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8 02:56:16

AKIRA(프로레슬러)

파일:MUSASABI.jpg
<リングのムササビ / Flying squirrel of Ring>
AKIRA
<nopad> 파일:AKIRA프로필.jpg
링네임 노가미 아키라
AKIRA[1]
본명 노가미 아키라
[ruby(野上, ruby=の がみ)] [ruby(彰, ruby=あきら)]
생년월일 1966년 3월 13일 ([age(1966-03-13)]세)
신장 180cm
체중 90kg
혈액형 O형
출생지
[[일본|]][[틀:국기|]][[틀:국기|]] 치바현 나라시노시([ruby(習志野市, ruby=なら し の し)])
가족 관계 외사촌형 타카하시 노부유키([ruby(高橋, ruby=たかはし)] [ruby(信之, ruby=のぶゆき)])(1957년생)[2]
학력 마쿠하리히가시([ruby(幕張, ruby=まくはり)][ruby(東, ruby=ひがし)])고교 (졸업)[3]
유형 하이 플라이어
시그니쳐 무브 드롭킥
플라잉 래리어트
드래곤 수플렉스
STF[4]
날다람쥐(ムササビ) 로켓[5]
피니쉬 무브 더블암 수플렉스
올드 보이[6]
날다람쥐(ムササビ) 프레스[7]
별명 들고양이 ([ruby(山猫, ruby=やまねこ)])
무비 스타 (ムービースター)[8]
링의 날다람쥐
(リングのムササビ)
테마곡 狂想曲(ラプソディ) - CHAGE and ASKA[9]
(1988 - 1989)
望 ∼継げし者たち - 토츠카 오사무[10]
(1989 - 1992)
SCREAM - 스즈키 오사무 (1992 - 1998)[11]
SILENCE ACTOR - 타카다 무네노리[12]
(1999 - 2002)
Attero Dominatus - Sabaton[13]
Tokyo Road - Bon Jovi[14]
Break on Through (To The Other Side)
- The Doors (2002 - )
데뷔 1984년 10월 12일 (18세)
후쿠오카현 쿠루메시
후쿠오카현립 쿠루메체육관[15]
신일본 투혼 시리즈 7일차
vs 무토 케이지
SNS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경력3. 여담4. 둘러보기

1. 개요

일본프로레슬러.

2. 경력

3. 여담


파일:즈 자인 다 인간체.jpg

4. 둘러보기

파일:TEAM 2000.jpg
{{{#!folding 【 TEAM 2000 】 쵸노 마사히로 AKIRA 돈 프라이 nWo 스팅
스캇 노턴 3대 블랙 타이거 텐잔 히로요시 코지마 사토시
스캇 홀 고토 타츠토시 오하라 미치요시 GOKU-DO
카네모토 코지 에디 게레로 히로 사이토 마사 사이토
자도 게도 자이언트 싱 자이언트 실바
{{{#!folding 【 기타 멤버 】 객원 멤버
오니타 아츠시 스티브 윌리엄스 마이크 로툰다 짐 스틸
마이크 버튼 릭 스타이너 스캇 스타이너 치즈버거
기타 멤버
미우라 다이스케 스즈키 타카노리 마네 타카시 이노우에 쥰
야마모토 마사히로 야마사키 타케시 마에다 유키나가 나카야마 마사시
오카노 마사유키 치요타이카이 류지 요시오카 토시마사 야마다 유지
야마구치 코지 다이타 쿠사나기 츠요시 유스케 산타마리아
섹스 머신건즈 무사시마루 코우요
}}} ||
}}} ||



[1] 쵸노 마사히로의 TEAM 2000 참가 때부터 본격적으로 사용한 링네임.[2] 일본의 출판, 영상 프로듀서. 출판과 영상 업계의 거물로, AKIRA:아키라 메카닉스, 울트라맨 VS 가면라이더를 비롯한 울트라 시리즈, 우주전함 야마토 화보집을 비롯하여 3000권 이상의 출간물과 60지 이상의 잡지의 제작에 관여했고, 주온, 절규, 영화판 너에게 닿기를, 영화판 이상한 과자가게 전천당 등 수많은 영상물의 편집을 담당했다. 1983년 애니메이션 잡지 마이아니메(マイアニメ)에 투고한 기사로 '코스프레'라는 말을 처음 만든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3] 치바시 미하마구 소재. 2019년에 다른 마쿠하리 고교들과 통합되어 마쿠하리종합([ruby(幕張, ruby=まくはり)][ruby(総合, ruby=そうごう)])고교가 되었다.[4] 동기이자 TEAM 2000의 수장이었던 쵸노 마사히로에게 직접 배웠다.[5] 토페 스이시더.[6] 변형 STF.[7] 프로그 스플래시. '무사사비 프레스'라고 읽는다. 정말 날다람쥐가 날아가는 포즈로 날아가며, 단순한 기술이지만 50대 후반에도 거의 변함없는 높이로 사용하는 경이로운 신체능력을 보여준다.[8] TEAM 2000에 합류한 이후의 별명.[9] 광상곡(랩소디). '광상곡'이라고 쓰고 '랩소디'라고 읽었다. 당시 월드 프로레슬링 오프닝곡이었던 이 곡을 편집을 약간 가미해서 사용했다.[10] 망 ~계승하는 자들. 선라이즈의 작품인 사무라이 트루퍼의 사운드 트랙에 들어있는 곡이었다.[11] 이이즈카 타카유키와의 굴욕의 태그팀 J・J・JACKS 시절을 상징하는 곡. J・J・JACKS 해산 후에도 사용하여 1998년 망막 박리 장기부상 때까지 썼다.[12] TEAM 2000의 '무비 스타' 시절에 사용했다.[13] SMASH에서 사용한 곡이었다.[14] 아주 간혹 특별 기믹으로 카부키 역자 기믹을 꺼내들면서 쿠마도리를 하고 나올 때 사용하는 곡이다. 동기 무토 케이지의 또다른 기믹, 그레이트 무타 라스트 매치에서 오랫만에 꺼내들었다.[15] 2015년에 노후화로 인해 해체되고 같은 자리에 쿠루메 아레나가 건설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