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537B, #006494 20%, #006494 80%, #01537B);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진덕왕조 | 중시 | 죽지 |
무열왕조 | 중시 | 문충 | 김문왕 | |
문무왕조 | 중시 | 문훈 | 진복 | 지경 | 예원 | 천광 | 춘장 | 천존 | |
신문왕조 | 중시 | 순지 | 대장 | 원사 | 선원 | |
효소왕조 | 중시 | 원선 | 당원 | 순원 | |
성덕왕조 | 중시 | 원훈 | 원문 | 신정 | 문량 | 위문 | 효정 | 사공 | 문림 | 선종 | 윤충 | |
효성왕조 | 중시 | 의충 | 신충 | |
경덕왕조 | 중시 | 유정 | 대정 | |
시중 | 대정* | 조량 | 김기 | 염상 | 김옹 | 양상 | ||
혜공왕조 | 시중 | 김은거 | 정문 | 김순 | 주원 | |
원성왕조 | 시중 | 제공 | 종기 | 준옹 | 숭빈 | 언승 | 지원 | 김삼조 | |
소성왕조 | 시중 | 충분 | |
애장왕조 | 시중 | 수승 | 김헌창 | |
현덕왕조 | 시중 | 양종 | 원흥 | 장여 | 김충공 | 영공 | |
흥덕왕조 | 시중 | 김우징 | 윤분 | 김명 | |
희강왕조 | 시중 | 이홍 | |
민애왕조 | 시중 | 헌숭 | |
문성왕조 | 시중 | 의종 | 양순 | 김여 | 위흔 | 김계명 | |
경문왕조 | 시중 | 위진 | 인흥 | |
헌강왕조 | 시중 | 예겸 | 민공 | |
정강왕조 | 시중 | 준흥 | |
효공왕조 | 시중 | 계강 | 효종 | |
경명왕조 | 시중 | 유렴 | 언옹 | |
* 경덕왕 6년 중시를 시중으로 고쳐 부름.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537B, #006494 20%, #006494 80%, #01537B);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철부 | 김구해 | 김거칠부 | 김세종 |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수을부 | 을제 | 수품 | 비담 |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알천 | 금강 | 김유신 | 김군관 |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
진복 | 김문영 | 김개원 | 인품 |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배부 | 김사공 | 김정종 | 김사인 | |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
신충 | 만종 | 신유 | 김옹 | |
제25대 |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
김양상 | 김경신 | 충렴 | 세강 | |
제29대 | 제30대 | 제31대 | 제32대 | |
김언승 | 김숭빈 | 김수종 | 김충공 | |
제33대 | 제34대 | 제35대 | 제36대 | |
김균정 | 김명 | 김귀 | 장보고 | |
제37대 | 제38대 | 제39대 | 제40대 | |
김예징 | 김의정 | 김안 | 김정 | |
제41대 | 제42대 | 제43대 | 제44대 | |
위진 | 김위홍 | 준흥 | 김성 | |
제45대 | 제46대 | 제47대 | ||
계강 | 박위응 | 김성 | ||
문헌상 기록이 확인된 인물 | ||||
김춘추, 김순정, 김주원 | ||||
}}}}}}}}} |
신라의 상대등(上大等) | ||||
김사인 | ← | 신충 | → | 만종 |
1. 개요
信忠 / 金忠臣(?) / 金忠信(?)통일신라 중대의 진골 귀족. 관등은 이찬.
2. 생애
726년 4월 김충신(金忠臣)이 당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는데 이 김충신이 신충과 동일인물의 이름을 다르게 표기한 것이라는 설이 있다.한편 734년에 당나라에서 숙위하며 머무르고 있다가 당나라 황제에게 본국으로 돌려보내 줄 것을 요청한 김충신(金忠信)과도 신충이 동일인물이란 설도 있다.[1]
삼국유사에 따르면 왕위에 오르기 전의 효성왕과 매우 가까운 관계로 바둑을 즐겨 두었다고 한다. 여기서 효성왕과 한 약속이 향가 중 하나인 원가의 배경이고 신충이 원가의 작사가이다.
경덕왕 시대 757년 전임 상대등 김사인이 병에 걸려 관직을 그만두었으므로 신충이 상대등을 역임했고 763년 8월 시중 김옹과 함께 사직했다.
그가 나이들어 은거한 후 경남 산청군의 지리산 자락에 사찰 단속사를 창건했다. 이 절은 조선시대까진 있었지만 조선 때 훼손됐고 지금도 단속사지 삼층석탑이 대한민국의 보물로 남아있다.
[1] 김수태, 《신라중대 전제왕권과 진골귀족》, 서강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0, 11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