}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e60012><tablebgcolor=#e60012>
파일:닌텐도 흰색 로고 (빨간색 배경).svg
닌텐도
콘솔 게임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가정용
파일:컬러 TV 게임 로고.svg파일:컬러 TV 게임 로고 화이트.svg
파일:패밀리 컴퓨터 로고.svg
파일:슈퍼 패미컴 로고.svg파일:슈퍼 패미컴 로고(화이트).svg
파일:NINTENDO 64 로고_좌우.svg
파일:닌텐도 게임큐브 로고_좌우.svg파일:닌텐도 게임큐브 로고_좌우 화이트.svg
파일:Wii 로고.svg
파일:Wii U 로고.svg
64DD · iQue 파나소닉 Q mini
휴대용
파일:게임 & 워치 로고.svg파일:게임 & 워치 로고 화이트.svg
파일:게임보이 로고 컬러.svg
파일:버추얼 보이 로고.svg
파일:게임보이 컬러 로고.svg
파일:640px-Pokemon_mini_logo.svg
파일:게임보이 어드밴스 로고.svg
파일:닌텐도 DS 로고.svg파일:닌텐도 DS 로고 화이트.svg
파일:닌텐도 DSi 로고.svg파일:닌텐도 DSi 로고 화이트.svg
Lite XL
파일:닌텐도 3DS 로고.svg파일:닌텐도 3DS 로고 화이트.svg
파일:New 닌텐도 3DS 로고.svg파일:New 닌텐도 3DS 로고 화이트.svg
XL · 2DS XL · 2DS XL
하이브리드
파일:Nintendo Switch 로고 가로형.svg파일:Nintendo Switch 로고 가로형 화이트.svg
Lite휴대용 · 개선판 · OLED
닌텐도 관련 문서 · 닌텐도 기종 목록 · 나무위키 닌텐도 프로젝트 }}}}}}}}}

파일:닌텐도 DSi 로고.svg파일:닌텐도 DSi 로고 화이트.svg
파일:닌텐도 DSi 블랙.jpg
<colcolor=#fff><colbgcolor=#fd478b> 개발 닌텐도
유통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닌텐도 | 대원게임
발매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8년 11월 1일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2009년 4월 2일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2009년 4월 3일
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 2009년 4월 5일
파일:중국 국기.svg 2009년 12월 15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년 4월 15일
가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000 → ₩168,000
파일:일본 국기.svg ¥18,900
파일:미국 국기.svg $169.99
판매량 파일:세계 지도.svg 2,844만 대
파일:일본 국기.svg 590만 대
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 1,235만 대
홈페이지 한국 일본 미국

1. 개요2. 스펙3. 상세
3.1. 한국 출시
4. 논란 및 문제점5. 게임 목록
5.1. 한국어판 목록5.2. 전용 패키지 목록

[clearfix]

1. 개요

일본 공식 소개 영상 한국 공식 소개 영상[1]
공식 트레일러 영상 닌텐도 DSi 구동 영상 iQue 공식 트레일러 영상

2008년 닌텐도가 출시한 휴대용 콘솔 게임기로, 닌텐도 DS의 확장판이자 개량형. 약칭은 DSi.

2. 스펙

모델명 TWL-001
프로세서 ARM946E-S 133 MHz, ARM7TDMI 33 MHz[2]
메모리 16 MB PSRAM, 656 KB VRAM
스토리지 256 MB eMMC 플래시 메모리 내장, 128KB 플래시 메모리[3], 외장 SDHC (최대 32 GB 지원), 최대 512MB 롬 카트리지
디스플레이 3.25 인치 TFT-LCD, 256x192 픽셀, 18비트(26만) 컬러, 하단 디스플레이 감압식 터치 스크린 탑재
사운드 16채널 8, 16비트 PCM / 4비트 ADPCM 지원, CEVA Teaklite 133 MHz DSP[4][5]
통신 Wi-Fi 802.11b/g(WEP) 대응 및 닌텐도 독자적인 프로토콜의 2가지 방식에 대응
기타 내장 마이크, 전후면 30만 화소 카메라, 스타일러스 펜 제공[6]
배터리 Li-Ion 3.7 V 840 mAh
크기 137 mm × 74.9 mm × 18.9 mm
무게 214 g

