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오리지널}}}에 대한 내용은 [[그림자 중대]]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그림자 중대#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그림자 중대#|]]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오리지널: }}}[[그림자 중대]]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그림자 중대#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그림자 중대#|]]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 ||
그림자 중대 Shadow Company | ||
지휘관 | 필립 그레이브즈 | |
병력 구성 및 소속 | | |
본부 | 멕시코 특수부대 "로스 바케로스" 기지에 파견 | |
지원세력 | | |
적대세력 |
| |
활동범위 |
아달 연합 공화국[가상국가] 등 |
1. 개요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II 캠페인에 등장하는 무장집단. 부대 명칭과 셰퍼드 장군의 지휘를 받는 용병집단이라는 점은 오리지널 시리즈와 같지만, 전 대원이 중갑을 착용하고 대규모 병력을 동원해 싸우는 정규전 부대로서의 성격이 강했던 오리지널 시리즈와는 달리,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보다 가벼운 방탄복과 특수장비를 능숙하게 다루는 모습을 보여주며, 특수전 전문 부대로서의 성격이 좀 더 강조되었다.캠페인 첫 등장은 2편부터지만, 모던 워페어 리부트 멀티플레이 시즌5에서 밀심 캐릭터 3개와 오퍼레이터 3명이 등장하며 최초로 공개되었다. 악역으로 등장한 전작의 영향으로 미군의 동맹으로 묘사되는 협동군이 아니라, 미국에 반대되는 세력인 동맹군 세력으로 등장하였다.
리부트 2편 출시 전에 공개된 다크 워터 작전 게임플레이 영상에서 141과 함께 시추선을 장악하는 모습을 보여주어 백업 부대설이 다시 한번 재조명되고 있다. 일단 표면적으로는 용병대이지만 존재부터가 알려져 있지 않고, 비인가 작전을 수행하는 비정규군 특수부대라는 편제로 운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 소속 인물
- 셰퍼드 장군 - 총지휘관.
- 필립 그레이브즈 - 부대 지휘관. 직접적인 등장은 없었지만 1편의 베르단스크에서도 현역이었다.
- 마커스 "러치" 오르테가: 미 해병 특작부 출신 컨트랙터로 베르단스크에서 이뤄진 래피드 썬더 작전 당시 그림자 중대의 야전 지휘관.
- "벨리칸"
- "메이스" - 레인저 출신 컨트랙터다. 1편에서는 그림자 중대에서 탈퇴한 상태로 현지 사병집단인 자칼과 협력하여 독자적인 PMC를 꾸려 지역사회 방위 임무를 수행했으나 2편 시점에서 코니의 자금 지원을 받은 적군에게 발목을 잡혔고, 그레이브즈의 제안으로 그림자 중대에 다시 입사했다.
- 디파올로 병장 - 2편 캠페인에 등장하는 플레이어블 캐릭터.
- 오스먼드 "오즈" 라이언 - 해커 출신으로 2편 캠페인 이후 섀도우 시즈 작전 이전까지 잠시 그레이브즈의 위치를 대신하여 지휘관 자리를 임명받았다.
- "밀라"
다음은 이전에 소속되었다가 탈퇴한 인물들이다.
- 셰인 스파크 - 미 해병 출신 오퍼레이터로 그림자 중대에 있다가 미 해병대 소속 데몬 독으로 복귀했다.
- 로즐린 "로제" 헬름스 - 레인저 출신 컨트랙터로 메이스와의 인연으로 자칼에서 활동했다가 그림자 중대에 입사하여 컨트랙터로 활동한다. 베르단스크에서의 작전 종료 이후 계약을 만료하여 코택 PMC로 이적 뒤 활동 중이다.
3. 작중 행적
3.1.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본편에서는 언급이 없지만, 인피니티 워드에서 시즌 5 티저용으로 유명 콜 오브 듀티 스트리머들에게 전송한 소포를 통해 존재가 확인되었다. 오리지널 시리즈에서 자기들을 지휘했던 사령관도 재등장하는 만큼 리부트의 후속작에서도 주요세력으로 등장할 것으로 추정된다.미국인으로 구성된 PMC임에도 불구하고 예상외로 동맹군 소속으로 나오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공식 바이오에 의하면 겉으로는 연합군의 자카에프-알아사드 검거 작전의 지지부진함에 염증을 느끼고 갈라서서 동맹군과 손을 잡았지만 실제로는 그 어느 편도 아니라 자기들만의 체계와 의도를 가지고 있는 제3세력이나 다름없다고 한다. 오리지널 시리즈에서도 태스크 포스 141과도 협력하다가 결정적인 순간에 뒤통수를 치기도 했고, 막판에 데인저 클로즈로 같은 중대원들까지 몰살시켜 버렸으니, 리부트판에서도 적, 아군, 본인 할 것 없이 전부 장기말로 여기는 셰퍼드 장군의 사고방식이 많이 반영된 듯.
3.2.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II
|
원작 설정과 워존 설정을 반영한다면 표면적으로는 유능한 특수부대 PMC라는 편제로 운영 중인 것으로 보인다.
전작에서 참여했을 땐 기본적으로 동맹군과 손잡아 놓고는 따로 행동하는 양상을 보여주었으나[3] 다크 워터 미션에서는 미국 영해 내라는 점이어서인지 태스크포스 141과 적극 협력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다만 런치 트레일러에서 소프와 서로 부딪치는 게 나왔는데 오리지널처럼 적 세력이 되는 건지 아닌 건지는 캠페인을 해봐야 알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원작에서는 언급을 제외하면 정말 아주 잠깐 아군으로 등장하고는 그대로 후반 적 세력이 되는 걸 감안하면 원작과의 행보가 달라질 여지는 있다.
