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4 23:49:44

김구 내각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무총리제
대통령제
국무령제
국무위원제
주석제
대한민국 정부 }}}}}}}}}
<colbgcolor=#808080><colcolor=#fff>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원
김구 내각
金九 內閣 | Kim Ku Cabinet
파일:김구.jpg
▲ 김구 국무령
1926년 12월 14일 ~ 1927년 8월 19일
<rowcolor=#ffffff> 출범 이전 이후
홍진 내각 1차 이동녕 정부
국무령 김구 ,/ 제3대,
국무총리 양기탁 ,/ 임시서리,

1. 개요2. 역사3. 내각 명단

[clearfix]

1. 개요

김구를 국무령으로 하는 임시정부 내각이다.

2. 역사

2차 개헌 이후 의원내각제 체제는 완벽히 실패했다. 의원내각제 개헌에 부정적이었던 김구가 집권하자 그는 중국국민당을 본받아 집단지도체제, 민족유일당 운동을 이륙하려고 하였다. 그렇기에 그가 주장한 3차 개헌은 국무원의 각료들이 호선하는 국무회의 주석과 의정원에서 임명하는 국무령이 공존하는 의원내각제와 집단지도체제가 섞여 있는 체제였다.

민족유일당 운동에 대해서도 추진을 노력했으나 당시 독립운동 단체는 화북과 만주, 국내, 미주 그리고 상해가 완전히 분리된 채 있었기 때문에 통합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렇기에 민족유일당 운동은 화북 세력과 상해 임시정부를 통합하는데 주력하고 있었다. 그러나 중국국민당과 달리 임시정부는 이들을 통합할 무력을 보유하고 있지 않단 점에서 치명적인 한계가 있었다.

집단지도체제 개헌안은 의정원에서 통과되었고 국무회의 주석에 이동녕이 선줄되었다. 김구는 임시 약헌 개헌이 이루어진 후 의정원에 의해 다시 국무령에 선출되었다.

3. 내각 명단

국무령: 김구
국무총리: 양기탁[서리]
내무부장: 윤기섭
외무부장: 이규홍
재무부장: 김갑
군무부장: 오영선
법무부장: 이동녕
학무부장: 조상섭
교통부장: 김철
경무국장: 나창헌
국무원 비서장: 곽병덕
정무위원: 이동녕, 김명준, 조완구
헌법개정기안위원: 송병조, 김붕준, 엄항섭

[서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