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19 23:51:33

나가쿠라 신파치


파일:신센구미 깃발.svg
신센구미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1.8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word-break:keep-all;"
국장 · 국장 보조
<colbgcolor=#068fb0><colcolor=#fff> 국장 곤도 이사미
총장 야마나미 케이스케 <colbgcolor=#068fb0><colcolor=#fff> 참모 이토 카시타로
부장 히지카타 토시조 군사 타케다 간류사이
조장
1번대 오키타 소지 6번대 이노우에 겐자부로
2번대 나가쿠라 신파치 7번대 타니 산쥬로
3번대 사이토 하지메 8번대 토도 헤이스케
4번대 마츠바라 츄지 9번대 스즈키 미키사부로
5번대 타케다 간류사이 10번대 하라다 사노스케
감찰 · 회계
감찰 야마자키 스스무 · 핫토리 타케오 · 요시무라 칸이치로 · 시노하라 타이노신
제사취조역 및 감찰 시마다 카이 · 오이시 쿠와지로
회계 카와이 키사부로
미부 로시구미 시절 인물
국장 세리자와 카모 · 니이미 니시키 }}}}}}}}}

신센구미 2번대 조장
나가쿠라 신파치
永倉新八
파일:m_1-9bad1.jpg젊은 시절(좌)과 말년의 모습(우)
<colbgcolor=#068fb0> 출생 1839년 5월 23일
무사시국 에도 마츠마에 번 저택
(現 도쿄도 다이토구 코지마 2정목)
사망 1915년 1월 5일 (향년 75세)
홋카이도 오타루구
(現 홋카이도 시리베시 종합진흥국 오타루시)
묘소 오타루시 중앙묘지 (홋카이도 오타루시)
사토즈카 묘원 (홋카이도 삿포로시)
슈토쿠지 경외묘지 (도쿄도 기타구 다키노가와)
재임기간 신센구미 2번대 조장
1864년 ~ 1868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68fb0> 아명 에이키치(栄吉)
노리유키(範之)
개명 나가쿠라 신파치(長倉新八 → 永倉新八)
→ 스기무라 요시에(杉村義衛)
부모 아버지 나가쿠라 간지(長倉勘次)
신체 약 160cm | 약 56kg
유파 신도무념류(神道無念流)
}}}}}}}}} ||

1. 개요2. 생애3. 일화4. 창작물 속 나가쿠라 신파치

1. 개요

신센구미 2번대 대장.

2. 생애

마츠마에 번사 출신으로, 탈번 낭인이다. 로시구미(浪士組) 시절부터 함께 한, 신센구미 창립 멤버. 오키타 소지가 병으로 누웠을 때에는 1번대의 지휘를 맡기도 했다. 앞뒤 재지않고 달려드는 저돌적인 성격으로, 별명은 가무신.[1]

신도무념류(神道無念流) 면허개전으로, 신센구미 3대 검객 중 한 명이다. 검술 실력에 있어서는 오키타 소지, 사이토 하지메에 필적할 수준이라고 한다. 아니, 순수한 검술 실력에 있어서는 두 사람(오키타, 사이토)보다 우수하다는 기록도 많다고 한다. 이룬 실적에 있어서는 두 사람보다 많다. 신센구미 대원이자 훗날 신센구미에 대한 기록을 책으로 낸 아베 쥬로(阿部十郎)는 "(검술 실력은) 으뜸이 나가쿠라(신파치)요, 버금이 오키타(소지), 세 번째가 사이토(하지메)였다."(一に永倉、二に沖田、三に斎藤の順)라고 평했다. 나가쿠라는 용비검(龍飛剣)이라고 이름 붙인 기술[2]을 특히 잘 썼다고 한다.

곤도 이사미의 비행이나 신센구미의 동지들을 부하나 가신 취급하는 등 거만한 행동을 이유로 필사의 각오로 지휘 계통을 무시하고 마츠다이라 카타모리에게 직접 호소하기도 하는 등, 곤도 이사미와는 사이가 좋지 않았는데도 상당한 영향력과 실력 덕인지 죽임을 당하진 않았다. 신센구미의 잔혹할 정도의 규율을 생각하면 이런 규율위반을 저지르고 죽지 않은 건 경이적인 일이다. 아마 항의가 윗사람의 귀에 이미 들어간 상태에서 함부로 손댔다가는 호소한 것에 대한 보복이라고 여겨져서 건드릴 수 없었을 듯. 끝까지 곤도를 동지로 여겼지 리더나 주군처럼 모시진 않았으며, 신센구미의 사유화에 반대했다.

