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4 23:48:48

박은식 정부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무총리제
대통령제
국무령제
국무위원제
주석제
대한민국 정부 }}}}}}}}}
<colbgcolor=#808080><colcolor=#fff>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원
박은식 정부
朴殷植 政府 | Bak Eun-sik Government
파일:attachment/Baekam.jpg
▲ 박은식 임시대통령
1925년 3월 23일 ~ 1925년 7월 7일
<rowcolor=#ffffff> 출범 이전 이후
이승만 정부 이상룡 내각
대통령 박은식 ,/ 제2대,
국무총리 박은식 ,/ 제6대,
노백린 ,/ 제7대,
이동녕 ,/ 제8대,


1. 개요2. 역사3. 내각 명단

[clearfix]

1. 개요

이승만이 위임통치 청원 사건으로 임시대통령에서 탄핵된 후 새로 임시대통령에 선출된 박은식을 수반으로 하는 정부이다.

2. 역사

이승만의 독단적 행동과 계파 갈등으로 임시정부는 극한의 혼란을 겪었다. 이승만 정부 초기에는 이동휘를 비롯한 공산주의자들과 갈등을 벌였고 그 결과 좌익 세력들이 임시정부를 탈퇴했다. 이 과정에 벌어진 유명한 사건이 김립 피살 사건이다. 이후 외교독립론의 한계가 지적되며 임시정부의 향방을 놓고 유지파(김구, 이승만), 개조파(안창호계, 상해공산당), 창조파(박용만, 신채호, 노령공산당)의 대립이 일어났고 결국 창조파와 개조파는 유지파의 압력에 못 이겨 임시정부를 탈퇴한다.

그러나 이승만의 지도력에 큰 손상이 되었고 이승만은 임시의정원에 의해 탄핵되고 개조파 출신 박은식이 새 대통령이 되었다. 박은식은 대통령이 되었으나 임시정부에 제왕적 대통령이 있는 것을 반대해왔고 의원내각제 개헌을 추진했다. 그리하여 임시 헌법 2차 개헌으로 대통령중심제에서 의원내각제로 정부 구성 방식이 바뀌게 되었다.

3. 내각 명단

국무총리: 박은식노백린이동녕
내무부장: 이유필
외무부장: 이규홍[재무]
군무부장: 노백린
법무부장: 오영선
학무부장: 조상섭
교통부장: 노백린조상섭
노동국장: 김갑이유필
경무국장: 강창제
국무원 참사: 조영원

[재무] 재무부장 겸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