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개봉한 한국 영화에 대한 내용은 검객(영화) 문서 참고하십시오.
1. 개요
검객(劍客)은 검을 사용하는 사람을 뜻하는 단어다. 영어로는 소드맨(Swordsman)이라고 한다. 비슷한 의미로는 검사(劍士)가, 다소 비하적인 명칭으로 칼잡이가 있다.또한 자세한 내용으로는 검술, 소드마스터 문서도 참조.
2. 상세
검은 호신용 무기를 넘어 엄연히 전장에서도 중요 병기 중 하나였다. 비용, 훈련 시간, 효율 등의 문제점 때문에 주무기로 썼던 병종은 비교적 적으나, 검은 보조무기로써 항상 전쟁에서 활약했다. 전쟁에서 주무기로 쓰였던 사례도 있다. 레기온과 팔랑기타이, 로델레로와 스위스 용병, 삼국시대에 웃통 벗고 도검을 든 오군이 중갑과 장창으로 무장한 위군을 격퇴한 사례와 서남전쟁 등을 고려해보면 도검병도 하기에 따라 얼마든지 창병을 상대했고, 무엇보다 어디에나 쓸 수 있는 범용성 덕분에 전장에서 사라진 적이 없는 무기였다.하지만 그렇다고 검이 만능 병기라는 말은 아니다. 검은 어디에나 쓸 수 있는 범용적인 무기지만, 달리 말하자면 모든 면에서 2인자 신세라는 말도 된다. 찌르기와 리치 면에서는 창에게 밀리고, 방어 능력은 방패에게, 위력은 폴암에게, 그리고 무장한 상대에 대한 저지력은 둔기에게 밀린다. 도끼와 비교해도 도끼의 무게 중심은 날 쪽에 있어 원심력과 무게로 무언가를 잘라내는 데에도 도끼가 한 수 위다.
하지만 사실 전장에서는 극단적으로 한쪽이 치우친 성능보다는 모든 면에서 균형 잡혀 상대를 무너뜨리는 것이 훨씬 중요했으며, 특히 실력에 따라 그 편차가 컸던 검술은 사용자에 따라 굉장히 극과극으로 그 성능이 갈렸다. 검술 문서만 봐도 알겠지만, 중세유럽 및 일본에서 극도로 숙련된 소드마스터/사무라이들의 롱소드 검술이나 노다치를 활용한 고류검술은 창을 든 병사 서너명을 단신으로 모조리 도륙낼 정도로 어마어마했다. 검이 호신용 목적으로 "주로" 쓰이기 시작한 것도 결국 총포류의 등장과 도시의 밀집도 향상 때문이었지, 창에 모든 면에서 밀린다거나 검 자체가 전장에서 등한시 되었던 일은 절대로 없었다. 검은 다른 모든 무기처럼 장단점을 가졌으며, 실제 전쟁에서도 매우 많이 활약했고 호신용으로도 많이 쓰였던게 사실이다.
다만 많은 창작물에서 나오는 것처럼 검 한자루 달랑 들고 적군에게 돌격하는 검객은 없었다. 특히 실용주의를(가장한 무의 천시) 채택하며 표방했던 조선시대에서는 왕실 호위무사들이나 썼지 군대는 장군을 제외하곤 대부분 창과 활, 조총만으로 무장시키면서 아예 취급이 안 좋은 무기로 전락했다. 조선의 전략 발전에서는 철저히 전술에서 검을 배제시켜버렸단 소리이다. 이순신장군과 관련된 역사에서도 나오지만 이순신이 조선군의 근접 검술전투 능력을 향상을 위해서 잡아온 일본군 포로 두명과 조선군 여럿에게 검을 쥐어주곤 모의전을 시켰는데 검을 이용한 모의전에선 하나같이 전부 제압당했다는 결과도 있다.
그 때문에 검술이 삼국시대보다 발전하지 못 했다는 말도 나오는 수준으로 시대가 흐르면서 검의 입지는 창, 도끼에게 그리고 끝내 간단한 사용방법의 호신용으로써도 총에게 밀려나면서 대부분의 단검을 제외한 장검들은 상징적인 사치품이나 군대가 간부에게 하사하는 고급하사품으로써 전쟁역사의 뒤로 사라졌다. 다만 이 경우 조선이라는 국가가 굉장한 수준으로 무를 천시했던 나라였기에 가능했던거지, 중세 유럽이나 일본과 같이 항시 전쟁과 내전으로 혼란스러웠던 나라들이 왜 검술이 발달했었는가를 생각하면, 결국 약자의 합리화에 불과하다. '조선이 칼을 버린만큼 다른 창이나 이를 활용한 전술에서 몹시 뛰어났나'라고 생각해보면 답이 쉽게 나온다. 활에서는 뛰어나긴 했지만 딱 그뿐이었다.
법조인인 검사의 뜻과 조합하여 "검사가 되는데 가장 필요한 건 소드 마스터리", "검사(檢事)는 한 나라 최고의 검사(劍士)"라는 우스갯소리도 존재한다. 현직 검사(檢事)들도 스스로 칼잡이라고 부르며, 김진태 전 검찰총장이 지은 '슬픈 검사(劍士) 이야기'라는 한시도 있을 정도다. 피의자 고문사망 사건이 일어나 해당 검사(홍경령 검사)가 칼을 압수당하게 되자 그 검사의 선배이던 김진태 당시 대검 중수2과장이 적을 무찌르려다 변을 당한 검사(劍士)에 빗대어 시를 지었다.