3. 상세

파일:attachment/a0004367_48e91a40d4c91.jpg

주 프로세서의 클럭이 2배, RAM 용량이 4배 증가 했으며, 802.11b/g를 지원한다.[7] 따라서 전작보다 훨씬 쾌적한 인터넷 환경을 누릴 수 있다. 기기 크기는 전작과 동일하지만 액정은 기존 닌텐도 DS Lite의 3.12인치에서 3.25인치로 증가하고[8] 화면 밝기 조절이 5단계로 증가했으며, SD 카드 슬롯이 생겼으며 30만 화소 카메라가 기본으로 탑재된다. 초기에는 이 카메라를 이용한 게임이 얼마 없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카메라 기능을 게임 내의 부가 콘텐츠용으로 도입한 게임들이 속속 출현했는데, 이런 기능이 있는 게임은 카트리지에 있는 형식번호가 TWL[9]로 시작하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2009년 12월에 발매된 파워프로군 포켓12에서는 카메라 기능을 이용해 오리지널 캐릭터의 얼굴을 자신의 얼굴로 바꿀 수 있게 되었다. 2010년 9월에 출시된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또한 카메라를 이용한 화상 채팅이 가능하다. 또한 웹 브라우저나 주변기기의 추가 구매 없이 무선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10] 하지만 아래에서 서술하듯 국내 닌텐도 DSi에서는 할 수 없다. 한국닌텐도에서 닌텐도 DSi 숍에 인터넷 브라우저를 내놓지 않았고 닌텐도 DS 브라우저는 닌텐도 DSi에서 호환되지 않는다. 닌텐도 DSi에 대한 한국닌텐도의 대표적인 실책이라 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닌텐도 DS에 비해 크게 성능이 향상되었지만, PSP보다는 부족한 성능이다. 거치기로 따지자면 닌텐도 64와 긴가민가하게 다투고, 세가 새턴과 비교되던 닌텐도 DS와는 달리 닌텐도 64 정도는 확실히 압도하는 수준. 그러나 DSi의 성능을 십분 활용할수 있는 게임은 끝까지 출시되지 못했다. 기껏해야 DSi의 램을 활용하여 로딩을 단축시켰던 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 정도.[11]

게임보이 어드밴스 슬롯이 사라졌기 때문에 포켓몬스터 등에서 볼 수 있는 게임보이 어드밴스 전작과의 연동이나 게임보이 어드밴스 슬롯을 사용하는 게임(기타히어로나 게임보이 어드밴스 게임들)이나 GBA 젠더등을 활용한 게임등은 포기해야 한다. 대신 게임보이게임보이 컬러, 게임보이 어드밴스용 게임을 다운로드 서비스할 예정이었지만 실제로 서비스되진 않았고 이는 닌텐도 3DS의 말기에 버추얼 콘솔로 서비스된다.

기존 닌텐도 DS와 닌텐도 DS Lite 충전기와는 호환되지 않지만 이후 출시된 닌텐도 3DS와 New 닌텐도 3DS와는 충전기가 호환된다.

닌텐도 DS Lite의 유광 처리된 지문 인식 케이스에 대해 물 건너에서도 불만이 많았던 모양인지, 닌텐도 DSi는 무광 케이스로 제작되었다.[12] 덕분에 지문이 신경쓰여 전전긍긍하는 일은 없어졌다. 물론 카메라 부분은 여전히 지문이 잘 묻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지만 그렇다고 게임 중 누구나 느낄 정도로 체감이 있는 것도 아니고, 카메라를 사용한 게임 역시 거의 없기 때문에 액정 확대를 빼면 DS Lite가 있는 사람에겐 거의 메리트가 없다.

