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4 23:49:17

홍진 내각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무총리제
대통령제
국무령제
국무위원제
주석제
대한민국 정부 }}}}}}}}}
<colbgcolor=#808080><colcolor=#fff>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원
홍진 내각
洪震 內閣 | Hong Jin Cabinet
파일:만오_홍진_선생.png
▲ 홍진 국무령
1926년 7월 7일 ~ 1926년 12월 14일
<rowcolor=#ffffff> 출범 이전 이후
이상룡 내각 김구 내각
국무령 홍진 ,/ 제2대,
국무총리 이동녕 ,/ 제8대,
양기탁 ,/ 임시서리,

1. 개요2. 역사3. 내각 명단

[clearfix]

1. 개요

홍진을 국무령으로 하는 임시정부의 내각. 이상룡 국무원의 사임 이후 5개월만에 정식 국무령이 취임하였으나 여전히 임시정부의 위신과 재정에 큰 위기가 있었던 시기였다.

2. 역사

양기탁과 안창호가 연이어 임시정부 국무령직을 고사하자 의정원은 외부에서 국무령을 찾는 것을 포기하고 외무부장이었던 홍진을 국무령으로 임명했다. 홍진 국무령은 국무원 내 조직 개편을 하고 국내에서 벌어지는 타협적 민족주의 운동을 배격하기 위해 4대 강령을 반포한다. 여기에는 비타협 민족주의, 통합된 민족유일당 건설, 피식민 민족과의 교류 증진, 열강과의 대화가 있었다. 이후 홍진은 민족유일당 운동을 위해 국무령직을 사임하며 김구 내무부장이 새로운 국무령에 취임한다.

3. 내각 명단

국무령: 홍진[외무]
국무총리: 이동녕양기탁[서리]
내무부장: 이규홍김구→최창식→윤기섭
재무부장: 이유필
군무부장: 김철
법무부장: 조상섭[학무]
교통부장: 김갑
무임소장: 조소앙, 김응섭
노동국장: 최창식
경무국장: 나창헌
국무원 비서장: 백기준→김여홍

[외무] 외무부장 겸임[서리] [학무] 학무부장 겸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