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10:24

국제부녀절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1908년 미국의 여성주의적 시위 운동을 기념하는 날에 대한 내용은 국제 여성의 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bgcolor=white,black>
일요일 양력설 설명절 정월대보름
1월 1일 음력
1월 1일
음력
1월 15일
건군절 광명성절 국제부녀절 청명절
2월 8일 2월 16일 3월 8일 4월 4일/5일
4.15절 조선인민혁명군
창건일
5.1절 조선소년단
창립절
4월 15일 4월 25일 5월 1일 6월 6일
조국해방전쟁
승리의 날
조국해방절 추석
(한가위)
선군절
7월 27일 8월 15일 음력
8월 15일
8월 25일
인민정권
창건일
조선로동당
창건일
어머니날 사회주의
헌법절
9월 9일 10월 10일 11월 16일 12월 27일
둘러보기

공휴일 | | 스마트폰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공휴일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D1C27,#222222><tablebgcolor=#ED1C27,#222222> 파일:북한 국장.svg국제부녀절
國際婦女節

International Women's Day
}}} ||
파일:국제부녀절.jpg
▲ 국제부녀절을 즐기고 있는 북한 여성들
<colbgcolor=#ED1C27,#222222><colcolor=white> 다른 이름 3·8 국제부녀절
기념 대상 세계 여성의 날[1]
(1913년 3월 8일)
입지 "국가적 명절"
1. 개요2. 특징

[clearfix]

1. 개요

북한의 공휴일. 매년 3월 8일에 해당된다.

2. 특징

파일:통일전망대 MBC 로고.png
<rowcolor=white> 국제부녀절
(2023년 3월 11일 방영분)

북한에서는 공휴일이라서, 대한민국과는 다르게 이 기념일에 대한 대중들의 인식도가 높다. 기사(서울신문)

1910년 제2차 인터내셔널의 '제2회 국제사회주의 여성회의'가 결의한 '세계 여성의 날 제정안'에 따라 1913년 3월 8일부터 '세계 여성의 날'로 굳어진 행사를 기원으로 한다 기사(연합뉴스) 기사(자유아시아방송)

이날만큼은 여성이 굉장히 대우받는다고 한다. 평양시에서는 옥류관을 비롯한 유명 음식점에서 여성 고객을 위한 특별 메뉴나 서비스를 내놓기도 하며, 이런저런 예술단들이 축하 공연을 개최하기도 한다. 또한 남성들이 자기 아내에게 꽃 같은 선물을 준다든지 집안일을 대신 해준다든지 하여 상대 배우자를 배려해준다고 한다.

일부 북한이탈주민은 "북한에서 이날 여자들은 회사에 출근은 하지만 집에서는 하루 종일 아무 일도 안한다."면서 "손에 물도 못 묻히게 하고 아침 밥상까지 남편이 차려준다."고 말했다. 일부는 일부러 이날까지 빨래를 잔뜩 쌓아놓기도 한다는 후문. 직장에서도 남자 직원들이 이날 만큼은 여성 직원들에게 하다 못해 유리양말 하나라도 선물하는 분위기라고 한다.

2012년 국제부녀절은 김정일 사후 100일 동안 일체의 음주가무를 자제해야 했음에도 예년과 마찬가지로 성대하게 관련 행사들이 개최되었다. 이 날 평양대극장에서 은하수관현악단을 중심으로 한 축하 공연이 열렸는데, 이 공연은 김정은이 직접 보러 왔기 때문에 공연 직후 전국에 녹화방송되기도 했다. 그 전까지는 무대에서도 '장군님 못가십니다'며 울고불고 하던 예술인들이 여유있게 미소까지 띄우고 연주하는 진풍경을 보여줬고, 객석에서 리춘히오극렬 같은 유명 인사들이 춤을 추거나 무대에 불려나와 노래를 부르는 등의 모습도 연출되어 화제가 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44
, 5.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4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북한에서는 1910년제2차 인터내셔널에서 제정한 걸 기원으로 삼는 걸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