닌텐도 DSi부터 닌텐도 휴대 기기 최초로 지역 코드가 들어갔다. 기존 DS 게임은 지역 코드가 없기 때문에 아무런 지장 없이 플레이할 수 있으나, 새로 출시된 DSi 대응 혹은 전용 게임의 경우 게임기와 게임의 지역 코드가 일치해야만 플레이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에서 정발된 닌텐도 DSi로는 일본에서 발매된 파워프로군 포켓12아이돌 마스터 디어리 스타즈 그리고 북미/유럽에서 발매된 소닉 클래식 컬렉션 등을 플레이할 수 없다.[13] 이 경우 지역 제한이 없는 닌텐도 DS Lite나 해당 지역의 닌텐도 DSi를 구해서 플레이할 수밖에 없다. 기존 닌텐도 DS와 달리 지역 코드를 삽입해버려 정발판으로 플레이할수 있는 게임팩의 범위를 제한한 것 역시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는 일이다. 특히 한국에서는 그 정도가 더욱 심하다.

발매 초기에는 닥터를 무력화 시키는 하드웨어적 조치를 취했다. (관련 영상) 하지만 당연하듯이 해커들은 무력화를 무력화했다. DSTTi, R4i 등의 DSi 전용 닥터가 개발되었으며, 거기에 기존 닥터로도 펌웨어 수정으로 DSi에서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어 별 효과를 보지 못했다.

픽토챗에서 무지개색 펜을 사용할 수 있다.[14]

닌텐도 DSi 전용 카드를 쓰는 게임 소프트들이 일부 출시되었는데, 카드의 색이 어두운색에서 흰색으로 변경되었다. 물론 기존 DS시리즈에서 플레이하려 하면 에러와 함께 실행되지 않는다.

2017년 3월 31일 닌텐도 DSi숍 서비스가 종료됐다. # DSi 포인트 추가는 2016년 9월 30일 부터 중단되었다. 다만 3DS용 e숍에 있는 대부분의 DSi 웨어는 영향을 받지 않았는데. 이후 국내에서는 2020년 3월 31일에 e숍에서 DSi 웨어의 판매를 종료하였고 해외에서는 닌텐도 3DS e숍이 서비스를 종료함으로써 DSi 웨어 구매가 안 된다. 종료 이후에는 '닌텐도 3DS로 이사'밖에 팔고 있지 않다. 현재는 닌텐도 DSi숍 서비스가 전부 종료되었지만 재다운로드하고 '닌텐도 3DS로 이사'는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최대 32GB의 SD카드를 지원한다. 이를 통해 커스텀 펌웨어를 DSi에 설치하여 지역 코드를 무력화 시키는 기능은 플카와 동일하되 대신에 DSi 대응 또는 전용 카드를 무조건 DSi모드로 구동되는 것은 물론이고[15] DSi 게임 롬 파일을 구동, DSi 전용 게임을 기기 내부에 설치하는것이 가능하다. 허나 DSi 커펌 자체가 워낙 실용성이 떨어지기도하고[16] DSi 게임은 종류도 별로 없고 롬도 구하기 힘들다는게 단점.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

메인보드와 터치스크린 하나만 남긴 버전이 존재하며, DS 다운로드 스테이션 용도로 사용되었다.

3.1. 한국 출시

국내에는 2010년 4월 15일, 메이플스토리 DS와 함께 정발되었다. 가격은 19만 8천원.

게다가 한국판에는 일본판에서 다운로드 형식으로 무료 제공되는 인터넷 브라우저가 빠졌다. 한글화를 하고 있다는 둥, 근일 서비스를 한다는 둥 소문만 무성하지 끝까지 국내 스토어에는 시시껄렁한 게임만 팔고 있을 뿐이며 게임 숫자도 적다. 닌텐도 DS보다 무선 인터넷 기능이 강화된 닌텐도 DSi에서 인터넷 브라우저를 제외한 것은 정말 이해할 수 없는 처사가 아닐 수 없다. 한국닌텐도의 대표적인 실책으로 꼽힌다.

