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RA상 최우수 장애물 경주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케이슈샤상 | -- 1954 없음-- | 1955 다이니 카츠후지 | 1956 토요후지 | 1957 야마 카부토 | 1958 케니 모어 | 1959 오 타지마 |
1960 롤 메리 | 1961 토사 킹 | 1962 라이트 리아 | 1963 타카 라이진 | 1964 · 1965 후지노 오 | 1966 호란 | 1967 야마닌 다이아 | 1968 후지노 호마레 | 1969 하드 온워드 | ||
1970 킹 스피드 | 1971 인터 히카리 | ||
유슌상 | 1972 무티에 이치 | --1973 없음-- | 1974 · 1975 그랜드 마치스 | 1976 사쿠라 온리 | 1977~1979 바로네 터프 | |
1980 오키노 사콘 | 1981 텍사스 와이폰 | 1982 킹스 포인트 | 1983 오키노 사키가케 | 1984 메지로 안타레스 | 1985 온워드 볼가 | 1986 해피 루이스 | ||
JRA상 | -- 1987 없음-- | 1988 야마닌 어필 | 1989 메지로 마스케트 | |
1990 와카 타이쇼 | 1991 · 1992 심볼리 크리엔스 | 1993 · 1994 브로드 마인드 | 1995 리턴 에이스 | 1996 폴레르 | 1997 아워 파라곤 | 1998 노던 레인보우 | 1999 갓스피드 | ||
2000 · 2001 고카이 | 2002 길디드 에이지 | 2003 빅 테이스트 | 2004 블랑디스 | 2005 티엠 드래곤 | 2006 마루카 라스칼 | 2007 메르시 에이 타임 | 2008 · 2009 킹 조이 | ||
2010 바시 켄 | 2011 · 2012 마제스티 바이오 | 2013 · 2014 아폴로 매버릭 | 2015 업 투 데이트 | 2016~2018 오쥬 쵸산 | 2019 신군 마이클 | ||
2020 메이쇼 닷사이 | 2021 · 2022 오쥬 쵸산 | 2023 마이네르 그론 | 2024 니시노 데이지 | }}}}}}}}} |
이름 | ニシノデイジー Nishino Daisy | |
출생 | 2016년 4월 18일 ([age(2016-01-01)]세) | |
성별 | 수컷 | |
털색 | 갈색 (鹿毛, 카게) | |
아비 | 하빈저 | |
어미 | 니시노 히나기쿠(ニシノヒナギク) | |
외조부 | 아그네스 타키온 | |
생산자 | 타니가와 목장(谷川牧場) | |
마주 | 니시야마 시게유키[1] | |
조교사 | 타카기 노보루 (미호) | |
성적 | 32전 6승 (6-3-4-19) 20전 3승평지 12전 3승장애물 | |
총상금 | 3억 3942만 8000엔 1억 2449만 5000엔평지 2억 1493만 3000엔장애물 | |
주요 우승 | J·G1 | 나카야마 대장해(2022, 2024) |
G3 | 삿포로 2세 스테이크스(2018) 도쿄스포츠배 2세 스테이크스(2018) | |
주요 수상 | 2024년 JRA상 최우수 장애물 경주마 | |
상세 정보 | | JBIS |
[clearfix]
1. 개요
일본의 경주마. 니시노 플라워와 세이운 스카이 그리고 아그네스 타키온의 혈통을 가진 후손으로 유명하다.2. 혈통
1대 | 2대 | 3대 |
<colbgcolor=#fff3e4,#331c00>하빈저 Harbinger 2006 | <colbgcolor=#ffffe4,#323300>댄실리 Dansili 1996 | 데인힐 Danehill |
해실리 Hasili | ||
피낭 펄 Penang Pearl 1996 | 베링 Bering | |
과파 Guapa | ||
니시노 히나기쿠 ニシノヒナギク 2008 | 아그네스 타키온 アグネスタキオン 1998 | 선데이 사일런스 Sunday Silence |
아그네스 플로라 アグネスフローラ | ||
니시노 미라이 ニシノミライ 2003 | 세이운 스카이 セイウンスカイ | |
니시노 플라워 ニシノフラワー | ||
* 댄지그 4×5 9.375% * 노던 댄서 5×5 9.375% |
니시야마 마주가 종마로서 인기가 없었던 세이운 스카이의 혈통을 어떻게든 이어주기 위해 일부러 목장에서 가장 명성 높은 니시노 플라워와 관계를 맺게 만들어 니시노 미라이를 태어나게 했다. 니시노 미라이는 경주마로서 6전 0승에 그쳐 번식마로 조기 은퇴했으며 아그네스 타키온 사이에서 니시노 데이지의 어미 니시노 히나기쿠를 낳았다.