초중반에는 아군으로 나오면서 PMC 주제에 C-17 수송기, AC-130 건쉽과 아파치 헬기, MRAP, 전차까지 운용할 정도로 기존 모던 워페어 시리즈보다 더 비범한 집단으로 묘사되었고 사실상 셰퍼드 장군의 사설 부대에 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트레일러에 나오는 멕시코 특수부대와 고스트, 소프와 DARK WATER 작전을 해내서 미사일을 막아내지만 그레이브즈는 갑자기 멕시코 기지 게이트에서 내리고 가라는 명령을 내린다. 소프는 셰퍼드 장군에게 말할 거라고 얘기하지만 "셰퍼드 장군님은 안부 전해주시라더군."이라고 말한다.[4] 기지 안에 있는 멕시코 특수부대는 모조리 잡혀있다고 말하면서. 그리고 분노한 알레한드로를 제압하고 소프와 고스트에게 기습적으로 발포하면서 본격적으로 배신한다. 이때 알레한드로는 생포당했고 소프와 고스트는 도주.
그 후에 핫산을 찾기 위해서 민간인도 신경 쓰지 않고 고문, 살인을 저지르면서 모조리 길거리를 뒤진다. 그리고 자기들도 찔리는 게 있었는지, 141과는 대화로 해결할 수도 있지 않았을까라는 대원도 나오긴 하지만, 결국 소프와 고스트가 탈출한 다음, 로돌포와 함께 알레한드로와 바케로스들을 구출, 필립 그레이브즈와 함께 JTF 고스트 팀의 공격에 소수의 잔당만 남기고 전멸해버리고 만다.
작중에선 전작 워존의 그림자 중대 오퍼레이터인 벨리칸의 모델링이 연상되는 중갑병과 병과별로 모델링에 차이가 있는 보병진으로 구성되어있는데 딱 3개 챕터 등장하긴 하지만 멕시코 정규군 이상으로 무장 수준이 상당한 난적. 다만 그림자 중대 자체가 강하다기보다는 캠페인 미션 구성상 장비가 제한되어 힘들다고 느껴지는 게 더 크다.[5] 그리고 로스 바케로즈의 기지를 무단점거하여 사용 중이면서 로스 바케로스 소속의 헬기 및 전차 같은 장비와 기지 시설을 마구 터뜨려먹어 엄청난 민폐를 끼쳤다.
원작[6]과는 달리 카르텔이나 알 카탈라를 끼고 플레이어와 3파전을 벌이는 구도는 없다. 엔딩 시점에서는 셰퍼드와 함께 잔당들이 잠적한 것으로 보이며 프라이스와 라스웰의 대사를 봐서는 아예 별개의 적대 세력 군벌 취급이 된 듯. 사실 로스 알마스의 사건 때문에 대외적인 PMC의 이미지로서도 그냥 또라이 전쟁범죄자 혹은 바그너 그룹 수준으로 평판이 추락했을 것이며 공식적인 사령관은 사망, 실질적 지휘권자는 미 정부의 장성이었지만 진상이 밝혀지고 잠적한지라 미국 입장에선 그냥 미친 전범이며 심한 경우 테러리스트로 지정될 수도 있는 사안이다.[7][8]
어느 정도는 전작의 로만 바르코프와 그 휘하 러시아군을 오마주한 것으로 보이는데 그레이브즈의 또라이 같은 일처리 방식으로 라스 알마스 민간인과 군경을 20년 전의 바르코프처럼 죄다 카르텔/테러리스트들과 한 통 속으로 판단하고 잔혹하게 학살한다거나 원래 자기네들 소유의 기지는 아니라지만 무단점거한 기지 시설을 강제 수용소/감옥으로 운영하고 이상하리만치 충성도가 높다는 것. 다만 어느 정도 정당한 명분과 순수한 목적성은 있었던 바르코프와 달리 이쪽은 대의니 뭐니 포장하지만 결국 셰퍼드의 청소부들 정도로, 묘사로는 원작보다도 훨씬 악질이다.[9]
반대로 그림자 중대의 병사 A로 플레이하는, 대대로 내려오는 잡병 시나리오는 평가가 굉장히 좋다. 명령 때문에 야간에 화물을 수송하다가 습격을 당하고 화물을 탈취당하고 임무를 실패하고, 셰퍼드가 들키기 싫어서 묻어버리는 와중에도 그레이브즈와 셰퍼드에게 지원을 요청하면서 종국엔 무전기까지 뺏겼음을 알리면서 처절하게 대응하는 평범한(?) 임무다. 해당 임무가 처참한 본편 스토리의 퀄리티와 대비되는, 그야말로 클래식 콜 오브 듀티 임무를 최신 게임에 걸맞은 연출과 대사로 만든 셈이라 몰입도가 굉장히 높을 수밖에 없다. 게다가 이것이 스토리 프롤로그로 나왔으면 적어도 셰퍼드의 행위가 왜 그러했는지에 대한 복선이라고도 할 수 있었던지라 호평 외에도 아쉬운 목소리도 나왔다.
캠페인에서의 사건 이후로도 그 민폐가 꽤 큰데, 일단 코옵에선 수뇌부 괴멸 직후 알 마즈라에서 자기네들이 관리하던 자야 관측소를 버리고 내빼는 바람에 알카탈라가 바로 대대적으로 침공해 와서 미 해병대와 CIA가 급파한 다국적군 소속의 특수부대 및 정규군 합동군인 브레이커 팀이 침공한 알 카탈라를 격퇴하긴 했으나, 이를 막는다고 생고생을 해야 했다.
