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극장판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94em; word-break: keep-all" | 오리지널 | <colbgcolor=#fff,#1c1d1f> 뮤츠의 역습 | <colbgcolor=#fff,#1c1d1f> 루기아의 탄생 |
| 결정탑의 제왕 앤테이 | 세레비, 시간을 초월한 만남 | ||
| 물의 도시의 수호신 라티아스와 라티오스 | |||
| 뮤츠의 역습 EVOLUTION(리메이크) | |||
| 성도지방 이야기, 최종장(총집편/한국 한정) | |||
| AG | 아름다운 소원의 별 지라치 | 열공의 방문자 테오키스 | |
| 뮤와 파동의 용사 루카리오 | 포켓몬 레인저와 바다의 왕자 마나피 | ||
| DP | 디아루가 VS 펄기아 VS 다크라이 | 기라티나와 하늘의 꽃다발 쉐이미 | |
| 아르세우스 초극의 시공으로 | 환영의 패왕 조로아크 | ||
| BW | 비크티니와 영웅 시리즈 | 큐레무 VS 성검사 케르디오 | |
| 신의 속도 게노세크트 뮤츠의 각성 | |||
| <colbgcolor=#00c6ed> XY·Z | 파괴의 포켓몬과 디안시 | 후파: 광륜의 초마신 | |
| 볼케니온: 기계왕국의 비밀 | |||
| 리부트 | 너로 정했다! | 모두의 이야기 | |
| 정글의 아이, 코코 | |||
| ← 본편 · 메인 포켓몬 · 보스 | |||
| 극장판 포켓몬스터: 세레비, 시간을 초월한 만남 (2001) Pokemon 4Ever - Celebi: Voice of the Forest (Celebi: a Timeless Encounter)[1] セレビィ 時を超えた遭遇 | ||
| | ||
| 감독 | 유야마 쿠니히코 | |
| 각본 | 소노다 히데키 | |
| 음악 | 미야자키 신지 | |
| 개봉 | ||
| 국내 방영일 | ||
| 상영 시간 | 75분 | |
| 월드 박스오피스 | $28,023,563 | |
| 흥행 성적 | 39억 엔 | |
| 국내 등급 | ||
1. 개요
이런 포켓몬을 만나고 싶었다.[2]
순수한 우정과 장대한 자연, 환경 보호의 자세를 나타내는 작품. 포켓몬 영화의 주축 테마가 되고 있는 '관계성'을 시간여행이라는 소재를 이용하여 전하고 있다.미국 영화 시장에 개봉할 때는 Pokemon 4Ever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그리고 이 작품부터 와이드 릴리스가 아닌 제한적 상영으로 격하되었다. 미국배급은 미라맥스.
작중 시간대는 지우의 치코리타가 베이리프로 진화한 상태라 무인편 제 201화 이후이며, 지우의 이상해씨가 동시상영작에 등장하므로 이상해씨가 오박사의 연구소에 가기 이전인 227화 이전이다.
본작을 기점으로 피카츄 프로젝트 (극장판 포켓몬스터 제작위원회) 참가 회사가 바뀌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닌텐도, 게임 프리크, 크리쳐즈가 빠지고 이 3사가 공동출자하여 설립한 '포켓몬 컴퍼니'가 추가되었으며, 따라서 크레딧 순도 변경되었다. 극장판은 비크티니와 영웅 시리즈에 이르기까지 본작에 참가한 여덟 회사가 제작하고 있다.