3. 생애
2022년 JRA GI 대회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카페 파라오 | 나란 훌레그 | 포타제 | 스타즈 온 어스 | 오쥬 쵸산 | 지오글리프 | 타이틀홀더 | 다논 스콜피온 | 소다시 | 스타즈 온 어스 | 두 듀스 | 송라인 | 타이틀홀더 | 장다름 | 스터닝 로즈 | 애스크 빅터 모어 | 이퀴녹스 | 제랄디나 | 세리포스 | 벨라 아줄 | 준 라이트 볼트 | 리버티 아일랜드 | 돌체 모어 | 니시노 데이지 | 이퀴녹스 | 두라 에레데 이 표는 간략화한 버전입니다. 경기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 |
2019년 클래식 세대 유망주였으며 2018년 G3 2승과 호프풀 스테이크스 3착, 2019년 더비 5착 등 나쁘지 않은 성적을 보였다. 그러나 클래식 마지막 경기였던 킷카상에서는 2번 인기를 받고 9착에 그쳤고, 이후에도 별다른 성적을 보이지 못하고 장애물로 전향하였다.[2]
2022년 나카야마 대장해 |
장애물 전향 이후 4전째였던 2022년 나카야마 대장해[3]에서 우승하며 첫 G1 우승을 따냈다. 덕분에 22년 JRA상 장애물 경주마 투표에서 많은 지지를 받았지만, 오쥬 쵸산과 단 한 표 차이로 아쉽게 떨어졌다.
2023년 첫 출전경기는 한신 스프링 점프로 결정되었으나 기존의 니시노 데이지의 주전 기수였던 이가라시 유스케가 같은 경기에 출주하기로 결정된 미키 메테오와의 선약이 있어 강판되었는데, 니시노 데이지의 새로운 기수는 공교롭게도 오쥬 쵸산의 주전 기수였던 이시가미 신이치로 결정되었다고 한다. 경주 결과는 3착으로 패했으나 J•GI 우승마라서 다른 말보다 2kg 높게 책정된 부담중량을 감안하면 어느 정도 선전한 편이다.
2023년 4월 15일에 열린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 경기는 장애물 경기 전향 후 처음으로 중마장에서의 경기인데다가 약간 늦게 출발한 것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장애물 전향 후 처음으로 게시판에서 벗어난 9착을 기록하게 된다. 마지막 장애물에서 점프할 때 다소 흔들려서 부상을 우려했으나 이후 니시야마 오너가 본인의 트위터에 부상은 없다고 밝혔다.
이후 가을 복귀전으로 10월 15일자 도쿄 하이 점프에 이가라시 유스케 기수와 출전했으나 11착으로 패했다. 이어서 2023년 12월 23일 나카야마 대장해(JG1)에 출전해서 2착으로 들어왔다.[4] 비록 패배하긴 했지만 경기 내용만 봤을 땐 지금까지 이어진 부진을 떨쳐냈다고 의미 부여를 할 수 있는 성적을 남겼다.
어느덧 2024년에 접어들면서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 전초전인 한신 스프링 점프에서 4착으로 들어가 그리 만족스럽지 못한 성적을 남겼으나 이후 출전한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에선 3착으로 선방했다.
하반기 전초전으로 택한 도쿄 하이 점프에선 4착으로 들어와 3번 연속으로 우승을 놓치긴 했지만, 아직까지 입상할 여력이 있다는 걸 증명해주었다.
2024년 나카야마 대장해 |
그러던 중 2024년의 본전인 나카야마 대장해에서 우승[5]하며 장애물 GI 2승을 달성하는 쾌거를 이루게 된다.
