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0 02:31:03

고토 타츠토시

파일:고토타츠토시프로필.jpg
본명 고토 타츠토시
[ruby(後藤 達俊, ruby=ご とう たつとし)]
생년월일 1956년 5월 25일 ([age(1956-05-25)]세)
신장 180cm
체중 110kg
출생지
[[일본|]][[틀:국기|]][[틀:국기|]] 아이치현 토코나메시
학력 메이죠대학부속고교 (졸업)[1]
메이죠대학 (웨이트리프팅부 / 학사)
유형 힐 스타일 + 브롤러
시그니쳐 무브 래리어트[2]
피니쉬 무브 백드롭[3]
별명 일제 카라테 키드 ([ruby(和製, ruby=わ せい)]カラテキッド)
전율의 살인귀 ([ruby(戦慄, ruby=せんりつ)]の[ruby(殺人鬼, ruby=さつじん き)])
미스터 백드롭
(ミスター バックドロップ)
테마곡 六之章 ~五行山白雲洞 - 이즈 카즈히코[4]
( - 1989)
Mr. BD - 스즈키 오사무 (1990 - 2011.5)[5]
데뷔 1982년 12월 2일 (25세)
아이치현 토요타시체육관
신일본 제 3회 MSG 태그 리그 14일차
vs 야마자키 카즈오
마지막 경기 2011년 5월 8일 (54세,28년차)
도쿄도 신주쿠구 CORE STADIUM[6]
EXIT[7] EXIT-73 CORE:W
vs 후고2 유메지 & 뉴도 & SEIKEN
(w/AI & 쿠레나이 토시야)
주요 커리어 IWGP 태그팀 챔피언 1회
WAR/텐류 프로젝트 6인 태그팀 챔피언 2회
DEP 오픈웨이트 챔피언 1회
MOBIUS 에이펙스 오브 트라이앵글 챔피언 1회
RCW 인터내셔널 챔피언 1회

1. 개요2. 커리어3. 여담4. 둘러보기

1. 개요

일본프로레슬러.

2. 커리어

고등학생 시절부터 역도를 배워 대학교를 졸업하자마자 닛산 자동차에 입사하면서 가라테를 배우기 시작했다.

1982년에 안토니오 이노키와의 만남으로 신일본 프로레슬링에 입문하게 된다.

데뷔전에서 야마자키 카즈오와의 경기에서 패한 후 나카노 신이치, 코스기 슌지, 니이쿠라 후미히로, 쿠리스 마사노부와 각각 차례로 경기를 가져 패하고, 데뷔전 상대였던 야마자키 카즈오를 상대로 승리를 거둬 연패에서 탈출한다. 그러나 연패 탈출 후로도 다시 전처럼 연패하는 일이 생기고, 1984년에 야마다 케이이치를 상대로 승리를 거둬 오랜만에 승리를 거두다가 사노 나오키와도 경기를 가져 승률을 올려나갔다.

싱글 및 태그팀 경기를 오가며 다양한 선수들과 경기를 갖다가 1985년에 미국에도 진출하면서 2달간 MACW에서 경기를 가졌고, 다시 일본으로 돌아가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활동을 계속 이어나가다가 1989년에 악역으로 전환하며 본격적인 전성기의 시작이 되었고, 히로 사이토 & 호나가 노리오와 같이 블론드 아웃로즈(Blond Outlaws)를 결성하게 된다.

유닛 활동을 하며 다른 선수들과의 경쟁에서도 밀리지 않는 모습을 보였고, 1991년에 유닛명을 레이징 스태프(Raging Staff)로 변경하게 되고, 계속 유닛을 유지했지만 1993년에 멤버인 슈퍼 스트롱 머신과의 갈등으로 인해 고토 타츠토시가 유닛을 탈퇴하며 유닛이 해산되면서 유닛 해산 후 코바야시 쿠니아키 & 오하라 미치요시 & 코시나카 시로 & 기무라 켄고가 있는 반선수회 동맹에 가입한다.