3.3. 콜 오브 듀티: 워존 2.0
DMZ 모드의 빌딩 21 맵부터는 아예 주적으로 등장해 대놓고 미군소속 플레이어들을 공격하고 적대하기까지 한다. 캠페인에서 그랬던 것처럼 알 마즈라의 주적인 알카탈라와 비교하면 훨씬 더 다양한 최신식 서방 장비들을 운용하고 있는 걸 볼 수 있다. 물론 알카탈라도 전작보다 훨씬 최신식의 장비로 무장하고 있는 편이지만 그림자 중대와 비교하면 그야말로 애들 장난감에 가깝다. 시즌 2에서 출시된 DMZ 모드의 신 맵인 아쉬카 섬에서도 역시나 주요 적으로서 등장하는데 여전히 강력한 군세를 자랑한다. 캠페인과 21번 건물에서 연이어 큰 타격을 받았는데도 불구하고, 전혀 타격을 받은 모습을 보이지 않는 채로 일본까지 와 일본 정부를 쌩까고 아쉬카 섬을 통째로 무단점령해 플레이어들을 위협하는 걸 보면 경이로울 정도다. 미국과 전세계에 서방판 바그너 그룹과 마찬가지인 범죄자 놈들로 찍혀 쫓겨야 정상인 상황까지 와서도 대체 어떻게 아직도 저렇게 다양한 장비와 인력들을 굴리며 전세계를 적으로 돌린 채 버틸 수 있는지는 불명.다만 시즌이 진행되면서, 시즌 2의 DMZ 모드 임무로 읽을 수 있는 문서들 같은 자료들로 추정해 보면 이들은 아달 연방 공화국 같은 제3세계 국가들의 몇몇 정치인들과 결탁하여 거기서 나오는 일거리를 수익원으로 삼아 여전히 멀쩡하게 용병 단체로 활동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암시하는 내용이 드문드문 등장하고 있다. 일례로 시즌 2 ~ 3 블랙 마우스 2티어 임무 중 알 마즈라의 어느 정치인과 관련된 "정치적 제압(Political Take Down)" 에서 획득할 수 있는 문서인 정치인의 편지를 읽어 보면, 알 마즈라 지역의 거대 토착 정유기업[10]인 로한 오일의 경영권 내지는 지분을 보유한 알 마즈라의 친미 정치인으로 보이는 누군가가 현재 알카탈라 놈들이 자신이 제안했던 라스 알마스 카르텔에 기름을 팔아 먹자는 합의 내용을 씹고는 자기들이 송유관을 멋대로 장악하고 있으므로, 15%를 그림자 중대의 몫으로 떼어 줄테니 알카탈라가 점거중인 유전, 동굴, 항구를 수복하여 송유관을 탈환해 달라는 의뢰를 하는 내용이다. 즉 제3세계 같은 타국의 정세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오리지널 설정을 일부 이어받아, 제3세계의 친미 성향 부패 정치인들 및 고관들 일부가 여전히 그림자 중대의 용병 서비스를 필요로 하고 있고 그림자 중대와 커넥션을 계속 유지하고 있기에 라스 알마스에서 그 깽판과 트롤링을 벌여 놓고도 그림자 중대가 정상 영업이 가능한 상황이라 볼 수 있는 것.
그리고 아쉬카 섬 출시 이후 웹페이지에 서술된 맵 설명에 의하면 본편에서의 사달을 만든 러시아 용병 단체인 코니 PMC를 찾기 위해 움직이고 있다고 한다.[11] 아쉬카 섬이 코니 PMC의 화학 및 생물학 무기 운송을 위한 물류 허브로 이용되었다고 하는데, 이를 반영하듯 아쉬카 과학 센터에서 찾을 수 있는 문서를 읽어 보면 실제로 아쉬카 섬의 현지 주민들 중 코니 PMC가 운송했던 러시아제 가스에 노출된[12] 주민들을 진찰한 기록을 볼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그림자 중대가 아쉬카 섬을 장악하고 있는 이유도, 러시아 국수주의파 테러리스트와 연계된 PMC가 테러 목적으로밖에 설명이 안 되는 생화학무기를 일본 영내에 들여다 놓았던 적이 있었고 그 과정에서 일본 국민들이 실제로 피해를 입기도 했기에, 마침 코니 PMC를 추적하고 있는 데다 동맹국인 미국 국적의 PMC인 그림자 중대가 아쉬카 섬에 주둔하는 것을 일본 정부에서 허가했다고 하면 말이 된다. 일본 경찰청이랑 방위성이 들으면 뒷목잡겠고 일본 국민들 귀에 이 얘기가 들어가도 미국 용병 회사 놈들이 누구 맘대로 일본 영토에서 중무장하고 활개치느냐고 안 좋게 생각하겠지만 말이다.[13]
시즌 3 DMZ 모드에서는 아예 직접 DMZ 모드의 신규 세력으로도 등장하게 되었다. 다만 공개적으로 그림자 중대라는 이름으로 나오지는 않으며 삭제됨(REDACTED)이라는 이름으로 등장. 그래도 스토리 임무의 문서에서 나오는 S.C. 라는 이니셜[14]이라던가, 티어 3의 봄메이커 제거 및 크로스보우 데드드랍 투하 임무의 설명 내용 등을 보면 대놓고 힌트를 주는 수준이다. 임무 보상으로 주는 무기 장식[15]이나 무기 스티커[16], 로딩 화면과 무기 도안[17]는 아예 자신들 삭제됨 세력의 정체를 숨기지도 않는다. DMZ 모드에서 이들이 삭제됨 명의로 오퍼레이터들에게 주는 스토리 임무들은 주로 발레리아가 체포된 뒤인 본편 캠페인 스토리 이후 라스 알마스 카르텔이 멀리 떨어진 알 마즈라까지 와서 뭘 하는지를 조사하는 임무들인데, 여기서 삭제됨 세력 측에서 보낸 저격수 팀인 S.C. 팬텀 팀이 남긴 보고서들에 의하면 알 마즈라의 라스 알마스 카르텔 조직원들은 비즈니스 파트너일 뿐이었던 알카탈라에게 역으로 끌려다녀서는 마약 사업과는 아무런 연관도 이득도 없을 어느 러시아 벙커를 조사하는 일에 매달리고 있었으며, "국방연구소" 로 들어가는 입구에 대해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고 적어 두었는데 시즌 3 리로디드 업데이트로 그 러시아 벙커가 구 소련 시절에 지어진 비밀 벙커이자 군사 연구단지인 코셰이 단지였음이 드러났다.