하지만 바로 다음 날인 2024년 12월 22일 데이지의 다리에 이상이 있음이 확인되어 미련 없이 현역 은퇴를 선언함으로 기나긴 현역 생활을 마감하게 된다.[6]넷케이바 기사
니시야마 마주는 지금까지 플라운스 혈통의 후손으로서 지금까지 활약한 데이지에게 경의를 표하며, 세이운 스카이의 사실상 유일한 혈육을 이어나가기 위해 니시야마 목장의 직할 종마로 활용하기로 결정한다.#
4. 기타
- 우마무스메 니시노 플라워의 서포트 카드 중 세이운 스카이에게 데이지꽃으로 만든 화관을 씌워주는 일러스트의 카드가 있는데, 두 경주마의 혈통을 이어받은 니시노 데이지의 존재를 부각시킨 이스터에그가 아니냐는 분석이 대세다.
- 2022년 나카야마 대장해에서 우승한 직후 나카야마 마주 협회와 콜라보[7]로 참석한 나리타 탑 로드역의 나카무라 칸나가 니시노 데이지를 바라보는 장면이 찍혔는데, 워낙 절묘한 각도로 찍어서 당시 니시노 데이지가 경악했을 거라는 드립이 난무했다.
- 성적이 다소 부족하긴 해도 별다른 문제가 없어 무난하게 종마가 될 거라는 예상이 대세였다. 아비 하빈저는 선데이 사일런스, 킹맘보계가 과반수를 잠식해 근친 위험도가 높아진 상태에서 샤다이측이 데리고 온 희석제 목적의 말이다보니 하빈저 산구의 종마 전환은 기피[8]되고 있으나, 니시노 데이지는 마주가 세이운 스카이&니시노 플라워 혈통을 위해 여러모로 노력한 끝에 겨우 나온 중상 우승마이므로 무사히 은퇴하면 마주가 중소 종마장으로 보낼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것이다. 이 분석 그대로 현역 은퇴 후 니시야마 마주는 플라운스 혈통의 유일한 거물 니시노 데이지로부터 혈통을 더 이어나가길 바랐고, 아예 니시야마 마주가 관리하는 목장의 전담 종마로 발탁하기로 결정했다.
- 일단 블로그에 올라온 글을 보면 종마 전향 후 몇 없는 니시노 플라워 혈통을 가진 암말들과 교배할 가능성이 농후한 상태.
- 2024년 나카야마 대장해 우승 후 기념사진 촬영 중에 이가라시 유스케 기수가 촬영 후 내려온 뒤, 정장 차림의 남자가 니시노 데이지 안장에 타고 우승 포즈를 취했는 데 사실 이 남자는 니시노 데이지가 평지시절 주전기수로 활동했었던 카츠우라 전 기수로 오너한테 만일 이기게 되면 타게 해달라고 부탁했는 데 보통 승리 직후에는 말이 상당히 흥분해서 위험하지만 요청한 사람은 24년 4월까지는 현역 기수로 평지시절 니시노 데이지 기수였기에 별 이견없이 태워줬다고 한다. 참고로 JRA 규정에도 우승마에 기수 이외에 다른 사람이 타도 되는 지에 대한 건 없다고.
- 한국 우마무스메 커뮤니티에 종종 언급되는 타이키 셔틀의 니시노 관명마들과의 교배 관계도에 나오는 말 중에 하나가 니시노 데이지의 어미인 니시노 히나기쿠가 있다. 참고로 니시노 히나기쿠의 첫 자마이자 타이키 셔틀 산구인 니시노 유메오우는 중앙에서 죽 쓰다가 니시야마 오너의 손을 벗어나 새로운 오너에 의하여 사가 지방경마에 건너가 나름대로 활약을 보였으나 16년 9월 1착을 한 것을 끝으로 지방경마에서 말소처리되면서 행방불명이 되었다.
