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9 14:31:18

노승희(골프선수)


파일:요진건설산업 로고.svg 요진건설 골프단 소속 선수 명단
{{{#!wiki style="margin: 0 -11px; color: #8b0e3a"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6px"
파일:2024 서연정.png 파일:2024 노승희.png 파일:2024 홍지원.png 파일:2024 신유진.png
서연정 노승희 홍지원 신유진
}}}}}}}}} ||
노승희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KLPGA 로고.svg 단일 시즌 10억 달성 선수 일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0px solid; margin:-1px; margin-top:-1px; margin-bottom:-1px"
달성 시즌 선수 금액 우승 탑텐 피니시
2014년 김효주
(롯데)
1,208,978,590원 5 18
2016년 박성현
(넵스)
1,333,090,667원 7 13
고진영
(넵스)
1,022,449,332원 3 16
2017년 이정은6
(토니모리)
1,149,052,534원 4 20
2019년 최혜진
(롯데)
1,207,162,636원 5 13
장하나
(BC카드)
1,157,723,636원 2 13
2021년 박민지
(NH투자증권)
1,521,374,313원 6 14
2022년 1,477,921,143원 6 12
김수지
(동부건설)
1,082,580,549원 2 17
2023년 이예원
(KB금융그룹)
1,424,817,530원 3 13
임진희
(안강건설)
1,145,835,048원 4 13
2024년 윤이나
(하이트진로)
1,211,415,715원 1 14
박현경
(한국토지신탁)
1,133,196,561원 3 13
박지영
(한국토지신탁)
1,112,269,254원 3 11
황유민
(롯데)
1,051,042,290원 1 9
2025년* 노승희
(요진건설)
1,275,539,754원 1 11
유현조
(삼천리)
1,147,119,148원 1 16
홍정민
(CJ)
1,065,266,667원 2 10
방신실
(KB금융그룹)
1,002,601,420원 3 10
※ 볼드체: 시즌 1위 / 파란색 볼드체: 역대 1위
*: 2025년 9월 28일 기준.
}}}}}} ||
역대 KLPGA 메이저 대회_한국여자오픈 우승자
2023년 - 제 37회
홍지원
2024년 - 제 38회
노승희
2025년 - 제 39회
이동은
}}} ||
<colbgcolor=#ae1857,#010101> 회원번호 No.1319
<nopad> 파일:노승희 전신 사진.jpg
<colcolor=#fff> 이름 노승희(Ro Seung Hui)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출생 2001년 3월 24일 ([age(2001-03-24)]세)
충청북도 청주시
학력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국제스포츠학부
종목 골프
데뷔 2019년 5월 KLPGA 입회
소속 요진건설산업 (2020~)
신체 162cm, O형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기록
3.1. 우승 이력
4. 상금 및 대상 포인트 순위5. 여담6. 둘러보기

1. 개요

대한민국의 프로골퍼이며, 2019년 5월 KLPGA에 입회했다.

2. 선수 경력

2.1. 프로 데뷔 전 ~ 2019년

프로 데뷔 전에 2018년 한국여자오픈에 출전했으나 컷탈락 했다. 2019년에는 먼저 점프투어에서 시작했고 4개 대회에 출전해서 4개 대회 모두 톱10을 기록했으며 특히 점프투어 4차전에서는 공동 2위를 하기도 했다. 그후 드림투어로 올라왔고 KBC 드림투어 2차전에서 우승을 하는 등 그해 드림투어에서 우승 1회, 준우승 2회, 3위 1회를 기록했다. 그해 드림투어 대회에 16번 참가해서 모두 컷통과를 했고 톱10은 9차례나 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해 11월에는 정규투어 무대에도 나왔으나 결과는 좋지 못했다.

2.2. 2020년

지난해 드림투어에서 상금순위 3위를 기록해 정규투어 시드를 확보한 가운데 나서게 되었지만 드림투어에도 2차례 출전하기도 했다. 정규투어에서는 17개 대회에 출전해 13개 대회에서 컷통과를 했고 톱10은 1차례 기록했다. 상금 순위는 51위로 내년 정규투어 시드를 유지하게 되었다.

2.3. 2021년

올해부터는 정규투어에만 출전했다. 시즌 중반까지 그럭저럭 활약하다가 9월에 열린 KG 이데일리 레이디스 오픈에서 공동 3위를 기록했다. 전체적으로 보면 28개 대회에 출전해 20개 대회에서 컷통과를 했고 4차례 톱10을 기록했다. 상금 순위는 작년 보다 오른 45위를 기록하여 역시 내년에도 정규투어에 나올 수 있게 되었다.

