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9 00:42:13

닌텐도 DS Lite

닌텐도 DS 라이트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닌텐도 DS로 발매된 게임소프트의 목록에 대한 내용은 닌텐도 DS/게임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닌텐도 DS로 발매된 한글화 게임소프트의 목록에 대한 내용은 닌텐도 DS/한국어판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스타크래프트 여캠에 대한 내용은 남덕선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세대 콘솔 게임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가정용
Wii PS3 Xbox 360
Hyperscan Zeebo V.Smile
휴대용
닌텐도 DS PSP
닌텐도 DSi
GP2X · Wiz · CAANOO Gizmondo }}}}}}}}}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e60012><tablebgcolor=#e60012>
파일:닌텐도 흰색 로고 (빨간색 배경).svg
닌텐도
콘솔 게임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가정용
파일:컬러 TV 게임 로고.svg파일:컬러 TV 게임 로고 화이트.svg
파일:패밀리 컴퓨터 로고.svg
파일:슈퍼 패미컴 로고.svg파일:슈퍼 패미컴 로고(화이트).svg
파일:NINTENDO 64 로고_좌우.svg
파일:닌텐도 게임큐브 로고_좌우.svg파일:닌텐도 게임큐브 로고_좌우 화이트.svg
파일:Wii 로고.svg
파일:Wii U 로고.svg
64DD · iQue 파나소닉 Q mini
휴대용
파일:게임 & 워치 로고.svg파일:게임 & 워치 로고 화이트.svg
파일:게임보이 로고 컬러.svg
파일:버추얼 보이 로고.svg
파일:게임보이 컬러 로고.svg
파일:640px-Pokemon_mini_logo.svg
파일:게임보이 어드밴스 로고.svg
파일:닌텐도 DS 로고.svg파일:닌텐도 DS 로고 화이트.svg
파일:닌텐도 DSi 로고.svg파일:닌텐도 DSi 로고 화이트.svg
Lite XL
파일:닌텐도 3DS 로고.svg파일:닌텐도 3DS 로고 화이트.svg
파일:New 닌텐도 3DS 로고.svg파일:New 닌텐도 3DS 로고 화이트.svg
XL · 2DS XL · 2DS XL
하이브리드
파일:Nintendo Switch 로고 가로형.svg파일:Nintendo Switch 로고 가로형 화이트.svg
Lite휴대용 · 개선판 · OLED
닌텐도 관련 문서 · 닌텐도 기종 목록 · 나무위키 닌텐도 프로젝트 }}}}}}}}}

<colbgcolor=#fff><colcolor=#808080> 파일:닌텐도 DS Lite 로고.svg
파일:닌텐도 DS Lite.jpg
개발 닌텐도
유통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닌텐도 | 대원게임
발매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6년 3월 2일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2006년 6월 1일
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 2006년 6월 11일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2006년 6월 23일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2006년 6월 25일
파일:러시아 국기.svg 2006년 6월 27일
파일:홍콩 국기.svg 2006년 6월 29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년 1월 18일[1]
가격 파일:일본 국기.svg ¥14,286
파일:호주 국기.svg AU$199.95
파일:미국 국기.svg $129.99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149.99
파일:영국 국기.svg £99.9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50,000
판매량 파일:세계 지도.svg 9,386만 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00만 대
파일:일본 국기.svg 1,820만 대
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 3,644만 대
공식 사이트 한국 일본 미국 대만 중국
파일:DSL1-1.jpg
크리스탈 화이트 글로스 실버 코발트 블랙 크림슨 블랙
파일:DSL1-2.jpg
아이스 블루 제트 블랙 메탈릭 로즈 노블 핑크

1. 개요2. 사양3. 특징4. 출시
4.1. 국내 출시
5. 논란 및 문제점6. 여담

[clearfix]

1. 개요

닌텐도 DS의 개량형 모델로 일본에서 2006년 3월 2일 처음 발매되었다.

2. 사양

모델명 USG-001
프로세서 ARM946E-S 67MHz, ARM7TDMI 33MHz
메모리 4MB SRAM, 656KB VRAM
저장 매체 256KB NAND Flash, 최대 512MB 롬 카트리지
디스플레이 3.12 인치 TFT-LCD, 256×192 픽셀, 18비트(26만) 컬러, 하단 디스플레이 감압식 터치 스크린 탑재
통신 Wi-Fi 802.11(WEP) 대응 및 닌텐도 독자적인 프로토콜의 2가지 방식에 대응
기타 내장 마이크, 게임보이 어드밴스 슬롯 탑재, 스타일러스 펜 제공[2]
충전지 Li-Ion 3.7V 1000mAh
규격 <133㎜×73.9㎜×21.5㎜, 218g

3. 특징

닌텐도 DS Lite는 Lite라는 이름에 걸맞게 구형 닌텐도 DS에 비해 크기와 무게가 크게 줄고 화면 밝기가 밝아져[3] 각도 조절만 잘 하면 저녁이나 새벽에는 가장 어둡게 해놓고 야외에서 게임을 해도 플레이에 아무런 지장이 없다.