그리고 S.C. 팬텀 팀은 이것이 어떤 경로로든 DRC - 즉 국방연구센터(Defense Research Center)의 본부 건물인 빌딩 21과 모종의 연관성이 있지 않을까 하는 추정도 적어 두었는데, 이후 시즌 4에서 그림자 중대가 그토록 추격해 족치고 싶어했던 코니 PMC가 소련 해체 이후 버려졌던 코셰이 단지를 무단으로 점거해 핵무기와 생화학 무기 실험을 실시했고, 그들이 현재 "크라운(Crown)" 이라는 이름의 영국 국적의 PMC로 조직의 정체를 숨기고 국적을 세탁했으며, 코셰이 단지에서 이루어 낸 핵무기와 생화학 무기 실험 성과를 기반으로 그 영국 국적 PMC 크라운이라는 명의를 이용해 빌딩 21을 설립한 배후 였음이 밝혀졌다. 삭제됨 세력은 시즌 4 DMZ 스토리 모드에선 잠시 퇴장해 있는 상태이지만 본델의 경기장이나 크루즈 터미널 등의 일부 지역을 점거하고 적으로 등장하기도 하며[18], 진영임무에 나오지 않는 대신 아시아계(중국계) PMC 세력인 화이트 로터스가 삭제됨 세력 - 즉 그림자 중대와 서로 정보 교환 거래를 맺고 그림자 중대 대신 네덜란드의 본델을 장악하고 있는 "수수께끼의 영국계 PMC" 의 정체를 독자 조사한다는 것이 화이트 로터스 DMZ 스토리 진영임무의 내용으로, 결국 화이트 로터스는 티어 5 최종 스토리 진영임무에서 일련의 조사 끝에 현재 본델에 러시아제 가스를 이용한 자작극 생화학 테러를 벌이고는 러시아인 부동산 재벌에게 고용된 민간 PMC 평화유지군을 자처하며 본델을 점거중인 영국계 PMC가 바로 코셰이를 장악하고 생화학 무기 연구 실험을 벌였던 세력 = 코니 PMC였음을 알아내는 데 성공했다. 이 정보는 당연히 거래 내용에 따라 그림자 중대에게도 자연스레 넘어갈 것이므로, 다음 시즌에서는 그림자 중대가 본격적으로 코니 PMC를 조지기 위해 직접 행동에 나설 가능성도 커졌다.
그러나 DMZ 모드에서 꾸준히 암시되는 그림자 중대의 전망은 영 좋지 못하다고 볼 수 있는데, 우선 아쉬카 섬의 츠키 성 최상층 봄메이커의 방에서 찾을 수 있는 그림자 중대 내부 문서는 그림자 중대가 보유한 해외의 여러 프론트 기업들에 대한 정보와 그림자 중대 소속으로 일하는 여러 요원들의 개인정보가 편집된 기록들이 수록되어 있는 문서인데, 이 문서에서는 그림자 중대가 한 해 동안 막대한 부채와 채무 때문에 적자를 보면서 운영되고 있었다는 내용이 나온다. 거기다 진영임무 내용들을 보면 소속 오퍼레이터들 중 아쉬카 섬의 봄메이커는 말을 안 들어먹고 그림자 중대 상부에 반항하며 부대를 이끌고 독자 행동중, 빌딩 21의 벨리칸 역시 그림자 중대 상부에 반항하며 부대를 이끌고 독자 행동하고 있는데 심지어 시즌 4에서 새로 내용이 보충된 화이트 로터스의 "화력" 진영임무 브리핑 내용에 의하면 정황상 자신들의 영역을 되찾으려는 적대 세력들 중 하나인 코니 PMC가 크라운이라는 영국 국적 기업의 탈을 쓴 상태로 벨리칸과 벨리칸 휘하의 부대를 텅 빈 빌딩 21의 외부 출신 경비 용역으로 고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등 간부급 오퍼레이터들이 말을 안 들어 먹는 바람에 그림자 중대 측에서 플레이어 오퍼레이터들에게 대신 제거해 달라는 의뢰까지 넣을 정도로[19] 개판이 따로 없다.
또한 기존의 등장 모델들이 체스 룩(Rook) 모양의 "UMBRA"(라틴어로 그림자)라는 글귀가 쓰인 저시인성 패치를 장착한 반면, 캠페인에 등장하는 중무장병들과 아시카 섬에서 등장하는 일부 정예유닛들은 "BLACKCELL"(블랙 셀)이라는 글귀가 적힌 삼각형 패치나, 금색, 남색 등으로 화려하게 색칠된 패치를 붙이고 등장하고 있다. 그러다가 시즌 3부터 블랙셀 패스라는 신규 배틀 패스 번들 상품이 등장하며 블랙셀 소속[20]의 아톰과 이오 등의 오퍼레이터가 블랙셀 패스 구매자 전용 특전 오퍼레이터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블랙셀과 섀도우 컴퍼니의 관계는 아직 불명이나, 섀도우 컴퍼니의 예하 조직이거나, 섀도우 컴퍼니의 정예 병력으로 편성된 새로운 조직으로 추정하는 팬들도 있었다. 물론 그냥 아주 간단하게 별 생각 없이 그냥 배틀 패스 번들 팔아먹기용으로 대충 만들어 내서 그림자 중대와는 사실 딱히 관련 없는 설정일 수도 있다.(...)
시즌 5에서는 알 마즈라에 손을 뻗친 코니 PMC를 격퇴하기 위해 우르지크스탄 해방전선이 그림자 중대와 동맹을 맺었다. 죽은 것으로 알았다는 알렉스의 말에 로스 바케로스에서 탱크에 탄 적이 없다는 그레이브즈의 답이 압권. DMZ에서도 해당 스토리가 반영되어 알 마즈라 곳곳에서 그림자 중대 대원들이 코니 PMC와 교전하며 플레이어가 도울 수 있게 되었다.[21]
2023년 8월 18일(한국시각)에 시작된 "모던 워페어 III" 공개 이벤트 "섀도우 시즈(Shadow Siege)"에서 플레이어블 캐릭터들로 등장한다. 알 마즈라 지역의 자야 전망대 지하 벙커에 코니 PMC가 생화학 무기를 가지고 있다는 정보와 함께 그 화학 무기들을 회수하는 "로그 아스널 작전(Operation Rogue Arsenal)" 이 시작되는데, 그레이브즈의 지휘 아래 다수의 대원들이 공수 투입되어 적의 방어선을 돌파, 그곳의 생화학/방사능 물질들을[22] 확보한다. 이후 철수를 위해 헬리콥터를 타고 성공적으로 임무를 완수하는가 했는데...
섀도우 병사 2 : 캐니스터 수납 완료. 가스를 확보했다.
이반 : (러시아어) 예.
이반 : (러시아어) 다 됐습니다, 커맨더, 화학 물질 확보했습니다.
이반 : (러시아어) 시작하자.
섀도우 병사 1 : 어이, 방금 그거 누구야?
