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센구미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1.8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word-break:keep-all;" | 국장 · 국장 보조 | |||
| <colbgcolor=#068fb0><colcolor=#fff> 국장 | 곤도 이사미 | |||
| 총장 | 야마나미 케이스케 | <colbgcolor=#068fb0><colcolor=#fff> 참모 | 이토 카시타로 | |
| 부장 | 히지카타 토시조 | 군사 | 타케다 간류사이 | |
| 조장 | ||||
| 1번대 | 오키타 소지 | 6번대 | 이노우에 겐자부로 | |
| 2번대 | 나가쿠라 신파치 | 7번대 | 타니 산쥬로 | |
| 3번대 | 사이토 하지메 | 8번대 | 토도 헤이스케 | |
| 4번대 | 마츠바라 츄지 | 9번대 | 스즈키 미키사부로 | |
| 5번대 | 타케다 간류사이 | 10번대 | 하라다 사노스케 | |
| 감찰 · 회계 | ||||
| 감찰 | 야마자키 스스무 · 핫토리 타케오 · 요시무라 칸이치로 · 시노하라 타이노신 | |||
| 제사취조역 및 감찰 | 시마다 카이 · 오이시 쿠와지로 | |||
| 회계 | 카와이 키사부로 | |||
| 미부 로시구미 시절 인물 | ||||
| 국장 | 세리자와 카모 · 니이미 니시키 | }}}}}}}}} | ||
| 신센구미 2번대 조장 나가쿠라 신파치 永倉新八 | |||
| | |||
| <colbgcolor=#068fb0> 출생 | 1839년 5월 23일 | ||
| 무사시국 에도 마츠마에 번 저택 (現 도쿄도 다이토구 코지마 2정목) | |||
| 사망 | 1915년 1월 5일 (향년 75세) | ||
| 홋카이도 오타루구 (現 홋카이도 시리베시 종합진흥국 오타루시) | |||
| 묘소 | 오타루시 중앙묘지 (홋카이도 오타루시) | ||
| 사토즈카 묘원 (홋카이도 삿포로시) | |||
| 슈토쿠지 경외묘지 (도쿄도 기타구 다키노가와) | |||
| 재임기간 | 신센구미 2번대 조장 | ||
| 1864년 ~ 1868년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68fb0> 아명 | 에이키치(栄吉) | |
| 휘 | 노리유키(範之) | ||
| 개명 | 나가쿠라 신파치(長倉新八 → 永倉新八) → 스기무라 요시에(杉村義衛) | ||
| 부모 | 아버지 나가쿠라 간지(長倉勘次) | ||
| 신체 | 약 160cm | 약 56kg | ||
| 유파 | 신도무념류(神道無念流) | ||
1. 개요
신센구미 2번대 대장.2. 생애
마츠마에 번사 출신으로, 탈번 낭인이다. 로시구미(浪士組) 시절부터 함께 한, 신센구미 창립 멤버. 오키타 소지가 병으로 누웠을 때에는 1번대의 지휘를 맡기도 했다. 앞뒤 재지않고 달려드는 저돌적인 성격으로, 별명은 가무신.[1]신도무념류(神道無念流) 면허개전으로, 신센구미 3대 검객 중 한 명이다. 검술 실력에 있어서는 오키타 소지, 사이토 하지메에 필적할 수준이라고 한다. 아니, 순수한 검술 실력에 있어서는 두 사람(오키타, 사이토)보다 우수하다는 기록도 많다고 한다. 이룬 실적에 있어서는 두 사람보다 많다. 신센구미 대원이자 훗날 신센구미에 대한 기록을 책으로 낸 아베 쥬로(阿部十郎)는 "(검술 실력은) 으뜸이 나가쿠라(신파치)요, 버금이 오키타(소지), 세 번째가 사이토(하지메)였다."(一に永倉、二に沖田、三に斎藤の順)라고 평했다. 나가쿠라는 용비검(龍飛剣)이라고 이름 붙인 기술[2]을 특히 잘 썼다고 한다.