2. 줄거리
유키나리라는 소년이 숲에서 악당에게 쫓기고 있는 세레비를 도와주다가 세레비의 능력으로 미래(지우가 있는 시대)로 타임워프를 하면서 사건이 발생한다. 세레비의 존재를 알게 된 지우 시대의 포켓몬 헌터가 세레비를 잡으려고 쫓고 지우 일행은 과거에서 날아온 유키나리와 세레비를 도와주려 하는데...3. 등장인물
3.1. 레귤러 등장인물
3.2. 극장판 등장인물
※ 일본판 / 대원 더빙판 / 포켓몬 코리아 재더빙판 순.- 유키나리 (ユキナリ) (용호) (CV: 토다 케이코 / 손정아 / 김채하[4])
본작의 게스트 캐릭터 측 주인공. 포켓몬 도감 완성을 목표로 여행을 하고있는 소년. 포켓몬 헌터에게 쫓기던 세레비를 구하면서 '시간 이동'에 휘말려 40년 후로 타임슬립하게 되었다. 포켓몬을 최우선으로 여기며 포켓몬을 위해서라면 몸을 아끼지 않는 등, 지우와는 성격과 행동에 공통점이 많아 서로 말이 통한다. 여행 도중에 만난 포켓몬을 곧잘 스케치하므로, 그의 스케치북에는 다양한 포켓몬이 그려져있다. 과거에서 온 터라 현재의 몬스터볼과는 다른 레트로볼을 사용하며, 사용 포켓몬은 리자드. 엔딩 크레딧에 이 소년의 40년 후 미래의 모습이 나온다.
{{{#!folding [ 스포일러 펼치기 · 접기 ]
- 비셔스 (ビシャス)
본작의 최종 보스. 문서 참고.
- 토와 (トワ) (우퍼) (CV: 코야마 마미 / 박영희 / 양정화[6])[7][8]
현재 40년 전
땅끝 마을(하테노 마을)의 트리 하우스에서 사는 미쿠의 할머니. 숲의 입구를 지키고 있다. 40년 전에 하테노의 숲을 방문한 유키나리와 만났으며, 그가 타임슬립하기 직전에 세레비의 '시간이동'에 관한 숲의 전설을 경고하며, 나무열매로 만든 빵을 건네준다. 이후 현대로 '시간이동'한 유키나리와 재회하고 영화판에서는 곧바로 토와라는 것을 알아본다.[9]
3.3. 주요 포켓몬
4. 평가
| | |
| 스코어 25 / 100 | 네티즌 평점 7.1 / 10 |
| | |
| 신선도 13% | 관객 점수 53% |
| |
| 유저 평점 5.6 / 10 |
| |
| 사용자 평균 별점 2.7 / 5.0 |
| |
| 네티즌 평균 별점 6.043 / 10.0 |
| |
| 네티즌 평균 별점 3.87 / 5.0 |
| |
| 사용자 평균 별점 8.0 / 10.0 |
| |
| 네티즌 평균 별점 7.6 / 10.0 |
| |
| 사용자 평균 별점 3.3 / 5.0 |
| |
| 키노라이츠 지수 없음 |
| | ||
| 기자, 평론가 평점 없음 / 10 | 관람객 평점 없음 / 10 | 네티즌 평점 없음 / 10 |
| | |
| 기자, 평론가 평점 없음 / 10 | 네티즌 평점 10.0 / 10 |
| |
| 네티즌 평점 4.0 / 5.0 |
작품 속에서 타임 슬립한 뒤 지우 일행과 행동을 같이하는 소년 유키나리(용호)의 정체는 엔딩에서 짤막하게 암시하듯 공개되고 있으며, 제작 초기 단계의 그림 콘티에서는 유키나리가 지우 일행 앞에서 포켓몬 한마리를 선보이는 장면이 있었지만 결국 잘려나갔다.
5. 기타
- 사실 세레비는 TV판에서 오렌지제도부터 등장해 지우가 오박사, 강집에게 가져다 주는 GS볼과 관련된 포켓몬으로 고동마을, 너도밤나무숲을 다룬 에피소드에서 등장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포켓몬 쇼크로 인해 포켓몬이 널리 알려지게 되고 장기 방영이 이뤄지게 되면서 칠색조가 메인인 3기로 끝을 내려던 극장판도 지속적으로 제작이 이뤄지게 되었고, 이 극장판으로 인해 GS볼의 떡밥을 아예 묻어버렸다는 후문이 있다.#
- 북미 더빙판에서는 Pokemon 4ever이라는 제목으로 개봉했다. 그리고 한정으로 엔딩에서 추가된 신이 있는데, 오박사와 지우가 유키나리에 대해 이야기 하면서 지우를 위로하고 오박사가 소파에 앉아 어릴 적에 그렸던 피카츄와 세레비의 스케치를 보는 장면이 추가됐다. 엔딩 크레딧에서만 나왔던 유키나리의 정체를 대놓고 보여주는 거라서 상당히 욕을 많이 먹었다. 그래도 통화 직후 이슬이가 오 박사님이 통화 중에 언급되지도 않은 그 아이의 이름을 어떻게 아는지 의문을 갖자 다들 동요하는 눈치였으나 승선 시간이 임박해서 서두르느라 잊어 버리는 걸로 끝나서 다행…이려나? 훗날 일본에서는 미공개되었던 이 장면이 추가된 스페셜 에디션 버전이 주간 포켓몬 방송국에서 방송되었다.