놀란 : (러시아어) 올 클리어.
이반 : (러시아어) 커맨더 마카로프, 처리 완료했습니다.
이반 : (러시아어) 예.
이반 : (러시아어) 다 됐습니다, 커맨더, 화학 물질 확보했습니다.
이반 : (러시아어) 시작하자.
섀도우 병사 1 : 어이, 방금 그거 누구야?
놀란 : (러시아어) 올 클리어.
이반 : (러시아어) 커맨더 마카로프, 처리 완료했습니다.
그림자 중대원으로 위장하고 있던 코니 그룹의 스파이들에게 가스를 다시 탈취당하면서 모던 워페어 III의 트레일러가 실행된다.
이후 그림자 중대는 오퍼레이터들에게 의뢰하여 밀레나 로마노바와 코니 PMC의 관계, 코니와 라스 알마스 카르텔 간의 거래와 같은 중요 정보들을 입수하지만, 본델 크루즈 터미널에서의 생화학 무기 밀수를 저지하는 데에는 실패하였고 이후의 이야기는 3편에서 계속 이어진다.
3.4.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III
본작에서는 그림자 중대가 아달 연합 공화국의 친미 반군뿐만 아니라 우르지크스탄 해방전선 쪽에도 방위 목적으로 탄도 미사일을 제공한 것이 드러났다. 하필이면 이 미사일도 코니 PMC에게 3발을 빼앗겨 파라와 프라이스가 저지한 1발을 뺀 나머지 2발이 생화학 무기가 탑재된 채 카스토비아로 날아가 아클로프 군사기지를 쑥대밭으로 만들었다. 이로 인해 본의 아니게 해방전선을 IS급 테러집단으로 낙인찍히게 할 뻔했다.마카로프를 추적하기 위해 그림자 중대는 적대관계가 되었던 태스크 포스 141과 거래를 목적으로 다시 손을 잡을 것을 제안하고 당장은 정보가 필요했기 때문에 둘은 합동 작전을 펼치게 된다.
캠페인 후반부에서 그림자 중대는 우르지크스탄의 한 공군기지에 자리를 잡은 코니를 박살내기 위해 ULF와 태스크 포스 141과 연계한다. 이 때 그레이브즈는 오랜만에 자신을 죽이려고 했던 태스크 포스 141 대원들을 직접 대면하게 되는데 굉장히 뻘쭘한 모습을 볼 수 있다. ULF와 TF141이 지상에서 작전을 펼치는 동안 그림자 중대의 AC-130이 공중에서 화망을 펼쳐 코니를 인수분해한다. 여기서 마지막에 공격 헬기가 ULF를 공격하러 오는데 셰퍼드 장군은 이것을 마카로프라고 판단하고 헬기 격추를 지시한 뒤 마카로프를 드디어 잡았다고 자축한다. 당연히 프라이스는 이것을 믿지 않고 작전은 종료된다.
이 후 그림자 중대가 ULF에 불법적인 루트로 탄도 미사일을 제공한 건과 멕시코에서 작전을 벌이던 중 아군인 태스크 포스 141을 공격했던 건에 대한 청문회가 열렸는데, 셰퍼드 장군과 그레이브즈는 서로에게 책임을 떠넘기며 위증을 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3.5. 콜 오브 듀티: 워존
모던 워페어 III 워존부터 그림자 중대가 우르지크스탄의 자라반 시에서 작전을 펼치는 것으로 나온다. 이 때 지휘관인 그레이브즈가 직접 나와 작전에 투입되는 플레이어들을 직접 맞아준다. 워존 2.0판 리버스 아일랜드에서도 본부 건물 별관의 생체 스캐너가 있는 건물 윗층의 알림판에 붙은 그림자 중대의 노트를 읽어 보면 코니 그룹이 아직 리버스 아일랜드의 비밀 벙커에 접근하지 못했으니 원래 임무대로 계속 섬의 모든 위협을 제거하고 있으라는 지시사항이 적혀져 있는 것으로 보아 코니 PMC에 대한 추적은 모던 워페어 III 이후로도 계속하는 중인 듯. #3.6. 사용 장비
3.6.1. 총기류
3.6.1.1. 돌격소총
- M4
이름은 M4지만 실제 디자인은 SOPMOD 사업의 일환으로 테스트중인 M4A1의 특수전 개량형인 URG-I 모델이다. 그러나 컷씬에서는 Mk.18 CQBR의 Mod.1 형태도 운용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모던워페어에 등장하는 물품은 실물과는 미묘하게 다른 모양새를 하고 있는데, 실물은 방열구멍이 4개(10.3인치 모델), 5개(11.5인치 모델), 7개(14.5인치 모델)인 모델밖에 없지만, 모던워페어에 등장하는 M4는 방열구멍이 6개로 14.5인치와 11.5인치 모델 사이의 애매한 길이를 하고 있다. 때문에 M4 카빈보단 짧아 보이지만 Mk.18 CQBR보다는 긴 형태를 하고 있다. 개머리판은 통상적인 스톡봉 개머리판을 주로 장착하여 운용하지만 M16의 기본 개머리판도 장착해 운용한다.
- TAQ-56
모티브가 된 총은 FN SCAR-L. 오리지널 모던 워페어 2에서 그림자 중대의 주요 무기가 SCAR-H 였음을 고려했을 때, 5.56mm가 대세가 된 것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 STB 556
DMZ 아쉬카 섬에서 들고나오는걸로 등장한다.
- 라흐만-556
DMZ 아쉬카 섬에서 들고나오는걸로 등장한다.
3.6.1.2. 경기관총
- 556 이카루스
미국의 Ares Defense社가 AR-15 플랫폼을 기반으로 탄띠 급탄이 가능하도록 기관총화시킨 ARES Shrike 5.56 System을 모델로 했다.
- 사킨 MG38
DMZ 아쉬카 섬에서 적 보병이 들고나오는 걸로 등장한다.
- RAAL MG
DMZ 아쉬카 섬에서 적 보병이 들고나오는 걸로 등장한다.
3.6.1.3. 저격총
- 빅터스 XMR
실제 모델은 Arctic Warfare社의 .50 BMG 버전 AW50을 모델로 했다. “프리즌 브레이크” 임무의 감시초소에 배치되어 있다.