2.4. 2022년

6월에 열린 한국여자오픈에서 3R까지는 좋은 모습을 보이며 FR에 박민지, 임희정과 함께 챔피언조에 들어 경기를 했지만 중압감 때문인지 마지막 날에는 조금 아쉬운 모습을 보였다. 그래도 공동 7위의 성적으로 톱10으로 대회를 마치게 되었다. 그러나 나머지 대회에서는 별다른 모습을 보이지는 못했고 맥콜 모나파크 오픈에서는 기권을 하기도 했다. 톱10 피니시는 한국여자오픈 1차례만 나오게 되었다. 올해는 29개 대회에 출전해 21개 대회에서 컷통과를 했으며 상금 순위는 46위였지만 금액은 지난해 보다 약간 늘었다.

2.5. 2023년

5월에 열린 두산 매치플레이 챔피언십에서 같은 스폰서의 홍지원, 정지민2, 황정미와 같은 조에서 대결을 했고 3전 전승의 성적으로 16강에 진출했다. 16강에서는 이승연에게 승리하여 8강에 진출했으나 아쉽게도 박현경에게 패하면서 준결승에는 진출하지 못했다. 그 이후 3대회 연속으로 컷탈락을 하며 부진한 모습을 보였으나 한국여자오픈에서 공동 9위의 성적으로 2년 연속 톱10을 기록했다. 지난해에 이어 이번에도 맥콜 모나파크 오픈에서는 기권을 했다.

7월과 8월에 각각 1차례 톱10을 기록한 이후 9월에 열린 KG 레이디스 오픈에서 1R 7타를 줄이며 선두로 마쳤고 2R에도 3타를 줄이며 공동 2위의 성적으로 다시 한번 챔피언조에 들었다. FR에서 보기 없이 버디 4개를 기록하며 같은 스폰서의 서연정과 동타를 이뤄 연장전을 했으나 연장 첫홀에서 패하며 준우승에 만족해야 했다. 그래도 마음을 잘 잡았는지 바로 다음주에 열린 메이저 대회인 KB금융 스타챔피언십에서 8위의 성적으로 또 한번의 톱10을, 이후에도 2차례 톱10 피니시를 더 기록했다. 올 시즌 32개의 모든 대회에 참가해 26개 대회 컷통과와 함께 8차례 톱10을 기록했으며, 상금 순위도 22위로 작년 보다 껑충 뛰어 오른 만큼 상금액도 많이 늘었다.

정규 대회가 다 끝나고 진행된 이벤트 대회인 위믹스 챔피언십에서는 대회 첫날 황유민과 매치플레이 대결을 해서 승리했고 마지막날 보기 없이 좋은 모습을 보이며 우승을 기대했으나 아쉽게도 이예원에게 우승을 내주고 말았다.

2.6. 2024년

올해 첫 대회인 하나금융그룹 싱가포르 여자오픈에서 공동 4위를 기록하면서 쾌조의 출발을 하게 되었다. 이후에도 계속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메디힐 한국일보 챔피언십에서 공동 5위, E1 채리티 오픈에서 공동 3위, 셀트리온 퀸즈 마스터즈에서 공동 5위를 하는 등 지난해와 비교 했을때 월등히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런 흐름을 바탕으로 6월 13~16일에 열린 메이저 대회인 한국여자오픈에서 드디어 생애 첫 우승을 올렸는데, 자신의 첫 승을 내셔널 타이틀 대회에서 그것도 와이어 투 와이어 우승으로 장식했다. 이번 우승으로 상금 순위도 크게 올랐고 대상 포인트 순위에서는 이예원을 제치고 1위가 되었다. 바로 그 다음주에 박현경에게 대상포인트 1위를 내주긴 했지만 그래도 상금과 대상 순위에서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전반기에 열린 17개 대회에 모두 출전해서 단 한 차례도 컷탈락을 하지 않았다.[1] 8월에 열린 후반기 첫 대회인 제주삼다수 마스터즈에서 대회 내내 좋은 모습을 보이며 또 한번 톱10으로 대회를 마무리했다. 1주 휴식 이후 진행된 더 헤븐 마스터즈에서 다시 한번 컷통과를 기록하며 자신의 통산 100번째 대회 컷통과를 달성했다.