5. 경주 성적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68300><rowbgcolor=#268300><tablebgcolor=#fff,#2d2f34><rowcolor=#ffffff><width=3%> 경주일 || 경마장 ||
(2착마) ||
경기명
||<width=3%> 등급 || 트랙
||<width=3%> 배당 ||<width=3%> 인기 || 착순 || 기수 || 1착마(2착마) ||
<rowcolor=#ffffff> 2018년 (2세) | |||||||||
7.8 | 하코다테 | 2세 신마 | 잔디 1800m | 5.3 | 2 | 2착 | 카츠우라 마사키 | 러브 미 파인 | |
7.21 | 하코다테 | 2세 미승리 | 잔디 1800m | 1.5 | 1 | 1착 | (투아레그) | ||
9.1 | 삿포로 | 삿포로 2세 스테이크스 | GIII | 잔디 1800m | 28.2 | 6 | 1착 | (나이마마) | |
11.17 | 도쿄 | 도쿄스포츠배 2세 스테이크스 | GIII | 잔디 1800m | 38.4 | 8 | 1착 | (아굴라스) | |
12.28 | 나카야마 | 호프풀 스테이크스 | GI | 잔디 2000m | 6.6 | 3 | 3착 | 사투르날리아 | |
<rowcolor=#ffffff> 2019년 (3세) | |||||||||
3.3 | 나카야마 | 야요이상 | GII | 잔디 2000m | 2.7 | 1 | 4착 | 카츠우라 마사키 | 메이쇼 텐겐 |
4.14 | 나카야마 | 사츠키상 | GI | 잔디 2000m | 30.2 | 6 | 17착 | 사투르날리아 | |
5.26 | 도쿄 | 도쿄 우준 (일본 더비) | GI | 잔디 2400m | 107.9 | 13 | 5착 | 로저 바로즈 | |
9.16 | 나카야마 | 세인트 라이트 기념 | GII | 잔디 2200m | 5.8 | 2 | 5착 | 리온 리온 | |
10.20 | 교토 | 킷카상 | GI | 잔디 3000m | 6.0 | 2 | 9착 | 크리스토프 르메르 | 월드 프리미어 |
<rowcolor=#ffffff> 2020년 (4세) | |||||||||
1.26 | 나카야마 | 아메리칸 자키 클럽 컵 | GII | 잔디 2200m | 8.2 | 6 | 6착 | 타나베 히로노부 | 블래스트 원피스 |
3.15 | 주쿄 | 킨코상 | GII | 잔디 2000m | 20.6 | 4 | 6착 | 사투르날리아 | |
5.31 | 도쿄 | 메구로 기념 | GII | 잔디 2500m | 19.2 | 9 | 18착 | 킹 오브 코지 | |
7.19 | 하코다테 | 하코다테 기념 | GIII | 잔디 2000m | 10.3 | 6 | 13착 | 카츠우라 마사키 | 어드마이어 저스터 |
<rowcolor=#ffffff> 2021년 (5세) | |||||||||
2.7 | 도쿄 | 도쿄신문배 | GIII | 잔디 1600m | 68.7 | 13 | 13착 | 카츠우라 마사키 | 카라테 |
5.9 | 니가타 | 니가타대상전 | GIII | 잔디 2000m | 64.4 | 12 | 12착 | 산레이 포켓 | |
6.13 | 도쿄 | 엡섬 컵 | GIII | 잔디 1800m | 92.9 | 16 | 18착 | 에다 테루오 | 자다르 |
11.21 | 도쿄 | 시모츠키 스테이크스 | OP | 더트 1400m | 66.3 | 14 | 11착 | 우치다 히로유키 | 헬리오스 |
12.28 | 한신 | 베텔게우스 스테이크스 | L | 더트 1800m | 87.1 | 16 | 12착 | 마츠와카 후마 | 아이올라이트 |
<rowcolor=#ffffff> 2022년 (6세) | |||||||||
1.29 | 도쿄 | 시로후지 스테이크스 | L | 잔디 2000m | 236.3 | 13 | 15착 | 마루야마 겐키 | 잭 도르 |
5.28 | 니가타 | 장애물 4세 이상 미승리 | 장애물 2890m | 7.4 | 5 | 3착 | 이가라시 유스케 | 비 마이 오션 | |