- 2017년 7월 11일 애니맥스 코리아를 통해 재더빙판이 방송되었다. 이로써 1~9기 극장판이 모두 재더빙되었다.
- 레츠고 피카츄, 이브이에서 오박사연구실에 들어가 책장 위쪽을 보면 엔딩크레딧에 나왔던 책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썬문 애니 125화의 제목 사토시, 시간을 초월한 만남 - サトシ、時を超えた出会い!는 이 극장판 제목과 세레비로 인한 시간여행으로 지우가 어린 시절의 박사와 만나고 거대한 움직이는 나무 등 스토리도 오마쥬 되었다.[10] 그 후 포켓몬스터W의 32화에서 다시한번 "세레비, 시간을 초월한 약속(セレビィ 時間を超えた約束)"으로 오마주되는 듯 하다.
- 2001년 11월에 본작의 각본을 담당한 소노다 히데키의 동명 제목 소설이 슈퍼 퀘스트 문고에서 발행되었다.
- 영화 도입부에서는 선전차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DX의 단축판 오프닝 무비가 방영되었다.
[1] 일본 한정 영어 제목.[2] 본 극장판의 캐치 카피.[3] 대사는 한 마디도 없고 초반 지우가 스이쿤을 본 이후 오박사와 통화를 할 때 뒤에 잠깐 나오고 엔딩 크레딧에서 오박사의 서재를 정리하던 중 40년 전 노트를 발견해서 펼쳐서 넘겨보다 피카츄와 세레비가 같이 자고 있는 모습을 그린 것을 보고 덮은 후 책꽂이에 꽂아두고 다시 오박사의 지시를 받고 청소를 하는 모습으로 나온다.[4] 본편에서는 XY&Z에서 바라를 맡았으며, 이후 썬&문에서 하우를 맡는다.[5] AG에서 관철이가 말하길 오박사도 어렸을 때는 그림을 그렸다고 했다.[6] 무인편에서 꼭두, AG에서 은송, 디 오리진에서 레드를 맡았으며, 후파: 광륜의 초마신에서는 메아리를 맡았다.[7] 박영희와 양정화 모두 꼬마마법사 레미의 주인공 하루카제 도레미, 루팡 3세의 미네 후지코를 맡았다.[8] 코야마와 양정화 모두 명탐정 코난의 악역 베르무트를 맡았다.[9] 작중 사건이 끝나고 소년이 다시 원래 살던 40년 전의 세계로 돌아가 토와(우퍼)의 젊은 모습을 마주하며 영화가 끝난다. 그렇다면 토와(우퍼)는 이미 40년 전에 사라졌다는 그 소년을 만났다는 것인데, 40년 후 시점에서는 마치 그때 사라져서 40년 동안 소년을 못 봤다는 식의 연출이 이루어져서 영화를 다 보고 나면 '왜 저런 반응이지?' 하는 의문이 생긴다. 정황상 드라마틱한 감정선을 위한 의도된 연출이였을 수도 있고, 아니면 이미 그 소년을 40년 전에 되돌아온 걸 목격했지만 40년 후에 그 소년을 다시 마주쳤다는 사실이 반가워 그랬을 수도 있다는 해석도 있다. 아니면 시간선 개념이 조금 달라서 젊은 시절의 토와(우퍼)와 현재 노인인 토와(우퍼)가 서로 더른 평행세계의 인물이라는 해석도 가능하다.[10] 차이가 있다면 극장판에서는 어린 시절의 오박사가 현대로 날아온 것이었는데 썬문에서는 반대로 지우가 과거로 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