곤도 이사미의 비행이나 신센구미의 동지들을 부하나 가신 취급하는 등 거만한 행동을 이유로 필사의 각오로 지휘 계통을 무시하고 마츠다이라 카타모리에게 직접 호소하기도 하는 등, 곤도 이사미와는 사이가 좋지 않았는데도 상당한 영향력과 실력 덕인지 죽임을 당하진 않았다. 신센구미의 잔혹할 정도의 규율을 생각하면 이런 규율위반을 저지르고 죽지 않은 건 경이적인 일이다. 아마 항의가 윗사람의 귀에 이미 들어간 상태에서 함부로 손댔다가는 호소한 것에 대한 보복이라고 여겨져서 건드릴 수 없었을 듯. 끝까지 곤도를 동지로 여겼지 리더나 주군처럼 모시진 않았으며, 신센구미의 사유화에 반대했다.
결국 이런 이유인지 도바-후시미 전투(1868) 이후 정공대(靖共隊)를 조직하면서 신센구미를 이탈하고 곤도와 결별한다. 이 무렵부터는 '스기무라 요시에(杉村義衛)'로 이름을 바꾸게 된다. 청일전쟁이 일어나자, 발도대(拔刀隊)에 지원하는데, 이때 나이 55세. 물론 입대는 허락되지 않았는데, 신선조 출신 인물의 힘을 빌리지 않겠다는 당시 군부의 입장도 이유 중 하나였다. 그러나 나가쿠라는 당시의 나이에도 실력은 녹슬지 않았다.
사실 지금의 신센구미 이미지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는 인물인데, 나이가 들고 나서는 살아남은 신센구미 대원들과의 교류나 신선조 관련 기록에 힘을 쏟았다. 이 사람이 남긴 낭사문구보국기사(浪士文久報国記事)라는 일기를 써서 당시의 일을 최대한 세세하게 전했다고 한다. 이외에도 신선조 시말기와 신선조 전말기라는 신센구미에 관련된 책자를 남기어 지금의 신선조의 이미지를 만드는 것에 큰 영향을 주었다고 한다.
메이지 유신이 끝난 이후 신센구미 대원들의 위령비를 만들었다고 한다. 그리고 자신이 죽을 때, 자신의 무덤은 곤도나 히지카타보다 높은 곳에 만들어 달라고 했다고 하는데, 이를 아들이 묻자 "그래야 죽어서도 그들을 지켜줄 수 있다." 라는 대인배스러운 발언을 했다고 한다.
| |
| 말년의 나가쿠라 |
사이토 하지메와 함께 천수를 누리다 사망한 인물이다. 향년 77세. 사망 당시의 사인은 충치였다 한다. 다만 이 당시에는 충치로 죽는 게 딱히 이상한 일이 아니었다. 실용적인 마취제가 개발되기 이전에는 치과 치료를 기피하는 사람도 많았고, 충치를 제때 치료하지 못해 충치의 세균이 혈관을 타고 이동해 합병증이 생겨 사망하는 경우가 자주 있었다.
3. 일화
상당한 영화광이었다고 하는데 말년에 영화를 처음 접해보고 히지카타와 곤도는 젊을때 죽어버렸지만 자신은 오래 살아남아 이런 경이로운 것도 보게 되었다고 회고했다고 한다. 이후 매번 손자를 데리고 오타루시에 있는 영화관을 자주 찾아갔다고 하며, 어떤날에는 영화관 출입구에서 현지 야쿠자들과 시비가 붙었으나 나가쿠라가 매섭게 노려보자 그것에 야쿠자들이 쫄아서 물러났다고 한 일화가 있으며, 다른 일설에서는 맨주먹이나 들고 다니던 지팡이로 야쿠자들과 싸웠다고 한다.현재 나가쿠라의 증손자는 TV감독을 하고 있다. https://www.instagram.com/sugimurariho?igsh=Mzk0MmY3cTlqMnVj
4. 창작물 속 나가쿠라 신파치
오키타, 사이토, 곤도, 그리고 히지카타와 더불어 네임드 신선조 멤버지만 의외로 미디어에 등장하는 면이 적다.- 골든 카무이
히지카타에게 원조를 해주는 역할로 나온다. 시대배경상 꽤 고령으로, 외견은 노년기의 사진과 닮게 그려졌다.