6.19 | 도쿄 | 장애물 3세 이상 미승리 | 장애물 3000m | 1.7 | 1 | 1착 | (페르보레) | ||
11.19 | 도쿄 | 아키비 스테이크스 | OP | 장애물 3110m | 2.6 | 1 | 2착 | 코유 누레예프 | |
12.24 | 나카야마 | 나카야마 대장해 | J·GI | 장애물 4100m | 15.4 | 5 | 1착 | (제노버스) | |
<rowcolor=#ffffff> 2023년 (7세) | |||||||||
3.11 | 한신 | 한신 스프링 점프 | J·GII | 장애물 3900m | 2.2 | 1 | 3착 | 이시가미 신이치 | 제미니 킹 |
4.15 | 나카야마 |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 | J·GI | 장애물 4250m | 1.8 | 1 | 9착 | 이로고토시 | |
10.15 | 도쿄 | 도쿄 하이 점프 | J·GII | 장애물 3110m | 5.6 | 3 | 11착 | 이가라시 유스케 | 마이네르 그론 |
12.23 | 나카야마 | 나카야마 대장해 | J·GI | 장애물 4100m | 6.6 | 3 | 2착 | 마이네르 그론 | |
<rowcolor=#fff> 2024년 (8세) | |||||||||
3.9 | 한신 | 한신 스프링 점프 | J·GII | 장애물 3900m | 10.3 | 3 | 4착 | 이가라시 유스케 | 마이네르 그론 |
4.13 | 나카야마 |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 | J·GI | 장애물 4250m | 14.2 | 3 | 3착 | 이로고토시 | |
10.13 | 도쿄 | 도쿄 하이 점프 | J·GII | 장애물 3110m | 6.5 | 2 | 4착 | 준 벌로시티 | |
12.21 | 나카야마 | 나카야마 대장해 | J·GI | 장애물 4100m | 6.0 | 4 | 1착 | (에코로 듀얼) |
'''[[나카야마 대장해|나카야마 대장해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J·GI"]]'''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4세 이상 (연령 표기는 현재 기준) |
1934 가을 킨텐 | 1935 봄 이사하야 | 1935 가을 오시스 | 1936 봄 주피터 유토피아 | 1936 가을 토너먼트 | 1937 봄 후소 | 1937 가을 킨테키 | 1938 봄 토쿠타카 | 1938 가을 리드 앤 | 1939 봄 코쿠오 | 1939 가을 샤인 모어 | |
1940 봄 쿄쿠지츠 | 1940 가을 스태미나 | 1941 봄 라이플 온 | 1941 가을 제아들러 | 1942 봄 호카츠 피터 | 1942 가을 바이어 | 1943 봄 모토쿠마 | 1943 가을 카미와카 | |
-- 1944 봄~1947 봄 없음-- | 1947 가을 뉴 재팬 | 1948 봄 후쿠레이 | 1948 가을 블루 호마레 | 1949 봄 카미카제 | 1949 가을 브랜드 라이트 | |
1950 봄 에이 샤인 | 1950 가을 아시가라야마 | 1951 봄 츠키야스 | 1951 가을 미츠타에 | 1952 봄 카츠시로 | 1952 가을 사치 히카리 | 1953 봄 하쿠 오 | 1953 가을 모모타로 | 1954 봄 긴자쿠라 | 1954 가을 아라와시 | |
1955 봄 키타노 이즈미 | 1955 가을 시마유키 | --1956 봄 없음-- | 1956 가을 하쿠레이 | |
봄 4세 이상, 가을 3세 이상 | |
1957 봄 쿠로시오 | 1957 가을 야마 카부토 | 1958 봄 · 가을 케니 모어 | 1959 봄 오 타지마 | 1959 가을 하루보 | |
1960 봄 · 가을 롤 메리 | 1961 봄 쿠니하야 | 1961 가을 토사 킹 | 1962 봄 피닉스 | 1962 가을 라이트 리아 | 1963 봄 골든 오자 | 1963 가을 ~ 1965 봄 후지노 오4연패 | |