이후에도 계속해서 꾸준히 좋은 모습을 보였으며 9월에 열린 OK저축은행 읏맨 오픈에서 선두 이동은을 제치고 3타차 역전 우승을 차지하며 시즌 2승을 기록했다. 이로 인해 3승 라인의 박지영-박현경-이예원-배소현 이후 5번째로 다승에 성공했다.

대보 하우스디 오픈 1R 한때 4언더파로 공동 선두에 올랐으나 악천후로 인해 잔여 경기가 다음날로 미뤄졌는데, 잔여 경기 중 6연 보기를 기록하는 등 7타를 잃으며 김민별과 더불어 잔여 경기에서 제일 큰 손해를 봤다. 그래도 2R 이븐파, 3R 2언더파로 최종 순위는 공동 27위.

이후의 대회에서도 순항을 했으나 덕신EPC · 서울경제 레이디스 클래식에서 컷탈락을 하며 연속 컷통과 기록이 끊기고 말았다. 하지만 바로 다음주에 열린 S-OIL 챔피언십에서 공동 7위를 기록하며 또 한번 톱10 피니시를 만들었으며 시즌 마지막 대회인 SK텔레콤 · SK쉴더스 챔피언십에서는 단독 7위의 성적으로 다시 한번 톱10 피니시를 기록하고 시즌을 마쳤다.

올 시즌 31개 대회에 모두 참가해 1차례를 제외하고 모두 컷통과를 했으며 톱10 피니시는 10차례 기록했다. 출전 선수들 중에 유일하게 100라운드를 돌파했고 전체타수도 유일하게 7000타수 이상을 기록했다. 평균타수에서 5위에 올랐고 평균버디에서는 윤이나에게 밀렸지만 전체 버디수에서는 1위를 기록했다. 그리고 그린에 올리지 못한 홀에서 파 이상의 성적을 기록하는 리커버리율에서 유일하게 70%대를 기록하게 되었다.[2]

2.7. 2025년

국내 개막전인 두산건설 We’ve 챔피언십에서 공동 10위의 성적으로 톱10을 기록하며 좋은 출발을 했다.

5월에 열린 시즌 첫 번째 메이저 대회인 KLPGA 챔피언십에서 공동 11위로 마무리했고, 2주 후에 열린 매치플레이 대회에서는 김나영, 박보겸, 이채은2과 같은 조가 되었다. 1차전에서 김나영을 상대로 승리했고 2차전에서는 그동안 매치플레이에서 여러번 만났지만 상대 전적이 좋지 않았던 이채은2를 상대로도 승리했고 3차전에서는 올해 우승 경험이 있는 박보겸을 상대로도 승리하며 3승을 기록하고 16강에 진출했다. 16강에서 최민경, 8강에서 2년 전 매치플레이 챔피언이었던 성유진을 상대로 승리하며 준결승까지 진출했으나 준결승전에서 황유민에게 패하며 결승 진출에는 실패했다. 그러나 3, 4위전에서 3년 전 챔피언이었던 홍정민을 상대로 승리하며 3위로 대회를 마쳤다.

이후 US 여자 오픈에 참가를 밝혀 E1 채리티 오픈, Sh수협은행 MBN 여자오픈은 불참했다. US 여자 오픈에서는 1,2R 도합 2오버파를 기록하며 공동 62위로 아쉽게 컷탈락했다. 국내 복귀 이후 처음으로 참가한 셀트리온 퀸즈 마스터즈에서 1, 2R까지는 흐름이 좋았으나 FR에 주춤하면서 공동 24위로 대회를 마쳤다.

6월 12~15일 진행된 한국여자오픈에서는 3R까지 좋은 모습을 보였고 FR에서도 초반에는 흐름이 좋았으나 후반에 주춤하면서 타이틀 방어에는 실패했다. 그래도 4위로 마무리하면서 이 대회에서 4년 연속으로 탑텐을 기록하게 되었다. 이어 열린 더헤븐 마스터즈에서 악천후 속에서도 지난주의 좋은 흐름을 이어가며 연장전 승부 끝에 이다연을 꺾고 시즌 첫 우승, 개인 통산 3승을 달성했다. 또한 이번 우승은 자신의 생애 첫 노보기 우승이기도 하다.

7월 3~6일 진행된 롯데오픈에서 3R까지 1타 차로 2위를 기록한 가운데 FR을 맞이했으나 초반에 난조를 보이며 결국 박혜준에게 우승을 내줬다.[3] 바로 다음주 10~13일에 열린 하이원리조트 여자오픈에서 2R까지는 주춤했으나 3R부터 살아난 모습을 보이며 공동 14위로 대회를 마쳤다.

