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방침 (문서 관리 방침 · 토론 관리 방침 · 이용자 관리 방침 · 운영 관리 방침 /운영진 선출) · 편집지침 (일반 문서 · 특수 문서 · 특정 분야 (인문사회 · 과학기술 · 문화예술 · 창작물) · 등재 기준 · 표제어) |
FAQ · 도움말 (기능 · 편집 · 문법 (심화 · 수식 · 개발) · 토론 · 설정 · 소명 · 권리침해 · 자주 하는 실수 · 문서 삭제식 이동 · 더미) |
관리자 · 중재자 · 역대 운영진 · 운영진 지원 · 운영 도움말 (관리 · 중재 · 권한) · 접근 제한 (문서 목록) · 운영회의 (시행규칙 · 안건 건의) · 운영진 임명 회의 /진행 중인 회의 · 봇 리스트 · 투명성 보고서 · 소급 적용 규정 일람 · 공지 목록 |
분류 · 게시판 · 엔진 (업데이트) · 계정 · 통계 · 연습장 · 내 문서함 · 문서 작성 요청 |
프로젝트 · 주요 페이지 링크 · 보존문서 · 파일 · 틀 · 템플릿 |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공식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운영에 사용되는 문서입니다. 따라서 문서의 수정 자격이 제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신중히 문서를 편집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운영에 사용되는 문서입니다. 따라서 문서의 수정 자격이 제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신중히 문서를 편집해 주시기 바랍니다.
1. 개요
- [경고!] 일부 추측성 내용과 과거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현직 운영진께서는 직접 검토하시고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 권한이 생기거나, 새로운 권한 및 권한의 사용방법이 바뀌면 최신화시켜주시기 바랍니다.
- 나무위키의 각 운영진들이 보유하고 있는 권한과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 이곳에는 기술적으로 부여된 권한을 설명합니다. 기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규정상 불허되는 행위도 있으니, 필히 규정을 확인하신 후 권한을 사용하셔야 합니다.
2. 차단 관련 권한
- 2020년 8월 25일 ACL 관련 엔진 개편으로 인하여, 기존의 "차단된 이용자" 개념이 삭제되고 모두 ACL Group을 통한 차단 기능으로 대체되었습니다.
- 사용자 차단 및 IPACL 기능도 모두 삭제되어 ACL Group 메뉴로 통합되었습니다.
- 특정한 이용자를 특정한 ACL Group에 추가하는 방법으로 차단, 경고 부여 등 모든 종류의 제재를 집행할 수 있습니다.
* 지정 가능한 차단 일수입니다.
* ACL Group 조정 메뉴에서 차단 기간을 펼치면 출력됩니다.
* 최하단의 직접 입력을 선택하면 초, 분, 시간, 일, 주 단위로 차단 기간을 직접 입력할 수 있습니다.
* 최하단의 직접 입력을 선택하면 초, 분, 시간, 일, 주 단위로 차단 기간을 직접 입력할 수 있습니다.
- ACL Group 개편 이후, 모든 ACL Group의 추가에는 각각의 내역에 대해 고유한 ID 번호가 부여됩니다. 형식은 #0000000 의 형태입니다.
- 차단 ID는 차단 내역 조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ACL Group에서 해당하는 그룹 탭을 선택한 후, 우측의 ID란을 통해 차단 ID를 검색하면 차단 대상과 메모, 생성일 및 만료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개편 이전에 집행된 차단의 경우, 차단 내역에 ID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차단된 이용자의 사용자 문서에 생성되는 차단 틀을 확인하시면 ID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IP 이용자에 대한 차단 ID 조회의 경우, 다른 방법을 사용하면 됩니다. 참고 게시글(수정)
- 차단 기간을 조정할 때에는 기존의 차단을 해제한 후 다시 차단을 집행하여야 합니다.
- ID를 검색하였을 때의 삭제 버튼이 차단을 해제하는 버튼입니다.
- IP를 차단할때의 팁입니다.
2.1. 빠른 ACL Group
- 문서나 토론에서 긴급한 문서 훼손 이용자를 차단할 때, 해당 이용자명을 클릭 후 나오는 팝업 메뉴에서 '차단' 버튼 클릭 시 빠른 ACL Group 팝업창이 뜨며 차단 기간만 선택해 빠른 차단이 가능합니다. 차단 사유는 해당 문서의 리비전까지 자동으로 기입되기 때문에 입력하지 않아도 무방합니다.