1965 가을 미스 하츠쿠모 | 1966 봄 애드머럴 | 1966 가을 호란 | 1967 봄 쿠니 하야히메 | 1967 가을 야마닌 다이아 | 1968 봄 후지노 호마레 | 1968 가을 타지마 오자 | 1969 봄 혼마루 시로 | 1969 가을 마운트 부젠 | |
1970 봄 하세 타카라 | 1970 가을 리쿠오 | 1971 봄 나스노 세이란 | ~~1971 가을 취소~~ | 1972 봄 나스노 세이란봄 2연패 | 1972 가을 마스히로 | 1973 봄 나스노 히엔 | 1973 가을 쿠리 유타카 | 1974 봄 ~ 1975 가을 그랜드 마치스4연패 | |
1976 봄 에리모 이글 | 1976 가을 사쿠라 온리 | 1977 봄 · 가을 바로네 터프 | 1978 봄 파운드리 나일로 | 1978 가을 ~ 1979 가을 바로네 터프3연패 | |
1980 봄 오키노 사콘 | 1980 가을 카치우마 타로 | 1981 봄 나카미 쇼군 | 1981 가을 텍사스 와이폰 | 1982 봄 · 가을 킹스 포인트 | 1983 봄 · 가을 오키노 사키가케 | 1984 봄 메지로 주피터 | 1984 가을 메지로 안타레스 | |
1985 봄 블루 플로르 | 1985 가을 온워드 볼가 | 1986 봄 라이바 코하쿠 | 1986 가을 해피 루이스 | 1987 봄 메지로 안타레스 | 1987 가을 시논 심볼리 | 1988 봄 메지로 아이거 | 1988 가을 야마닌 어필 | 1989 봄 쿄에이 워리어 | 1989 가을 메지로 마스케트 | |
1990 봄 팸플릿 | 1990 가을 와카 타이쇼 | 1991 봄 신코 앙클레 | 1991 가을 심볼리 몽트뢰 | 1992 봄 · 가을 심볼리 크리엔스 | 1993 봄 메지로 구든 | 1993 가을 · 1994 봄 브로드 마인드 | 1994 가을 로즈 문 | |
1995 봄 다이카츠 스톰 | 1995 가을 후지노 슬러거 | 1996 봄 ~ 1997 봄 폴레르3연패 | 1997 가을 케이티 타이거 | 1998 봄 노던 레인보우 | 1998 가을 빅토리 업 | |
장애물 그레이드제 도입, J·GI 지정 후 | |
1999 갓스피드 | |
2000 랜드 파워 | 2001 유 후요호 | 2002 길디드 에이지 | 2004.01 블랑디스 | 2004.12 메르시 타카 오 | 2005 티엠 드래곤 | 2006 마루카 라스칼 | 2007 메르시 에이 타임 | 2008 · 2009 킹 조이 | |
2010 바시 켄 | 2011 마제스티 바이오 | 2012 마블러스 카이저 | 2013 아폴로 매버릭 | 2014 레드 킹덤 | 2015 업 투 데이트 | 2016 · 2017 오쥬 쵸산 | 2018 니혼 필로 바론 | 2019 신군 마이클 | |
2020 메이쇼 닷사이 | 2021 오쥬 쵸산 | 2022 니시노 데이지 | 2023 마이네르 그론 | 2024 니시노 데이지 | }}}}}}}}} |
'''[[삿포로 2세 스테이크스|삿포로 2세 스테이크스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GIII"]]'''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1966 류즈키 | 1967 키타노 다이오 | 1968 부르봉 | 1969 하이 프린스 |
1970 롱 원 | 1971 토모에 오 | 1972 유시오 | 1973 커널 심볼리 | 1974 프로스페러스 | 1975 카미이치 | 1976 히시 스피드 | 1977 러블리 토쇼 | 1978 테루노 에이트 | 1979 카츠 루키 오 | |
1980 빅 디자이어 | 1981 코치 오쇼 | 1982 맥스 파이어 | 1983 시 블랙 | |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II 지정 후 | |
1984 웨스턴 파이브 | 1985 칼리스타 카이저 | 1986 갤 댄서 | 1987 미요노 스피드 | 1988 미요노 골드 | 1989 인터 보이저 | |
1990 스칼렛 부케 | 1991 니시노 플라워 | 1992 티엠 허리케인 | 1993 멜로 프루츠 | 1994 프라임 스테이지 | 1995 비와 하이디 | 1996 세이류 오 | 1997 아이 앰 더 프린스 | 1998 마이네르 플래티넘 | 1999 마이네르 콘도르 | |