2011년 11월 12일부로 가격이 19만 8천원에서 16만 8천원으로 인하되었다.

4. 논란 및 문제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닌텐도 DS/논란 및 문제점 문서
2.2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게임 목록

5.1. 한국어판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닌텐도 DSi/한국어판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전용 패키지 목록

닌텐도 DS 소프트웨어 외에도 추가로 플레이 가능한 닌텐도 DSi 전용 패키지 소프트웨어. 국내는 모두 미발매.[17]

[1] 내레이션은 김종성이 맡았다.[2] 닌텐도 DS의 그것과 같은 역할을 한다. 구형 모델의 경우에는 게임보이 어드밴스의 하위 호환용 프로세서 역할을 했지만, 그 기능이 제거되면서 2D 렌더링 또는 사운드 프로세서 역할만 한다. 닌텐도 DSi에서는 닌텐도 DS에 비하면 역할이 적어진 셈. 자세한 것은 닌텐도 DS를 참조하자.[3] 유저 정보와 Wi-Fi 또는 기타 설정 정보들을 저장.[4] 리버브, 이퀄라이저 등등의 효과를 적용할수 있다. 24채널 이상 합성 가능.[5] 3DS에 탑재된 DSP와 같은 물건이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이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게임은 닌텐도 DSi 사운드뿐.[6] 길이 92 mm, 두께 4.9 mm[7] 전작인 닌텐도 DS는 802.11 레거시 모드만을 지원했으며, 최대 2 Mbps를 지원한다.[8] 단, 액정이 커진 만큼 배터리가 조금 더 빨리 닳는다.[9] 아마도 황혼을 뜻하는 Twilight의 약자인 듯. DSi가 구 DS 계열의 최종기였고 카메라나 웹 브라우저같은 3DS 계열 기기의 일부 기능을 도입한 걸 생각하면 나름대로 어울리는 단어다.[10] 닌텐도 DS의 경우는 타이틀을 추가로 구매해야 했고, 게임보이 어드밴스 슬롯에 메모리 확장 팩까지 끼워야 했다.[11] 하지만 불화2가 발매된 2012년도에는 DSi보다 모든 면에서 발전한 게임기가 있었기에 DSi를 택할 이유가 더더욱 없었다.[12] 단, 본 문서 상단에 있는 빨간색은 예외다.[13] 다행히도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의 경우에는 일본판에만 지역 코드가 있으며, 한국/북미/유럽 정식 발매판은 지역 코드가 없다. 증거(북미판 3DS에서 인식된 한글판 블랙) 후속작인 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의 경우에도 일본 발매판에만 지역 코드가 있으며, 나머지 지역에는 전부 지역 코드가 없다.[14] 다만 DSi에서 쓴 무지개색 펜 채팅을 복사하면 DS에서도 쓸 수 있다.[15] 특히 지역 코드 방식으로 구동불가능한 파워프로군 포켓12아이돌 마스터 디어리 스타즈 그리고 소닉 클래식 컬렉션이나 일본어판 포켓몬스터 BWB2W2 그리고 포부나가를 커펌된 한국정발판 DSi에서 무조건 DSi모드로 구동할수있다.[16] 돌릴 게임은 얼마 되지도 않고, 추가 앱 확장성도 적은데다가 클럭제한 해제도 실용성이 부족하다. 무엇보다도 PSP의 커펌이 너무 활성화 되어서...[17] 해외에는 닌텐도 DSi 전용 패키지와 다운로드 소프트웨어 양쪽이 다 발매되었으나 국내에는 다운로드 소프트웨어만 발매되었다. 국내에 발매된 닌텐도 DSi 전용 다운로드 소프트웨어 목록은 닌텐도 DSi/한국어판 목록 문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