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2:34:06

금양초등학교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위치한 서울금양초등학교에 대한 내용은 서울금양초등학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위치한 서울금양초등학교:
서울금양초등학교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파일:금정구 CI_White.svg 부산광역시 금정구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공덕초등학교 구서초등학교 금빛초등학교 금사초등학교
금샘초등학교 금성초등학교 금양초등학교 금정초등학교
남산초등학교 동래초등학교 동상초등학교 동현초등학교
두실초등학교 부곡초등학교 부산삼육초등학교 서동초등학교
서명초등학교 장서초등학교 장전초등학교 청룡초등학교
현곡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학교 틀 둘러보기
<colbgcolor=#2e3192><colcolor=#fff> 금양초등학교
錦陽初等學校
Kumyang Elementary School
파일:부산금양초.jpg
개교 1999년 3월 1일
성별 남녀공학
형태 공립
교장 정태근
교감 정O정
교훈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슬기를 길러
꿈을 키우는 어린이
교화 장미
교목 소나무
학생 수 757명[기준]
교직원 수 52명[기준]
관할 교육청 부산광역시동래교육지원청
주소 부산광역시 금정구 중앙대로 1755
(부곡동 63-27)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nopad>

1. 개요2. 학교 연혁3. 교훈 및 상징
3.1. 교표3.2. 교화3.3. 교목3.4. 교훈3.5. 교가
4. 학교 특징5. 학교 시설
5.1. 주요 행사5.2. 학교 일과
6. 출신 인물7.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7.1. 버스7.2. 도시철도
8. 사건·사고9. 기타10.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금양초등학교는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3동 부곡 SK아파트 부지 내에 위치한 공립학교이다. 아파트 부지내에 설립된 초품아이기도 하다.[3]

2. 학교 연혁

3. 교훈 및 상징

3.1. 교표

파일:부산금양초.jpg

3.2. 교화

파일:금양초 교화.jpg

3.3. 교목

파일:금양초교목.jpg

3.4. 교훈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슬기를 길러 꿈을 키우는 어린이

3.5. 교가

파일:금양초교가222.jpg

4. 학교 특징

운동장이 정말 작으며 큰길 옆에 위치해있다. 강당은 있으나, 없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의 굉장히 작은 크기다. 5층에있는 강당의 특징은 천장의 높이는 일반 교실과 같으며 넓이는 한학년이 모두 들어가면 꽉차는 정도이다. (발리볼 경기장 하나 할 수 있는 크기) 급식실은 없다.

5. 학교 시설

5.1. 주요 행사

운동회 2022.9.29

5.2. 학교 일과

나머지 일과, 방과후 프로그램 등은 이곳에 작성합니다.

6. 출신 인물

7.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7.1. 버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33
, 1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3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7.2. 도시철도

8. 사건·사고

언론에서 보도한 경우에만 서술합니다.

9. 기타

10. 둘러보기


[기준] 2024년 3월 1일[기준] [3] 초품아들은 1,000세대 이상의 대단지 아파트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1,000세대가 넘어가면 아파트 부지 내에 초등학교를 의무적으로 설립해야 하기 때문이다. 부곡SK아파트는 건설 당시 1084세대라서 초등학교를 의무적으로 부지내에 지어야 했다.[A] 장전역 방향만 경유[A] [6] 부곡초등학교는 개교년도가 1969년으로 이때는 부곡2동 일대가 구획정리가 되기 이전인 자연부락(금양마을) 시절이라서 실제로 부곡2동과 금양리 라는 지명이 같이 혼용되던 시절이었다.[7] 이때 경남한신아파트는 꼼수로 하나의 단지 안에서 1차, 2차로 나누어 분양하면서 한번에 세대수가 1000세대 넘지 않게끔 하여 단지내 초등학교 설립을 회피했다.[8] 옥상에 냉방용으로 조그마한 냉각탑이 있었는데 이게 용량이 턱없이 부족했다. 어설프게 원가절감을 하려다가 도리어 비용을 더 들여야 하는 꼴이 되어버린 것. 문제의 냉각탑은 지금도 옥상에 철거되지 않고 남아있다.[9] 시기가 시기이다보니 조금이라도 비용을 아껴야 했던 상황이었지만, 대놓고 원가절감이라고 하기도 그래서 열린 교실이라고 그럴싸한 변명을 하였다. 하지만 이 변명이 학생들과 학부모들에게 먹힐리가 있겠는가..[10] 당시에는 무슨 짓다만 미완성 상태에서 개교했나 등등으로 학부모들이 항의하는 경우가 많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