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루란 2분의 1 (2017) ちるらん にぶんの壱 | |||
<nopad> | |||
{{{#212529,#e0e0e0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212529,#e0e0e0> 장르 | ○○ | |
원작 | 치루란 신선조진혼가 | ||
캐릭터 원안/원작 일러스트 | ○○ | ||
총감독 | ○○ | ||
감독 | 무로이 후미에(室井ふみえ) | ||
부감독 | ○○ | ||
조감독 | ○○ | ||
시리즈 디렉터 | ○○ | ||
시리즈 구성 | ○○ | ||
캐릭터 디자인 | 村⽥睦明 | ||
미술 감독 | 市原美恵⼦ | ||
색채 설계 | 무라카미 토모미(村上智美) | ||
촬영 감독 | ○○ | ||
편집 | ⽊村佳史⼦ | ||
음향 감독 | ○○ | ||
음악 | ○○ | ||
프로듀서 | ○○ |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 | ||
애니메이션 제작 | ランドック・スタジオ | ||
제작 | (제작위원회 이름) | ||
방영 기간 | 2017. 01. ○○. ~ 2017. ○○. ○○. | ||
방송국 | |||
스트리밍 | (스트리밍 서비스사 이름) ▶[1][2] | ||
한국 정식발매 | 정식발매사 미정 (발매 회차 / 발매 매체 / 발매 연도) | ||
편당 러닝타임 | ○○분 | ||
화수 | 12화 | ||
시청 등급 | |||
시청 등급 | |||
시청 등급 | |||
시청 등급 | |||
시청 등급 |
시청 등급 | 정보 없음 |
시청 등급 | 미정 |
관련 사이트 |
1. 개요
2. 등장인물
- 히지카타 토시조 / 스즈키 타츠히사
주역. - 나가쿠라 신파치 / 우메하라 유이치로
상식인 포지션. - 사이토 하지메 / 키무라 료헤이
도S. - 오키타 소지 / 요나가 츠바사
눈동자가 보이지 않는 속성. 고양이를 키운다. - 하라다 사노스케 / 아오이 쇼타
조용한 성격. 장창 사용자. - 콘도 이사미 / 타카기 와타루[4]
연장자 포지션. - 토도 헤이스케 / 후루카와 마코토
신선조 최연소 멤버. - 야마나미 케이스케 / 모리쿠보 쇼타로
이론파. 해당 캐릭터 중 유일한 안경. 참고로 박앵귀 시리즈에서 "산난"으로 부르는 캐릭터 포지션. - 시마다 카이 / 오치아이 후쿠시
괴력 소심. 이미지가 일본인 같지 않음. - 세리자와 카모 / 코니시 카츠유키
호전적.
3. 주제가
- OP: 신이시여, 저는 깨닫고 말았습니다 - 내 손에 닿지 마
4. 기타
5분 애니메이션 분량으로 생각되었으나, 이 마저도 과거 방영된 와카코와 술의 재방송에 밀려 분량이 5분이 아닌 2분으로 편성되어 있는 상태.자고로 등장인물들 중 여덟 명은 무려 천계에서 신들을 상대하는 투사로 등장하기도 했다.
[1] '▶'가 링크된 주소는 해당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작품이 방송되고 있는 주소로 기입합니다.[2] 해당 작품이 특정 스트리밍에서만 독점 공개될 경우 주소 뒷부분에 윗첨자로 '독점'을 삽입합니다.[3] 우메모토 신야(梅村真也) 원작으로 하시모토 에이지(橋本エイジ)가 작화를 맡아서 월간 코믹 제논(月刊コミックゼノン)에서 창간호인 2010년 12월호부터 2023년 6월호까지 연재된, 신선조를 주인공으로 하는 극화체 소년만화. 총 36권으로 완결되었고, 한국에는 아직 번역되어 있지 않다.###[4] 나레이션 겸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