휴식기 이전까지를 정리해보면 정규투어는 US여자오픈 출전 관계로 2개 대회에 불참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 대회에는 모두 출전해서 모두 컷통과에 성공했고 1, 2, 3위를 각각 1번씩 기록했다.

후반기 첫 대회이자 신설대회인 오로라월드 레이디스 챔피언십에서는 3R에서 더블 보기 1차례 기록한 것을 제외하면 활약이 나쁘지 않았고 공동 5위로 대회를 마치며 후반기 좋은 출발을 알렸다. 바로 이어진 제주삼다수 마스터스에서도 꾸준한 활약을 보이며 FR에서 생애 첫 우승을 노리는 고지원을 강하게 압박했으나 역전에는 실패하며 2위에 머물렀다.[4]

메디힐 · 한국일보 챔피언십에서도 대회 내내 꾸준한 활약을 보이며 공동 3위로 대회를 마쳤고, BC카드·한경 레이디스컵에서도 우승 경쟁에 나섰으나 김민솔이 마지막 홀에서 엄청난 이글 롱퍼트를 성공시키는 바람에 1타차 2위를 기록했다.[5] 이어 열린 KG 레이디스 오픈에서는 전체적으로 부진한 모습 속에 컷탈락 위기도 있었으나 극적으로 컷통과에 성공했고 FR에서는 반등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1, 2R 부진 탓에 연속 탑텐 피니시 기록은 멈추고 말았다.

9월 4~7일에 열린 시즌 3번째 메이저 대회인 KB금융 스타챔피언십에서 1R 상위권, 2R와 3R에 다소 아쉬운 모습이 있었지만 FR에서 만회하며 2위[6]로 마쳤다. 이로 인해 생애 처음이자 올 시즌 KLPGA 선수 중 처음으로 상금 10억원돌파하면서 시즌 상금 1위로 올라섰으며, 대상포인트는 2위가 되었다.

OK저축은행 읏맨 오픈에서는 타이틀 방어에 나섰으나 2R 16홀 더블보기 이후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타이틀 방어에 실패했다. 그리고 이 대회에서 방신실이 우승을 하면서 대상포인트 순위가 3위로 밀렸다. 하나금융그룹 챔피언십에서는 탑텐 피니시에는 실패했지만 대회 첫 날 같은 조에서 경기한 이예원과 나란히 공동 14위를 기록하며 상금 11억원을 돌파했다.

9월 25~28일에 열린 시즌 마지막 대회인 하이트진로 챔피언십에서는 3R까지 선두로 마치며 FR에 돌입했으나 정규 홀에서 승부를 가리지 못하고 성유진과 라이트 연장전을 펼쳤으나 난조를 보이며 준우승에 만족해야 했다. 그래도 상금을 많이 획득하며 올 시즌 처음으로 상금 12억원을 돌파하며 상금순위 1위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이런 꾸준한 활약에 힘입어 KLPGA 투어의 대표 강자 메디힐 듀오 이예원-박현경이 주춤한 사이 홍정민, 유현조와 더불어 시즌 상금왕, 대상 타이틀 경쟁자로 부상했다.

3. 기록

3.1. 우승 이력

4. 상금 및 대상 포인트 순위

5. 여담

6. 둘러보기

파일:KLPGA 로고.svg KLPGA 투어 노보기 우승
대회명 총 라운드 시즌
더헤븐 마스터즈 3R 2025

[1] 전 대회에 출전한 선수들은 여러명 되지만 전부 컷통과를 기록한 선수는 노승희가 유일하다.[2] 리커버리율에서 70% 이상이 나온 것은 2008년 신지애 이후 처음이다.[3] 후반에 살아나며 18홀에서 이글로 압박을 했지만 초반의 부진이 결국 발목을 잡았다.[4] 이번 대회에서는 15홀에서 티샷 미스 이후에도 극적으로 파세이브를 했으나 바로 이어진 홀에서 보기가 나왔고 그 이후 나머지 두 홀에서 모두 버디를 잡았지만 결국 우승은 하지 못했다.[5] 이번 FR에서는 초반에 버디 2개를 기록하며 좋은 출발을 했으나 8, 9홀에서 연속 보기가 나오고 말았으며 특히 9홀에서는 생크가 나오기도 했다.[6] 6월 우승 이후 7월부터 2위만 네 번째[7] 2025년 9월 28일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