- 시그널 50
실제 모델은 헝가리의 특수전용 대물 저격총 시리즈인 게파트 대물 저격총이며, 그중에서도 반자동-불펍 버전인 M6 Lynx를 모델로 했다. “프리즌 브레이크” 임무의 무기고에 배치되어 있다.
3.6.1.4. 기관단총
- MX9
실제 모델은 슈타이어 AUG의 9×19mm 파라벨럼탄을 사용하는 Para 모델이다.
3.6.1.5. 산탄총
- 브라이슨 800
미국의 산탄총 전문 제작업체 O. F. 모스버그 & 선즈社의 M590 전투산탄총을 모델로 한 산탄총이다. 실제로 미군에서 브리칭용 및 근접전투용으로 사용하는 산탄총이기도 하다.
- 브라이슨 890
위의 M590 전투산탄총의 탄창형 바리에이션인 590M 산탄총을 모델로 했다. DMZ 아쉬카 섬에서 적 중보병이 들고나오는걸로 등장한다.
3.6.1.6. 권총
3.6.1.7. 중화기
-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무장 차량 위에 탑재되어 있다.
- RPG-7
콜 오브 듀티 시리즈에 나오지 않으면 서운한 휴대용 대전차 로켓 발사기, RPG-7이다.
3.6.2. 중장비
3.6.2.1. 차량
- 민간 카고트럭
과거 회상 장면에서 미군의 미사일 발사대를 이동시키는 모습으로 차량 3대가 등장한다. 실제 모델은 불분명하나, 1CC(20피트)급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는 중형 트럭이다.
- 민간 SUV
멕시코 지역에 섀도우 컴퍼니가 처음 등장한 순간부터 끝날때까지 병력들을 실어나르는 차량이다. 실제 모델은 불분명하나 랜드로버 디펜더와 포드 레인저[23] 등 미국인들이 "오프로드 차량"하면 생각나는 이미지를 대부분 사용했다.[24] 이 외에도 포드 브롱코, 포드 익스플로러 1세대형 등 미국인들이 SUV 하면 생각할 디자인이 많이 반영되었다.
- LTV
실제 모델은 미군에서 사용중인 오시코시 코퍼레이션의 L-ATV와 M-ATV를 적당히 섞어놓았다.[25] 일반 모델과 50구경 기관총이 달린 모델을 운용중이다.
- Heavy Tank
캠페인 임무 마지막에 멕시코 특수부대 기지에 주차되어 있던 것을 노획하여 사용한다.[26] 실제 모델은 메르카바 전차의 외형과 유사하게 생겼다.
아래는 직접적인 운용 묘사는 없지만, 워존 및 DMZ 등에서 기지 인근에 배치되어 있어 그들이 운용중이라고 추정 가능한 차량들이다.
- ATV
흔히 "산악 바이크" 또는 "사륜구동 바이크"라고 부르는 그것.
- UTV
최근 각국 특수전부대에서 정찰용으로 다수 도입한 경량 오프로드 차량을 모델로 했다.
3.6.2.2. 항공병기
- Light Helo
헬기 외부에 인원들이 6명씩 탑승해 터치다운하는 운용모습은 MD 500, OH-6 등의 경량 헬기들을 참고한것으로 보이나, 테일로터의 형상이 페네스트론(테일로터를 꼬리날게 아래 구조물에 원형으로 감싼 모양)인 것으로 보아 디자인 자체는 H130 헬기를 참고한 것으로 추정된다.
- UH-60 블랙 호크
리부트 시리즈에서 테스크 포스 뿐 아니라 알카탈라와 카르텔, 코니 그룹 같은 반미 테러집단과도 같이 쓰게 된 콜옵 시리즈의 사골 수송헬기로 미군에게 지원받는 용병 세력이기에 많이 등장할 것으로 보이지만 소형 헬기나 대형 수송기가 더 많이 등장하여 존재감이 줄어들었다.
- CH-53
리부트 3편에서 마카로프 사살을 위해 다시금 이뤄진 테스크포스 141과의 협력 작전에서 테스크 포스측 병력을 수송하였다.
- Mi-24
소련에서 만들어 러시아, 우크라이나, 북한 등 구소련권 국가가 운용중인 그 유명한 공격헬기다. 아파치 공격헬기보다 값싸고 미국과의 연관성을 숨길 수 있어서인지 운용하는 것으로 보이며 DMZ에서 주요 거점이나 일부 지역을 통과할 시 "적 지휘관이 접근중"이라는 경고와 함께 등장하며 "너는 제한된 구역에 진입하고 있다. 당장 떠나지 않으면 발포하겠다!"하고 스피커로 우렁차게 외치며 등장한다.[27][28] 해당 경고에도 물러서지 않거나 총알을 날릴 시 로켓포드와 기관포를 이용해 플레이어를 향해 난사하기 시작하며, 인근 대공미사일 발사대를 해킹하거나 가지고 있는 무기를 활용해 격추시키기 전까진 계속 플레이어를 추적한다.
- AH-64
리부트 2편 캠페인에서 멕시코 로스 바케로스 기지에서 상당수의 아파치 헬기들이 배치되어 있었고 테스크 포스 141이 탈취해서 그림자 중대에게 큰 피해를 입혔는데 멕시코는 아파치 헬기를 운용하지 않기에 헤비 탱크처럼 본격적으로 라스 알마스 소탕 작전을 수행하고자 아파치 헬기를 다 옮겼으나 테스크 포스에 의해 다 빼앗겨서 캠페인 이후 시점인 DMZ에선 미그-24를 대신 운용했을지도 모른다.
- C-17
모던워페어 리부트 2편부터 출연하는 수송기로서 쉐도우 컴퍼니에서 운용하는 주력 수송기이다.
- AC-130
모던워페어 시리즈의 백미인 AC-130 지원 임무를 리부트 2편과 3편에서 그림자 중대가 맡게 되면서 운용하게 되었으며 헬파이어 미사일을 발사하는 것으로 보아 W나 J형으로 추측된다.
- F-5(?)