늙어서 검도 잡을 힘도 없는 노인네로 보이지만 오가타와 대립할 때 단숨에 주위에 있는 3명을 죽이는 신들린 검술을 보여 클라스는 영원하다는 걸 입증했다. 이후로도 주인공 일행과 행동을 같이 하며 최종장에 돌입한다. - 바람의 검 신선조
요시무라 칸이치로의 입단 테스트 상대. 나가쿠라 신파치와 호각으로 싸워 검술사범으로 임명된다.
원작 소설판에서는 요시무라에게 사실상 판정패하는데, 선공했다가 역공에 막히고는 실력 차이를 스스로 체감해서 먼저 들어갈 엄두를 내지 못하고 대치만 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곤도 이사미가 적당히 대결을 중지시킨다. - 바람의 검심 -메이지 검객 낭만기- - 나가쿠라 신파치(바람의 검심)
- 바람의 빛 - 턱수염있는 약간 아저씨틱한 인물. 하지만 비중이 크진 않다.
- 박앵귀 - 근육 바보. 성우는 츠보이 토모히로. '애절함이 없다' 는 이유로 공략캐에서 배제되었으나... 완전판 진개에서는 공략 캐릭터로 승진하였다.
- 은혼
시무라 신파치의 모델. 또한, 진선조의 2번대 대장, 나가쿠라 신시치[3]의 원형이기도 하다. - 미부기시덴- 미부기시덴 = 바람의검 신선조는 같은 영화임.(원제가 미부기시덴, 바람의검은 한국판 제목으로 원작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제목)
초반부에 요시무라 칸이치로의 입대시험에서 진검으로 겨룬 사람으로 등장했다. 작중 시점 사망해서 사이토 입에서 언급만 되는데, 사이토가 신랄하게 깠다. - 피스메이커 쿠로가네 - 그 나이에 주근깨 가득한 쇼타로 등장한다. 성우는 야마구치 캇페이.
- NHK의 드라마 신센구미!에서의 모습이 가장 유명할 듯. "올해 19살이 됩니다."라는 유명한 짤방의 주인공이 바로 나가쿠라다. 참고로 당시 나가쿠라역의 배우였던 야마구치 토모미츠는 1969년생. 당시 35세였다.[4] 참고로 야마구치 토모미츠는 배우겸 코미디언으로 활동하는 사람인데 코믹한 부분도 없던 편은 아니었지만 진중하고 점잖은, 동시에 신사적인 면도 갖추었던 신파치를 잘 연기했다. 아울러 실존인물인 나가쿠라 신파치가 천수를 누리다가 충치로 사망했다는 이야기를 특집 토크쇼에서 듣고 멘붕에 빠지기도 한다.
- 치루란 신선조 진혼가[5]에서는 노년의 모습으로 등장하며, 히지카타 토시조의 손녀로 설정되어 있는 이치카와 마코토(직업은 기자)를 불량배들로부터 구해주는데 머리 모양이 현재 남아있는 사진처럼 대머리가 아니라 약간 모히칸 스타일로 등장한다. 히지카타 토시조의 진실을 알기 위해 홋카이도로 스기무라 요시에(즉 나가쿠라 신파치)를 찾아왔다는 주인공에게 자신이 겪었던 히지카타 토시조와 신선조에 대한 회상을 들려주는 것으로 작중 이야기가 전개된다. 젊은 시절에는 삐죽머리였다.
- Fate/Grand Order
한동안 사이토 하지메나 야마타이국 이벤트에서나 언급되다가 드디어 실장되었다! 자세한 것은 나가쿠라 신파치(Fate 시리즈)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