슬픈 검사 이야기 가을 밤에 홀로 강월헌에 올라 아프게 떠난 한 칼잡이를 떠올린다. 밤중에 출근함은 달을 보기 위함이 아니었고 매 끼니를 거른 건 신선되려 함이 아니었네 제 몸이 급류에 휩쓸린 줄도 모르고 밤늦게까지 흉적을 무찌르려 하다가 폭풍우에 쓰러지니 이런 변고가 있는가 걱정 가득한 칼청에는 탄성만 들리는데 초겨울 하늘엔 궂은 비만 내리네 | 哀憐劍士說 秋夜獨上江月軒 回億恨去一劍士 五更登廳非觀月 三朝避穀不求仙 不知身在急流中 夜半辭家破凶賊 雷雨被襲何變有 嘆聲憂慮滿劍廳 寒天烟雨倍沈沈 |
RPG 계열 게임에서는 전사의 파생 혹은 차별을 두는 직업군으로 등장하는데, 당연히 검만 쓴다. 대개 전사 직업군 특유의 맷집을 희생한 대신에 댐딜 능력을 향상시킨 모습으로 등장한다.
3. 실존인물
3.1. 조선
3.2. 일본
- 카미이즈미 노부츠나: 일본 검술 역사상 최고의 검성으로 추앙받는 인물로 신카게류의 창시자.
- 츠카하라 보쿠덴: 신토류 계열의 유명 유파인 가시마신토류의 창시자.
- 미야모토 무사시
- 사사키 코지로
- 이이자사 이에나오
- 아이스 히사타다
- 아시카가 요시테루: 무로마치 시대의 인물로 검호 쇼군이라는 별명으로 유명하다.
- 이토 잇토사이: 일도류 계파의 본가로 유명한 소야파 일도류의 창시자.
- 오노 타다아키
- 야규 무네요시: 그 유명한 야규신음류의 창시자이자 야규 쥬베의 아버지.
- 야규 무네노리
- 야규 쥬베
- 치바 슈사쿠: 현대 검술의 모태가 된 북진일도류의 창시자로써 에도 3대 도장의 필두인 현무관을 열었으며 기술의 치바라고 불린다.
- 토고 시게카타: 사츠마 번 시마즈 가문의 가신이자 막부 말기 낭인들을 공포로 몰아넣었던 사츠마번 무사들의 검술인 시현류의 창시자이기도 하다.
- 곤도 이사미: 천연이심류의 종가인 시위관 출신으로 유명한 신선조의 인물.
- 사카모토 료마
- 사이토 하지메
- 오키타 소지
- 히지카타 토시조
- 나가쿠라 신파치
- 이노우에 겐자부로
- 이토 카시타로
- 세리자와 카모
- 나카무라 한지로: 사츠마 시현류의 달인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아래의 다나카 신베에, 오카다 이조, 카와카미 겐사이와 함께 막부 말기 4대 인참으로 평가받고 있다.
- 다나카 신베에: 가고시마 출신의 낭인으로 역시 사츠마의 시현류를 사용한다.
- 오카다 이조: 경신명지류를 익혔다는 것이 정설로 전해지고 있다.
- 카와카미 겐사이: 신도무념류를 베이스로 해서 본인이 독자적으로 연구하여 만든 고유의 유파인 시라누이류 (부지화류)를 사용했다.
- 모모노이 슌조: 경신명지류의 창시자로 품격의 모모노이라고 불리던 인물. 에도 3대 도장인 사학관의 초대 도장주로써 검을 뽑지 않고 이기는 방법 (인성교육)을 굉장히 중요시 여겼다.
- 후쿠이 헤이에몬 요시히라: 신도무념류의 창시자로써 나중에 에도 3대 도장인 연병관을 세운후 사이토 신타로에게 기술을 전수하고 힘의 사이토 라고 불리우는 유파로 유명하다. 이토 카시타로, 사카모토 료마가 이 검술을 익혔으며 바로 아래의 나카야마 하쿠도가 이 유파를 베이스로 해서 몽상신전류를 창안했다.
- 나카야마 하쿠도: 쇼와 최후의 검성이라 불렸으며 몽상신전류의 창시자이다.
- 우에시바 모리헤이: 합기도의 창시자로 잘 알려져있지만, 동시에 검의 고수였다.[1] 그의 스승이었던 대동류의 다케다 소카쿠 선생도 오노하잇토류를 수련하였다.
- 토야마 코이치: 토야마 육군병 학교의 설립자 겸 교장이자 토야마류 군용 호신 거합술의 창시자.
- 나카무라 타이사부로: 토야마 육군병학교의 검술교관 출신이었던 인물이자 나카무라류 팔방베기 발도도의 창시자.
- 타카야마 마사요시: 타카야마류 백병 발도술의 창시자. 위의 두 유파와는 달리 민간용 유파로써는 오래 지속되지 못하고 사라졌다.
이 외에도 대단히 많은 검객들이 있었다.
3.3. 독일
- 요하네스 리히테나워: 중세 검술의 양대 산맥을 구축한 인물.
- 한스 탈호퍼
- 파울루스 칼
- 파울루스 헥터 마이어: 검객인 동시에 비리 공무원이었다.
- 요아힘 마이어
3.4. 이탈리아
- 피오레 데이 리베리: 리히테나워와 더불어 중세 검술의 양대산맥으로 꼽히는 검객. 모든 신상 정보가 의문인 리히테나워와 달리 생몰년도를 비롯한 사료가 남아있다.
- 살바토르 파브리스: 레이피어 검객이었다.
- 레오나르도 다 빈치: 검술이 매우 뛰어났다 한다. 토크멘터리 전쟁사에서 임용한 박사가 말하길 당대 최고의 검객이었다.
3.5. 영국
3.6. 프랑스
4. 매체에서
[1] 가토리신토류, 가시마신토류, 야규신카게류를 수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