리부트 3편의 컷신에서 그림자 중대의 이착륙장에 소형 전투기가 잠깐 스쳐 지나가는데 실루엣이 거의 일치하며 매우 구형의 전투기이지만 더 뛰어난 성능의 전투기를 보유한 정규군 대신 용병집단과의 전투를 주로 치르는 그림자 중대에게 공격헬기와 건쉽, 수송기 뿐인 항공병기들 중에서 전투기로서의 능동적인 대공능력을 지녔기에 운용할 가치가 있을 것이다.
4. 기타
4.1. 인기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가 출시되고 엔딩에서 태스크 포스 141의 출현이 확실시되고 난 이후부터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II에 이들이 적으로 출현하느냐, 아군으로 출현하느냐로 커뮤니티 등지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졌다. 출현을 하지 않는다고 생각한 사람은 거의 없었으며, 모던 워페어 멀티플레이 시즌 5에서 오퍼레이터 외 밀심 캐릭터들이 공개됨으로써 흑복에 사막색 장비 조합이라는 그림자 중대 특유의 멋진 장비 구성을 뛰어난 그래픽으로 다시 보기를 바라는 사람들의 바람이 이루어졌다.
특히 시대의 발전으로 전술 장비들이 발전함에 따라 가벼워지고 경량화되어 가는 장비들을 보다 적절하게 조합하여 가벼워 보이지 않는 모습으로 훌륭하게 연출하였으며, 모던 워페어의 현실적 묘사 추구에 따라 장비들 또한 현실에 존재하는 장비들을 적용하게 되어 코스프레 시 고증을 구성하기 쉬워졌다. 또한 멀티플레이가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콜드 워, 콜 오브 듀티: 뱅가드를 콜 오브 듀티: 워존으로 통합하게 됨으로써, 2차 세계대전 이후 등장한 어느 소총을 들어도 고증에 맞게 되어 인기는 날로 상승 중이다.
그러나 이는 모던 워페어의 멀티플레이 오퍼레이터 및 밀심 한정이며 모던 워페어 II의 경우에는 캠페인의 개연성 및 묘사력의 부족함으로 인해 스토리에 몰입감을 느끼기 어려워졌다. 디자인적으로는 현 특수부대 트렌드에 맞는 플레이트 캐리어에 패스트 헬멧 같은 가벼운 무장과 중형 방탄복을 입은 병과도 있는 등 잘 디자인되어 있지만 대부분의 장구류 모델링과 텍스쳐가 전작에서 등장한 러치와 벨리칸의 스킨들을 약간 변형시킨 것이 전부라 실망스럽다는 평이 나오고 있다.
그럼에도 필립 그레이브즈 와 함께 리부트 세계관에서 가장 인기 있는 세력이다. 리부트 된 이후로 스토리가 점점 소규모전, 특수전 위주로 가다 보니까 오히려 그림자 중대가 등장하는 임무는 스케일이 크고 빵빵 터지는 게 많다. 모던 워페어 III 캠페인에서도 대규모 교전은 없고 거의 대부분이 플레이어 혼자 해결하는 임무인데, 그레이브즈와 그림자 중대가 등장하는 임무는 인트로부터 대형 헬기와 AC-130을 띄우고 플레이어는 AC-130으로 시원하게 적들을 그야말로 갈아 마신다. 그런 인기를 입증하는 것이 모던 워페어 II의 1,250 레벨 보상인 KORTAC 밀심 전투병 스킨인데, 1,250 레벨을 찍으려면 정말 오랜 시간이 걸리지만 이 스킨 하나만 얻으려고 모던 워페어 II를 켜서 만렙을 찍어 인증하는 유저들이 엄청 많다. 그런 인기를 제작진들도 알고 있는지 슬레지 해머가 담당한 모던 워페어 III에선 써스트의 추가 스킨으로 그림자 중대 밀심 스킨을 그냥 무료로 줬다. 자세히 보면 팔레트 스왑에 재탕 덩어리지만 뭔가 이상해진 141에 비해 옛날부터 꾸준히 변함없이 멋진 흑복 간지를 선사하기에 그림자 중대 인기는 떨이질 일이 없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그림자 중대|그림자 중대]]}}}{{{#!if external != "o"
[[그림자 중대]]}}}}}}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그림자 중대?uuid=ba5e439e-6ce8-485e-b69b-34c7adbc11ab|r886]]}}}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그림자 중대?uuid=ba5e439e-6ce8-485e-b69b-34c7adbc11ab#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그림자 중대?from=886|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그림자 중대|그림자 중대]]}}}{{{#!if external != "o"
[[그림자 중대]]}}}}}}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그림자 중대?uuid=ba5e439e-6ce8-485e-b69b-34c7adbc11ab|r886]]}}}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그림자 중대?uuid=ba5e439e-6ce8-485e-b69b-34c7adbc11ab#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그림자 중대?from=886|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1] 2편 후반부 한정.[가상국가] [3] 사실 이는 오퍼레이터 숫자 균형 맞추기라는 게임 외적인 요인이 개입된 결과였을 가능성이 높다.[4] 이때부터 그레이브즈의 대사 자막의 이름 색이 청색에서 적색으로 바뀐다.[5] 예를 들어 나 홀로 챕터에선 열악한 상황에 주변의 집기들을 조합해 임시로 만든 지뢰나 화염병을 이용하여 무기를 노획해서 싸우기에 초반구간엔 권총정도만 들고 돌아다니며 고스트팀이 구성되어 로스 바케로즈의 기지를 탈환하는 미션에서는 살상장비가 공중지원용 쌍안경으로 제한되거나 아예 미션 말미에나 수류탄소수를 얻거나 혹은 C4를 얻을 수 있는 식이다.