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2f9aff> | 대한민국 공군 현직 기능사령관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공중전투사령관 | 공중기동정찰사령관 | 미사일방어사령관 | 방공관제사령관 |
채운기 | 김진오 | 이승용 | 김현수 | |
※ 둘러보기: 대장 | 중장 | 사단장 | 함대사령관 | 전단장 | 비행단장 | 주임원사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39f><colcolor=#fff> 편제 [[지휘관| 지휘관 ]] | 대대급 이하 | ||||||
중대급 이하 | 대대급 | |||||||
반 [[반장(동음이의어)#s-5| 반장 ]] | 중대 [[중대장| 중대장 ]] | 대 / 포대 [[대장#s-2.1| 대장 ]] / [[포대장|포대장 ]] | 대대 [[대대장| 대대장 ]] | |||||
소대 [[소대장| 소대장 ]] | ||||||||
분대 [[분대장#s-6.5| 분대장 (2L) ]] | 편대 [[편대장| 편대장 (4L) ]] | |||||||
전투·전투지원부대 | 전투근무지원부대 | |||||||
전대급 | 단급 | 전대급 | 단급 | |||||
전대 [[전대장| 전대장 ]] | 비행단 / 미사일방어여단 [[비행단장| 비행단장 ]] / [[여단장|여단장 ]] | 단 [[단장#s-1.1| 단장 ]] | ||||||
사령부급 | ||||||||
기능사령부급 | 작전사령부급 | |||||||
기능사령부 [[공군기능사령관| 기능사령관 ]] | 작전사령부 [[작전사령관| 작전사령관 ]] | |||||||
※둘러보기: 군사학교 | }}}}}}}}} |
대장 | 편대장 | 대대장 | 전대장 | 비행단장 | 공군기능사령관 | 공군작전사령관 |
중대장 | 포대장 | 미사일방어여단장 |
[clearfix]
1. 개요
- 한자: 空軍機能司令官 & (數字)空軍司令官
- 영어: the commander of a Air function & the commander of a Numbered Air Force
공군에서 공군기능사령부를 지휘하는 사령관을 말한다. 공군소장부터 공군중장까지 보임된다.
2. 대한민국 공군
대한민국 공군에는 공군공중전투사령관, 공군공중기동정찰사령관, 공군방공관제사령관, 공군미사일방어사령관의 네 명의 기능별 공군전투사령관이 있다. 한국에선 공군소장이 공군기능사령관을 맡는다.미사일방어사령관을 제외하곤 조종 특기만이 공군기능사령관까지 올라갈 수 있다. 육군의 군단장이나 해군의 함대사령관과 비견될 정도로 공군 편제에서 중요한 위치이다.
방공포병 출신이 보임되는 미사일방어사령관을 제외하면 소장으로 진급하자마자 사령관에 보임되는 경우는 없고 예하 비행단장과 기수차이를 두기 위해 공군본부 참모부장이나 감찰실장, 국방부나 합참의 소장보직 등을 역임하고 2차 및 3차 보직으로 보임된다. 그렇기 때문에 진급속도가 빠르면 소장일 때 공군본부와 합참에서만 근무하다가 기능사령관 직을 받기전에 중장으로 진급해버리는 경우가 공군에서는 흔하다.
공군에서 대장으로 진급하려면 육군처럼 모든 지휘관 보직을 역임해야한다고 생각되는 경우가 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이는 역대 공군참모총장들의 경력을 봐도 알 수 있는데 정경두 장군 이전까지는 기능사령관을 역임한 장군 중에 대장이 나온 사람이 없었다. 더불어 이성용 참모총장의 경우, 소장 보직은 기획관리참모부장뿐이며 중장 시절에도 지휘관 보직은 거치지 않고 대장에 진급했다.[1] 기능사령관 보직이 4개밖에 안 되는 데다가 방공관제사령관은 보통 중장 진급이 안된 고참 소장이 가는 보직이고, 미사일방어사령관은 방공포병 보직의 병과장이라 아예 방공포병 특기 고정이기 때문에 중장 진급을 기대해볼만한 지휘관 보직은 공중전투사령관과 공중기동정찰사령관 정도다. 그런데 이런 사령관 보직을 역임하지 못했다는 이유만으로 중장 진급이 불가해진다면 다양한 인사를 검증할 수 없게 될 것이다. 대령 보직도 마찬가지로, 전대장을 하지 않고 참모총장 혹은 합참의장까지 올라간 사람이 있다. 다만, 이 경우 비행단장까지는 거의 모든 지휘관 보직을 맡아야 하는 특성상 이런저런 이유로 전대장을 하지 못할 경우 보통 비행단 부단장을 대신 하게 된다.
모든 전투비행단을 예하로 두고 있는 공군공중전투사령부의 사령관이 가장 진급가능성이 높다.
3. 미국 공군
미국의 경우 숫자가 들어간 공군은 공군 중장이며 지역/바다 이름이 들어간 공군(태평양공군 등.)은 공군대장이 보임된다. 미군 제7공군의 경우엔 태평양공군 소속이다. 한국 공군은 공군기능사령부의 규모가 크지 않기 때문에 소장급이 보임된다. 대신 이들을 지휘하는 공군작전사령부의 사령관은 공군 중장이 보임된다.미 공군의 전투사령부(Combat Command)는 지역별 통합군을 구성하는 대륙/해양 이름 공군이 해당 권역에서 기능사령부의 역할을 수행하나 미 공군 전체를 관할하는 작전사령부가 따로 있다. 이쪽은 이름은 공군기능사령부인데 실질적인 위상은 작전사령부와 비슷하다.
[1] 윗기수인 공사 32기와 33기에 중장이 2명씩 있었기 때문에 중장 지휘관 보직인 작전사령관 티오가 나지 않았다. 소장 시절에도 전투사령관이나 기동정찰사령관을 맡지 못한 이유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