3. 게시판 관련 권한
- 게시물과 댓글의 수정 및 삭제가 가능해집니다.
- 카테고리 변경 등의 설정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4. 토론 관련 권한
4.1. 토론 상태 변경
- 드롭다운 메뉴를 눌러 변경하고자 하는 상태로 선택 후 변경 버튼을 누르면 반영됩니다.
4.2. 댓글 숨기기
- 댓글의 오른쪽 상단 화살표(▾)를 눌러 메뉴를 펼친 후, '[ADMIN] 숨기기'를 누릅니다.
- 댓글이 숨겨졌습니다. 토론 제목 옆 '숨겨진 댓글 보이지 않기' 체크 표시를 해제하면 숨겨진 댓글을 볼 수 있습니다.
- '[ADMIN] SHOW'를 누르면 숨기기를 해제하지 않고 숨겨진 댓글의 내용을 일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다른 이용자들도 볼 수 있도록 숨기기를 완전히 해제하려면, 댓글의 오른쪽 상단 화살표(▾)를 눌러 메뉴를 펼친 후, '[ADMIN] 숨기기 해제'를 누릅니다.
4.3. 토론 이동 권한
- 잘못된 위치에 개설된 토론 등 관련 규정에 의해 이동 권한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토론 이동을 할 때, 토론 생성 ACL 권한이 있어야 이동이 가능합니다.
- 이 화면에서 보이는 '[ADMIN] 스레드 이동 우측 입력란에 이동할 목적지 문서명을 입력 후, 변경을 눌러주세요. 아래 사진에는 쓰레드라고 나와 있지만, 지금은 스레드로 변경되었으며, '[ADMIN] 숨기기' 버튼은 해당 사진과 같이 화살표 위치로 이동되었습니다.
파일:a67813_스크린샷 2018-02-15 오후 12.27.16.png
- 토론이 입력한 목적지 문서로 이동되었습니다.
파일:0a7203_스크린샷 2018-02-15 오후 12.27.25.png
- 한번 더 이동을 하였습니다.
파일:70d0fe_스크린샷 2018-02-15 오후 12.27.43.png
4.4. 토론 주제 변경 권한
- 욕설, 비하 발언 등 토론의 주제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 관련 규정에 의해 주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5. 문서 ACL 변경
- ACL을 조정할 때에는 ACL을 적용할 권한[1], ACL 적용 대상을 나타내는 Condition[2], 대상에게 적용될 Action[3], ACL이 적용될 기간인 Duration(Expiration) 값 설정이 필요합니다.
- 규칙은 여러 개 등록할 수 있습니다.
- 규칙의 순서는 변경하고자 하는 ACL 행을 드래그 앤 드롭하면서 변경할 수 있습니다.
- 모든 규칙은 위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되며, 특정 이용자가 규칙의 Condition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다음 규칙으로 넘어가게 됩니다.
- 개별 문서의 ACL에 만족하는 규칙이 없어 규칙의 끝에 도달하게 되면 모두 거부됩니다.
- 거부 당할 때 오류 메세지로는 규칙에 의하여 직접 거부당했을 때와 규칙의 끝에 도달하여 거부당했을 때로 나눠집니다.
- 잘못된 예1. 모두 거부
2. 관리자 허용이러한 경우에는 관리자도 거부됩니다.[7] - 올바른 예1. 관리자 허용
2. 모두 거부이러한 경우에는 1번에서 관리자는 허용된 상태이지만 관리자가 아닌 사용자는 2번 규칙으로 넘어가서 모두 거부에 따라 거부됩니다.
- 문서에 별도의 규칙이 적용되어 있지 않거나, gotons(이름공간 ACL 실행) Action이 실행될 경우 이름공간 ACL이 적용됩니다.
- 이름공간 ACL은 문서 ACL 우측 탭을 눌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름공간 ACL이 없을 시 모두 거부됩니다.
- 이름공간 ACL을 조정하려면 nsacl 권한이 부여되어야 하며, 선출직 관리자가 조정할 수 없습니다.