결국 이런 이유인지 도바-후시미 전투(1868) 이후 정공대(靖共隊)를 조직하면서 신센구미를 이탈하고 곤도와 결별한다. 이 무렵부터는 '스기무라 요시에(杉村義衛)'로 이름을 바꾸게 된다. 청일전쟁이 일어나자, 발도대(拔刀隊)에 지원하는데, 이때 나이 55세. 물론 입대는 허락되지 않았는데, 신선조 출신 인물의 힘을 빌리지 않겠다는 당시 군부의 입장도 이유 중 하나였다. 그러나 나가쿠라는 당시의 나이에도 실력은 녹슬지 않았다.

사실 지금의 신센구미 이미지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는 인물인데, 나이가 들고 나서는 살아남은 신센구미 대원들과의 교류나 신선조 관련 기록에 힘을 쏟았다. 이 사람이 남긴 낭사문구보국기사(浪士文久報国記事)라는 일기를 써서 당시의 일을 최대한 세세하게 전했다고 한다. 이외에도 신선조 시말기신선조 전말기라는 신센구미에 관련된 책자를 남기어 지금의 신선조의 이미지를 만드는 것에 큰 영향을 주었다고 한다.

메이지 유신이 끝난 이후 신센구미 대원들의 위령비를 만들었다고 한다. 그리고 자신이 죽을 때, 자신의 무덤은 곤도나 히지카타보다 높은 곳에 만들어 달라고 했다고 하는데, 이를 아들이 묻자 "그래야 죽어서도 그들을 지켜줄 수 있다." 라는 대인배스러운 발언을 했다고 한다.
파일:external/sites.google.com/Nagakura_shinpachi2.jpg
말년의 나가쿠라

사이토 하지메와 함께 천수를 누리다 사망한 인물이다. 향년 77세. 사망 당시의 사인은 충치였다 한다. 다만 이 당시에는 충치로 죽는 게 딱히 이상한 일이 아니었다. 실용적인 마취제가 개발되기 이전에는 치과 치료를 기피하는 사람도 많았고, 충치를 제때 치료하지 못해 충치의 세균이 혈관을 타고 이동해 합병증이 생겨 사망하는 경우가 자주 있었다.

3. 일화

상당한 영화광이었다고 하는데 말년에 영화를 처음 접해보고 히지카타와 곤도는 젊을때 죽어버렸지만 자신은 오래 살아남아 이런 경이로운 것도 보게 되었다고 회고했다고 한다. 이후 매번 손자를 데리고 오타루시에 있는 영화관을 자주 찾아갔다고 하며, 어떤날에는 영화관 출입구에서 현지 야쿠자들과 시비가 붙었으나 나가쿠라가 매섭게 노려보자 그것에 야쿠자들이 쫄아서 물러났다고 한 일화가 있으며, 다른 일설에서는 맨주먹이나 들고 다니던 지팡이로 야쿠자들과 싸웠다고 한다.

현재 나가쿠라의 증손자는 TV감독을 하고 있다. https://www.instagram.com/sugimurariho?igsh=Mzk0MmY3cTlqMnVj

4. 창작물 속 나가쿠라 신파치

오키타, 사이토, 곤도, 그리고 히지카타와 더불어 네임드 신선조 멤버지만 의외로 미디어에 등장하는 면이 적다.

[1] 일본어 我武者羅(がむしゃら, 가무샤라 / 저돌적인 모양)な新八[2] 하단 자세를 취하고 있다가 위로 상대방의 검을 튕겨 올리면서 아래로 베는 기술.[3] 신파치 新八에서 八(8)을 七(7)로 바꿔놓은 것 뿐.[4] 작중에서도 전혀 그렇게 안 보이는지 이 말을 들은 콘도와 히지카타는 "30대인 줄 알았는데"라며 당황한다.[5] 애니메이션 치루란 2분의 1 원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