2000 정글 포켓 | 2001 야마노 블리자드 | 2002 사쿠라 프레지던트 | 2003 모에레 에스푸아르 | 2004 스토미 카페 | 2005 어드마이어 문 | 2006 나무라 마스 | 2007 오리엔탈 록 | 2008 로지 유니버스 | 2009 샌디에이고 시티 | |
국제 GIII 지정 후 | |
2010 올 애즈 원 | 2011 그란데차 | 2012 코디노 | 2013 레드 레뵈르 | 2014 브라이트 엠블럼 | 2015 어드마이어 에이칸 | 2016 트러스트 | 2017 록 디스 타운 | 2018 니시노 데이지 | 2019 블랙홀 | |
2020 소다시 | 2021 지오글리프 | 2022 두라 | 2023 셋 업 | 2024 매직 샌즈 | }}}}}}}}} |
'''[[도쿄스포츠배 2세 스테이크스|도쿄스포츠배 2세 스테이크스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GIII"]]'''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중상 승격, 중앙 GIII 지정 후 |
1996 갓스피드 | 1997 킹 헤일로 | 1998 어드마이어 코진 | 1999 조텐 브레이브 | |
2000 타가노 테이오 | 2001 어드마이어 맥스 | 2002 블루 일레븐 | 2003 어드마이어 빅 | 2004 스무스 바리톤 | 2005 후사이치 리샤르 | 2006 후사이치 호오 | 2007 후사이치 어설트 | 2008 나카야마 페스타 | 2009 로즈 킹덤 | |
국제 GIII 지정 후 | |
2010 사다무 파텍 | 2011 딥 브릴란테 | 2012 코디노 | 2013 이슬라 보니타 | 2014 사토노 크라운 | 2015 스마트 오딘 | 2016 블레스 저니 | 2017 와그네리안 | 2018 니시노 데이지 | 2019 콘트레일 | |
2020 다논 더 키드 | |
국제 GII 승격 후 | |
2021 이퀴녹스 | 2022 가스트리크 | 2023 슈트라우스 | 2024 크루아 뒤 노르 | }}}}}}}}} |
[1] 니시노 플라워, 세이운 스카이 등의 마주였던 니시야마 마사유키의 아들이다.[2] 원래 지방행을 고려했으나 니시야마 오너의 판단으로 지방이 아닌 장애물로 갔다고 한다. 장애물 전향 전에 더트에서도 2경기를 뛰었는데 모두 두 자리수 착순에 그쳤었다.[3] 공교롭게도 이 날은 장애물의 전설 오쥬 쵸산의 은퇴전이기도 했다.[4] 우승마 마이네르 그론과는 10마신이나 차이가 났지만 니시노 데이지와 3착마 에코로 듀얼과의 마신차는 6마신으로 큰 차이를 냈다.[5] 유력 우승 후보 마이네르 그론이 마지막 점프 구간에서 기수를 낙마시킨 다음 그론 뒤에 따라오던 에코로 듀얼 등 후속마들에게 영향을 줘버리는 바람에 중반 이후부터 선두를 차지하며 나아가던 니시노 데이지는 별 다른 문제없이 1착으로 도착할 수 있었다.[6] 원래 도쿄 하이 점프 패배한 후부터 은퇴를 계획하고 있었다. 그러다 이가라시 담당 기수의 조교사 전직을 준비한다는 걸 듣자 좀 더 계획을 미뤄 그가 조교사 시험을 합격할 때까지 기다리려 했으나, 하필 이가라시 기수가 조교사 시험에 떨어져 애매하게 현역 일정을 속행했다. 그런 도중 11월 니시노 데이지의 다리에 이상 열감이 포착되었다는 진단이 나왔고 다행히 대참사 없이 마지막 경기 나카야마 대장해를 쟁취했지만 바로 다음 날 각부 피로가 확연히 드러났다는 조교사의 보고가 나오자 그제서야 미련없이 은퇴하게 된 것이다.[7] 12월 28일까지 나카야마에서 열리는 우승 기념 행사에 우마무스메 성우들이 참석하는 이벤트였다.[8] 실제로 아리마 기념 우승마 블래스트 원피스나 페르시안 나이트는 현역 은퇴 후 승마/유도마로 지내고 있으며 그 이후 24년 기준으로 하빈저 종마는 딱 한 마리로 그렇게 좋은 혈통이나 성적을 가지고 있지 않고 그저 마주가 종마시켜주는 케이스인 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