또 이전의 프로토타입 같이 생기고 크고 뚱뚱하고 못생겼던 기존의 DS를 가볍고, 깔끔하게 다듬어서 만들어 졌다. 이 덕분에 디자인은 기존 DS보다 상당히 발전됐다는 평을 받기도 했다.

다만 일반 크기의 게임보이 어드밴스 팩을 끼웠을 때 좀 많이 튀어나온다는 단점이 있다. 이 때문에 닌텐도 DS Lite 발매 이후에 게임보이 어드밴스 슬롯을 사용하는 확장 팩(DS용 인터넷 브라우저의 메모리 팩, 진동 팩 등)은 닌텐도 DS용과 닌텐도 DS Lite용으로 따로 출시되었고[4], 슬롯 2 닥터들도 디자인을 유지하기 위해 닌텐도 DS Lite의 게임보이 어드밴스 슬롯 크기가 되었다.[5] 또한 구형 닌텐도 DS는 스피커의 음량이 작아 다소 아쉬웠는데, 닌텐도 DS Lite는 음량이 굉장히 커졌다.

4. 출시

2006년 3월, 일본에서 첫 출시되고 이어 6월에는 유럽과 미국을 비롯한 서양권 국가에서도 출시되었고, 타 국가들도 비슷한 시기에 연이어 출시되었다.

4.1. 국내 출시

2007년 1월, 한국에 한국닌텐도가 정식 출범하면서 기기 OS까지 완벽하게 한글화된 진짜 정식 발매판 닌텐도 DS Lite와 소프트웨어들을 발매했다.[6] 그동안 닌텐도의 국내 총판인 대원씨아이실책, 그리고 그때까지 아무도 닌텐도가 한국 시장에 신경을 쓸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에 닌텐도 정식 지사인 한국닌텐도의 출범은 국내의 게이머들에게 거의 혁명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게다가 대대적인 마케팅으로 유명 스타들[7]을 동원한 광고를 지상파에서 방송함으로써 닌텐도 DS Lite = 멋진 것이라는 이미지를 일반 대중들에게 심어주는데 성공하였다. 덕분에 2000년대 후반 당시[8] 엄청난 보급 증가와 함께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많은 사람들이 구입하게 되었고 당시의 인기는 2021년 한국의 Nintendo Switch 열풍보다도 폭발적이였다.

대원의 (거의 효과를 보지 못한) 마케팅과, 한국닌텐도의 스타 마케팅 탓에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닌텐도 DS Lite를 보면 닌텐도 DS라고 생각했고 심지어 닌텐도라 하면 크리스탈 화이트 색상의 DS Lite가 제일 먼저 연상된다. 그래서 원래 명칭으로 부르거나 다른 색상이나 구형 DS의 모습을 보면 생소해하는 경우도 많다.[9]

한국닌텐도 정발판의 '언어 선택'에는 이탈리아어 자리에 한국어가 있다.

닌텐도 DS Lite도 구형 닌텐도 DS 수리 지원 종료 1년 후인 2017년 4월 30일부로 수리 지원을 종료하게 되었다. 참조

이후 한국닌텐도에서 한동안 벌크 제품[10]을 판매하였으나, 아쉽게도 2020년 3월 11일부로 종료되었는데 해당 페이지에서 DS 소프트웨어 몇 가지도 같이 판매했지만 얼마 뒤 주변기기 구매 페이지를 개편하면서 같이 사라졌다. 오래된 기기다보니 향후 재판매 계획은 없다고 하며 이제 DS Lite를 구하려면 중고 제품을 알아봐야 하는데 보통 가격대는 10만원대에 웃돌고 있다.

5. 논란 및 문제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닌텐도 DS/논란 및 문제점 문서
2.1.2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여담

기존 출시된 구형 닌텐도 DS[11]와 충전기가 호환되지 않는다. 이후 출시된 닌텐도 DSi닌텐도 3DS 시리즈와도 충전기가 호환되지 않는다.

게임 팩을 이용할 수 있는 마지막 기종이다. DS부터는 게임 팩과는 작동 방식이 다른 게임 카드를 도입했기 때문에 GBA 하위호환 기능이 삭제된 DSi부터는 게임 카드만 이용할 수 있다.

시계 등을 담당하는 전용 내장 배터리는 없는지라 완전 방전되거나 충전지를 분리했다 다시 넣으면 게임기의 설정이 모두 공장 초기화된다.[12] 닌텐도 Wi-Fi 커넥션이 완전히 종료된 지금은 상관없는 이야기이지만, 이로 인해 한국닌텐도에 A/S를 보내면, 수리하는 과정에서 충전지를 분리했다 다시 넣음으로써 게임기 내부의 Wi-Fi 설정이 전부 다 없어져 버려서 Wi-Fi 커넥션을 지원하는 게임들[13]의 온라인 전적이나 인터넷 기록 등이 전부 사라져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닌텐도 3DS는 데이터가 플래시 메모리에 별도로 저장되기 때문에 충전지를 뺐다 끼워도 이런 문제가 없다.