신일본 프로레슬링을 포함해 WAR와 병행하며 활동하고, 반선수회 동맹은 '헤이세이 유진군'으로 유닛명을 변경하고, 다른 유닛들과도 경기를 가지며 고토 타츠토시는 싱글에서도 다른 선수들과 경기를 가져 이기는 일이 늘어났다. 1995년에 WAR에서 오하라 미치요시 & 코시나카 시로와 같이 자도&게도 & 후유키 히로미치를 상대로 승리를 거둬 새로운 6인 태그팀 챔피언에 등극하며 첫 챔피언 경력을 만들고, 1997년에는 대일본 프로레슬링에도 잠시 출연해 고토 타츠토시는 오하라 미치요시와 같이 켄도 나가사키 & 시가 사토루를 상대로 경기를 갖지만 경기는 무효처리되고,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활동하며 태그팀 경기에 꾸준히 출전하면서 1999년에 오하라 미치요시와 같이 코시나카 시로 & 사사키 켄스케를 상대로 승리를 거둬 새로운 IWGP 태그팀 챔피언에 등극해 신일본에서도 챔피언 경력을 만들었다. 코시나카 시로 & 기무라 켄고와의 첫 방어전에서 승리를 거두지만 나가타 유지 & 나카니시 마나부와의 경기에서 패하며 챔피언 자리를 잃는다.

2000년에도 오하라 미치요시와 같이 팀으로 같이 다니며 신 유닛인 TEAM2000에 가입하고, 전일본 프로레슬링에도 잠시 등장해 코지마 사토시와 같이 아라야 노부타카 & 스티브 윌리엄스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고, 2001년에도 등장해 오하라 미치요시와 같이 타이요 케아 & 하세 히로시를 상대로 패한다.

2002년에 쵸노 마사히로의 복귀로 인해 TEAM 2000 멤버간의 분열이 시작되었고, 유닛을 계속 유지했지만 TEAM2000는 해산되면서 고토 타츠토시는 오하라 미치요시 & 히로 사이토와 같이 크레이지 독스(Crazy Dogs)를 결성하게 된다.

유닛 활동을 이어나갔으나 유닛이 자연스럽게 해산되면서 히로 사이토와 팀으로 다니는 일이 점차 줄어들고,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싱글 및 태그팀 경기를 오가는 경기만 벌이다가 2006년 1월에 쵸노 마사히로 & 블랙 스트롱 머신과 팀을 이뤄 요시에 유타카 & 나가타 유지 & 나카무라 신스케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 것을 끝으로 신일본 프로레슬링과의 계약이 만료되고, 신일본 측에서 선수 은퇴를 요청하면서 대신 코치로 활동할 것을 요구하자 고토 타츠토시는 이 제안을 거절하며 신일본 프로레슬링을 퇴단하며 FA가 된다.

2006년 6월 니시무라 오사무, 후지나미 타츠미, 히로 사이토와 같이 무아 월드 프로레슬링을 창단하며 소속 선수로 활동하지만 이듬해인 2007년 무아 월드 프로레슬링을 퇴단한다.

FA가 된 후로도 신일본 프로레슬링에 참전하며 경기를 가졌고, ZERO1에도 출연해 준레귤러로 출전하는일이 늘어나다가 DDT 프로레슬링에도 등장해 나가이 미츠야와 팀을 이뤄 포이즌 사와다 JULIE & 이시카와 슈지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고, 타카기 산시로 & 포이즌 사와다 JULIE와의 No DQ 매치에선 패한다.

신일본 프로레슬링 외에도 ZERO1, DDT, HUSTLE, 무가, BML, WMF, FTO, DEP를 돌며 경기를 가지며 FA가 된 후부터 타단체에서도 챔피언 경력을 만들어 나갔고, 2010년에 텐류 프로젝트에서 세키모토 다이스케 & 타카야마 요시히로와 같이 텐류 겐이치로 & 키타하라 코우키 & 모모타 미츠오를 상대로 승리를 거둬 통산 2회 6인 태그팀 챔피언에 등극한다.

