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4 19:47:37

이승만 내각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무총리제
대통령제
국무령제
국무위원제
주석제
대한민국 정부 }}}}}}}}}
<colbgcolor=#f5deb3><colcolor=#000>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원
이승만 내각
李承晩 內閣 | Syngman Rhee Cabinet
파일:Syngman-Rhee-in-1910.jpg
▲ 이승만 국무총리
1919년 4월 11일~1919년 9월 11일
<rowcolor=#000> 출범 이후
이승만 정부
국무총리 이승만 ,/ 초대,


1. 개요2. 역사3. 내각 명단

[clearfix]

1. 개요

1919년 4월 11일, 상해 임시정부에서 수립된 내각으로 임시정부 초대 국무원이다. 3.1 운동 이후 각지에서 세워진 임시정부들이 통합되는 과정에서 미국 교포들의 지지를 받고 독립협회 시절부터 유명한 개화주의자였던 이승만을 총리로 추대했다. 1919년 9월 11일 임시헌법이 개정되며 대통령중심제 개헌이 될 때까지 5개월간 유지된 내각이다.

2. 역사

이승만은 국무총리에 추대된 이후 워싱턴 D.C에 구미위원회를 설치하였다. 이때는 상해 정부와 한성 정부, 블라디보스톡 정부가 공존하던 상황이었는데 이승만은 상해 정부의 국무총리이자 한성 정부의 집정관 총재로 추대되었다. 이때 그는 스스로를 대통령(president)라 칭했는데 이 문제로 안창호를 비롯한 독립운동가들에게 비판을 받았다. 그러자 이승만은 집정관 총재는 대통령으로 번역함이 적절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국무총리 임기 동안 상해나 한성에 한 번도 방문한 적이 없고 후일 대통령에 당선된 이후에서야 상해에 방문했다.

3. 내각 명단

국무총리: 이승만
내무부장: 안창호
외무부장: 김규식[구미위원회]
재무부장: 최재형
군무부장: 이동휘노백린
법무부장: 이시영남형우안창호
교통부장: 신석우
국무위원: 조완구
국무원 비서장: 조소앙

[구미위원회] 구미외교위원장 겸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