[6] 원작 141 vs그림자중대 vs이너서클[7] 특히 극후반엔 발레리아에게 미사일의 위치를 알아내는 게 가장 중요한 상황에서 멕시코 내에서 쓸데없는 기싸움이나 벌이고 핫산을 찾는답시고 무고한 민간인을 쳐 죽이고 있음에도 의도적으로 철수하지 않고 뻗대어 방해만 해댄지라 작정하고 CIA 측에서 핫산이 사주한 놈으로 엮어버려도 할 말이 없다.[8] 오리지널 셰퍼드 장군이 마카로프가 미-러 전쟁을 하게끔 방치한 것처럼 그레이브즈 역시 핫산이 미사일을 발사하게끔 방치한 게 아니냐는 추측도 있다.[9] 원작의 그림자 중대는 합동 작전 중인 태스크포스 141팀의 생존자들을 가차 없이 작전 중 사살하고 사냥했지만 외국에서 민간인을 상대로 범죄를 저지르지는 않았다. 무엇보다 이쪽은 셰퍼드의 대의명분에 따라 3만 명의 미군을 외면한 국가에 대한 복수를 그들만의 방식으로 돕고 있었을 뿐이다. 그리고 태스크포스 141을 토사구팽 하긴 했지만, 대외적으로는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었고, 전쟁을 일으킨 테러범 체포를 시도하다 변절한 특수부대에게 암살당한 전쟁영웅이라는 이미지가 있어서 모던 워페어 3에서 태스크 포스 141 소속으로 살아남은 극소수의 인원들은 전 세계 군대에 추적당하는 상황에서 활동해야 했다. 이들의 명예가 복권된 것은 러시아가 유럽전선까지 확전했다가 기적적인 평화 협정을 맺고 철군한 뒤, 모든 진상이 밝혀지고 난 이후의 일이었다. 이러나저러나 플레이어 입장에서는 명백한 적이지만 게임 내적으로 보면 대외적으로는 그냥 자신만의 방식으로 애국을 하는 셰퍼드 장군의 평판을 높여주는 존재들인 것이다.[10] 알 마즈라 소개문에서도 "그 지역에서 가장 큰 고용업체들 중 하나(One of the largest employers in the region)" 라고 한다[11] 출처: @@[12] 아쉬카 섬에서 얻을 수 있는 문서들 중 군인들이 마을 주민들 일부를 어디론가 끌고 갔고 다시 돌아오지 못했다는 이야기로 추정해 보면 코니 PMC 측에서 아쉬카 주민들에게 의도적으로 가스 인체실험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13] 거기다 신 고질라처럼 온갖 법률과 매뉴얼에 얽매여 우왕좌왕하는 일본 관료주의의 병폐를 까는 작품들을 보면 알겠지만, 일본 정부 입장에서도 자위대를 투입해야 하나 말아야 하나 법 조항이랑 매뉴얼상으로 문제가 없는지 그리고 일이 꼬이면 책임 소재는 나중에 누구한테 따질 것이며 그건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 등등을 하나하나 다 따지며 우왕좌왕하느라 시간 날릴 바에야, 그냥 자기들이 자처해서 코니 PMC 쫒겠다고 나선 그림자 중대에 다 짬처리시키는 게 더 편하긴 했을 것이다. PMC는 민간 사기업이니만큼 자위대나 경찰보다는 법적으로 더 자유로운 면이 있으니.[14] 블랙 마우스 스토리 임무 중 그림자 중대의 항공기 추락 지점에서 획득해야 하는, 어느 정치인이 그림자 중대에게 보내는 편지에도 S.C.라는 표현이 나온다.[15] 컴퍼니: 섀도(Company: Shadow)[16] 그림자 속(In The Shadows)[17] 특히 티어 5 최종 스토리 임무 보상인 페넥 45 설계도에는 도트 사이트 옆면에 노골적으로 SHADOW COMPANY라고 쓰여 있다.[18] 반대로 아쉬카 섬에서도 일부 지역에서 코니 전투원들이 적으로 등장하기도 한다.[19] 단 봄메이커의 경우에는 시즌 3의 "더블 크로스" 진영임무 한정이고, 시즌 4에서는 삭제됨(그림자 중대) 세력이 모습을 감췄으므로 "더블 크로스" 진영임무 역시 크라운 측에서 방해물인 데다 그림자 중대 내부에서도 단독행동중인 봄메이커를 처리해 달라는 내용의 임무로 변경되었다[20] 무기 설계도를 보면 회사는 워싱턴주 타코마에 위치해 있다고 나온다[21] 다만 그림자중대 대원을 지속적으로 공격하면 적으로 간주해 공격하니 주의해야 한다.[22] 투명한 용기에 초록색 용액이 담긴 것으로 보아, 전작에 등장하던 노바 4 가스로 보인다.[23] 이쪽은 픽업트럭이다.[24] 전면의 대형 원형 전조등은 랜드로버 1세대 모델들에서 자주 사용되던 디자인이며, 전조등을 제외한 타 조명들의 형태는 포드 레인저 1세대 모델과 유사점이 많다.[25] 정면부는 L-ATV와 유사하고, 후면 짐칸과 사람들이 탑승하는 부분은 M-ATV와 유사하다. 물론 L-ATV가 M-ATV를 경량화시킨 버전인 만큼 실제 차량도 서로 비슷한 부분이 많다.[26] 그림자 중대 소유일 가능성도 있는 것이 멕시코군은 전차를 보유, 운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주장에 신빙성이 있는게 아파치 헬기 옆을 잘보면 C-17 수송기들이 주기돼있는걸로 보아 지상장비들은 C-17로 통해 수송해왔을 가능성이 높다.[27] 알 마즈라 맵에서는 그림자 중대 소속인지 알 카탈라 소속인지 카르텔 소속인지 불분명하지만, 그림자 중대만 등장하는 아쉬카 섬 맵에서는 확실히 그림자 중대가 운용한다고 볼 수 있다.[28] 이 때문에 스토리상 어색한 부분도 발생하는데, 아쉬카 섬은 현재 그림자 중대에 의해 완전 통제당하고 있는 상황이다. 민간인 소개도 다 끝난 상황이라 그림자 중대원을 제외하면 모두 적으로 간주해야 하는게 정상인 상황에서 아래에 플레이어들이 돌아다녀도 제한 구역만 진입하지 않으면 별 신경을 쓰지 않은 이상한 상황이 발생한다. 물론 그대로 구현해버리면 운 없이 헬기 근처에 스폰된 팀은 시작하자마자 헬기한테 쫓겨다니는 건 물론 위치도 다른 팀들에게 실시간으로 노출하게 되는 등 가히 운빨좆망겜스러운 상황이 펼쳐질 가능성이 크니, 밸런스를 위한 게임적 허용으로 보는 게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