선수 활동을 이어갔으나 2011년에 지하 프로레슬링 EXIT에서 벌인 태그팀 경기에서 Ai & 쿠레나이 토시야와 팀을 이뤄 후고후고 유메지 & 뉴도 & SEIKEN을 상대로 승리를 거둔 것을 끝으로 경기를 더이상 치르지 않게 되었다.

한동안 블로그로는 소식을 전하고 있었으나, 2014년 이후에는 아예 소식이 끊어져서 근황이 불명이며, 타나카 케로 등 관계자들과 친했던 동료들의 연락도 일절 거절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3. 여담

4. 둘러보기

파일:TEAM 2000.jpg
{{{#!folding 【 TEAM 2000 】 쵸노 마사히로 AKIRA 돈 프라이 nWo 스팅
스캇 노턴 3대 블랙 타이거 텐잔 히로요시 코지마 사토시
스캇 홀 고토 타츠토시 오하라 미치요시 GOKU-DO
카네모토 코지 에디 게레로 히로 사이토 마사 사이토
자도 게도 자이언트 싱 자이언트 실바
{{{#!folding 【 기타 멤버 】 객원 멤버
오니타 아츠시 스티브 윌리엄스 마이크 로툰다 짐 스틸
마이크 버튼 릭 스타이너 스캇 스타이너 치즈버거
기타 멤버
미우라 다이스케 스즈키 타카노리 마네 타카시 이노우에 쥰
야마모토 마사히로 야마사키 타케시 마에다 유키나가 나카야마 마사시
오카노 마사유키 치요타이카이 류지 요시오카 토시마사 야마다 유지
야마구치 코지 다이타 쿠사나기 츠요시 유스케 산타마리아
섹스 머신건즈 무사시마루 코우요
}}} ||
}}} ||



[1] 아이치현 나고야시 나카무라구 소재로 토코나메시에서는 약 40km 정도의 거리. 래퍼 SEAMO가 이곳 출신이다.[2] 고토가 왼팔잡이라 왼팔로 쳤다. 경기가 시작하자마자 상대에게 달려가거나 상대를 로프반동 시켜놓고 돌아오는 상대에게 몸무게를 그대로 실은 래리어트를 먹여주곤 했다.[3] 일본 프로레슬링계에서 손꼽히는 백드롭의 달인 고토 타츠토시의 상징 그 자체. 점보 츠루타로 대표되는 정통식 백드롭과, 마사 사이토의 '사이토 수플렉스'로 대표되는 상대가 옆으로 떨어지는 살벌한 백드롭 두 개를 모두 최상급으로 사용했으며, 접수하는 상대의 역량에 따라 각을 조절하는 달인의 경지를 보여주었다. '살인 백드롭' 내지 '삼도 백드롭'이라는 흉흉한 별명을 가지고 있는데, 이유는 여담에 후술.[4] 6장~오행산 백운동. 작곡가 이즈 카즈히코(伊豆一 彦)가 모로호시 다이지로의 걸작 서유요원전을 테마로 낸 테마 앨범 수록곡 중 하나로, 고토의 초창기 테마곡이었다.[5] 고토 타츠토시를 대표하는 곡. 매우 단순한 곡이지만 한번 들으면 잊혀질 수가 없는 호쾌하고 중독성 있는 멜로디로 팬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긴 곡이다.[6] 카부키쵸 2쵸메에 있었다고 전해진다.[7] Underground wrestling EXIT.[8] 즉 어린 동생급으로 여겨서 보호하려는 마음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9] 일본의 일부 유명한 유치원은 아이를 입학시킬 때, 학부모를 면접보는 경우가 빈번하다. 그래서 부모님도 면접 시 단정한 복장에 단정한 모습으로 가야 퇴짜를 안 맞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