- Action을 gotons(이름공간 ACL 실행)으로 설정한 경우, Condition에서 설정한 그룹에 한하여 이름공간 ACL 규칙이 적용됩니다.
- 예를 들어, 'edit,gotons,perm:document_contributer' 와 같이 설정한 경우, 편집 권한을 행사하려 할 때 문서 기여자에 한하여 이름공간 ACL 규칙이 실행되고 Condition에 속하지 않는 그룹들은 모두 거부됩니다.
- 해당 문서에 대한 기여 내역이 없는 운영자 역시 거부됩니다. 관련 게시글
- 개별 문서에서 Condition에서 설정한 그룹의 Action을 허용으로 설정하면 이름공간 ACL과는 상관 없이 Condition에서 설정한 그룹에 해당하는 모든 사용자가 허용됩니다. 따라서 차단된 사용자[8]가 거부되지 않으므로, 특수한 상황이 아니면 Action은 gotons로 설정해야 합니다.
- 문서 편집 권한은 이동 및 삭제 권한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편집 권한이 거부되면 이동 및 삭제가 불가능합니다.
- 즉, 편집 ACL을 설정하였다면, 이동/삭제 ACL은 별도로 조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5.1. 드롭다운 메뉴에 없는 ACL 권한 설정
- 엔진에서 설정이 불가능한 기간동안 차단 또는 ACL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웹 브라우저에서 개발자 도구를 열어[9], 해당되는 ACL 상의 코드 내에서 해당 value 값을 원하는 권한으로 수정한 뒤, 추가를 눌러 권한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 권한의 종류는 ACL 내의 option중 value값을, 기간 설정은 expire의 value 값을 수정하여 적용할 수 있습니다.
- [ 권한 추가 방법 및 활용 예시 펼치기 · 접기 ]
- Acl을 조정하고자 하는 문서에 들어간 후 개발자 모드(F12)을 연 후 1번에 해당하는 아이콘 누르기
그 상태로 원하는 권한 리스트를 클릭 후 개발자 모드에 자동으로 선택된 것을 펼치기value 값을 자신이 원하는 권한[10]을 직접 수정
후에 해당 권한을 다시 클릭하여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접근 제한 3단계 문서의 ip 이용자를 완벽하게 편집 제한[11] 할 수 있습니다.[12]
6. 기타 사항
- no_force_captcha 권한이 지급된 경우 문서 생성, 이동, 삭제 등 여러 상황에서 CAPTCHA 인증이 나타나는 빈도가 대폭 감소합니다.
[1] edit(편집), move(이동), delete(삭제), create_thread(토론 생성), write_thread_comment(토론 댓글 달기), edit_request(편집 요청), acl(ACL 설정)까지 7가지가 존재합니다. read(읽기) 권한은 조정할 수 없습니다.[2] any(아무나), ip(아이피 사용자), member(로그인된 사용자), admin(관리자), member_signup_15days_ago(가입한지 15일 지난 사용자), document_contributor(해당 문서 기여자), contributor(위키 기여자), match_username_and_document_title(문서 제목과 사용자 이름이 일치), mobile_verified_member(모바일 인증된 사용자))까지 총 9가지가 존재합니다. 특정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정할 수도 있으나 선출직 관리자는 규정상 허용되지 않습니다.[3] allow(허용), deny(거부), gotons(이름공간 ACL 실행) 세 가지가 존재합니다.[4] Action:deny로 인하여 거부[5] 차단된 사용자 Aclgroup에 있다던가 perm:ip라서 거부당했다는 메세지가 나타남[6] 가입한지 15일이 지나야 편집이 가능하다. 등[7]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규칙 중 1번의 모두 거부에서 이미 모든 사용자가 거부되었기 때문(이미 관리자라는 사용자도 모든 사용자에 속하므로, 1번 규칙의 타깃에 해당)에 그 뒤에 어떤 규칙이 존재해도 1번에서 거부됩니다.[8] 차단 및 경고를 포함한 관련 ACL Group에 속해 있는 모든 이용자들을 말합니다.[9] 크롬 기준 'F12' 버튼[10] ip, bot, update_thread_status, grant 등등[11] 2024년 현재는 ACL에 아이피 사용자가 추가되어 있습니다.[12] 모든 권한 설정에는 대문자가 들어가면 안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