Wi-Fi의 경우 WEP 암호화만을 지원하기 때문에 공유기 설정에서 암호를 제거하거나 별도의 AP를 설정해야 했다. 물론 현재는 Wi-Fi 서비스가 중단되었기 때문에 그다지 의미는 없다. 참고로 WEP의 경우 현재로서는 사실상 의미 없는 암호화 체계나 마찬가지인데다가 최대 연결속도도 54Mbps로 제한되기 때문에 굳이 설정할 이유도 없다. 이걸 설정할 바엔 차라리 OPEN으로 두는 것이 낫다는 말도 있다.

대부분의 색상이 광택을 낸 일반 플라스틱을 쓰거나 투명 플라스틱으로 이중사출을 해서 외부를 유광처리 했으나, 코발트 블랙과 크림슨 블랙은 상판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무광 처리된 검은색이다. 저 이중사출 구조는 고질병이 하나 있는데, 하필이면 기기 틈새부분을 투명하게 처리하는바람에 꾸준히 틈새를 청소하지 않을 경우 손때와 먼지가 쌓인게 그대로 보여서 누런 얼룩이 생긴다. 특히 크리스탈 화이트 색상의 기기에 이 현상이 생길 경우 충치를 연상케 하는 비주얼을 볼 수 있다.

고장이나 접촉 불량 등으로 인해 본체에서 상단 화면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전원을 켰을때 하단 화면이 하얀색으로 나오다가 바로 꺼지면서 켜지지 않는다. 이런 증상일 경우 상단 화면을 다시 연결해보거나 교체해야 한다.

압력감지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사용했으나 해당 기능이 공식적으로[14] 사용된 적은 없다.[15] 기기마다 편차가 있었고 화면을 망가트릴 가능성이 크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DSi부터 압력감지 기능이 완전히 삭제되었다. #

DSi와 3DS의 XL 모델에 해당되는 3.8인치 스크린을 탑재한 제품이 2007년에 양산 직전 단계까지 개발되었으나, 기존 제품들이 공급부족 현상을 겪을 정도로 잘 팔리고 있었기 때문에 공급부족 현상이 더 심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출시를 보류했다. #

경첩이 깨져 스크린이 뒤로 자꾸 넘어간다면 두꺼운 머리띠나 고무줄을 경첩 틈새로 넣어서 임시방편으로 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어디까지나 임시방편이고, 끈에 따라 완전히 닫히지 않는 경우도 있으니 유의하자. 또한 두꺼운 끈의 경우 경첩에 무리가 갈 수 있다.


[1] 대원씨아이에서 반년 앞서 2006년 7월 20일에 발매한 바 있다.[2] 길이 87.5㎜, 두께 4.9㎜[3] 4단계로 조절이 가능하며, 2단계의 밝기가 구형 DS의 최대 밝기와 비슷하다.[4] 기능은 같지만 크기가 다르다.[5] 닌텐도 DS Lite 구매 시 먼지나 액체로 인한 슬롯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끼워져있는 더미 게임보이 어드밴스 카트리지 크기이다.[6] 매일매일 DS 두뇌 트레이닝, 듣고 쓰고 친해지는 DS 영어삼매경, 뉴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이 세 가지가 대표적이다.[7] 장동건, 이나영[8] 특히 2008년은 닌텐도 DS의 최전성기로서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닌텐도를 즐겨했다.[9] 사실 구형 DS조차 인지도가 없는 한국보다는 덜하지만 해외도 구형 DS가 나온지 1년 6개월 만에 나와서 크게 관심이 없으면 구형 DS를 모를 수도 있다.[10] 본체와 터치펜, 투명 플라스틱 케이스만 구성되어 있으며 배터리는 완전 방전 상태다.[11] GBA SP와 같은 충전 포트를 사용한다.[12] 3DS도 마찬가지로 하면 날짜와 시간이 2011년 1월 1일 0시 0분이 된다. 단, 데이터는 플래시 메모리에 따로 저장되기에 초기화되지 않는다.[13] 대표적으로 온라인으로 올림픽 경기들의 최고기록을 등록할 수 있는 마리오와 소닉 베이징 올림픽밴쿠버 동계 올림픽의 온라인에 업로드한 기록들이 죄다 사라지며,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에서 포켓몬 드림 월드에 전송해 놓은 포켓몬도 찾아올 수 없다.[14] Colors라는 비공식 홈브루 그림 프로그램에서 사용한 적은 있다고 한다.[15] 사용한 적이 없는 수준이 아니라 존재하지 않는 기능으로 취급되던 것을 홈브루 개발자들이나 해커들이 기기 분석 도중 발견해낸 것에 가깝다. 개발자에게 제공되는 문서에서도 서술되어 있지 않으며, 터치스크린을 보정할 때도 압력 관련 보정값은 무조건 0으로 설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