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5 20:33:47

개이빨다랑어

개이빨다랑어
Dogtooth Tuna
학명 Gymnosarda unicolor
Rüppell, 1836
<colbgcolor=#fc6>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조기어강(Actinopterygii)
고등어목(Scombriformes)
고등어과(Scombridae)
개이빨다랑어속(Gymnosarda)
개이빨다랑어(G. unicolor)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최소관심.svg

1. 개요2. 특징3. 생태4. 인간과의 관계

[clearfix]

1. 개요

고등어목 고등어과에 속하는 어류의 일종. 이름은 참치(Tuna)이지만, 실제로는 줄삼치족의 한 종이다.

2. 특징

몸길이가 1.9~2.5m 정도인 대형어류로 청록색의 등[2], 금속성이 강한 옆구리와 흰색 배로 인해 왠지 독특한 느낌을 준다. 두번째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의 끝이 은빛인 것 또한 동정포인트. 줄삼치족답게 이빨은 크고 날카로운 원추형이다.

3. 생태

인도양-태평양 대부분과 홍해, 아라비아해에 넓게 분포하며 북쪽으로는 오키나와, 동쪽으로는 프랑스령 폴리네시아까지 서식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고등어과 어류들이 먼 바다를 누비는 원양성이거나, 적어도 연안을 따라 회유하는 것과 달리, 개이빨다랑어는 산호초나 기타 암초에서의 토박이 생활을 하며 특히 조류가 강하고 산호초가 대양에 면접하는 깊은 수심의 직벽을 선호한다.[3] 따라서 무명갈전갱이, 대왕곰치, 큰양놀래기, 대왕바리와 같은 대형 바리들과 함께 산호초의 최상위포식자 역할을 하는 경골어류에 포함된다.

파일:개이빨vs깃대돔.gif
산란하려는 깃대돔 무리를 습격하는 개이빨다랑어[4]

육식어종이며 다른 물고기를 주식으로 하고, 고등어과 어종답게 빠른 속도를 주무기로 해 사냥감을 추격해서 잡아먹는다. 양쥐돔류나 깃대돔이 매년 산란을 위해 큰 무리를 지어 산호초 외곽 직벽지대[5]에 집결할 때에, 이런 무리들을 번개같이 휩쓸고 지나가며 무리에서 이탈하는 먹잇감들을 덮치기도 한다. 그 외에는 오징어를 먹는다.

수명은 긴 편이어서 약 20년 정도로 추정된다.

4. 인간과의 관계

낚시 대상어로 인기가 매우 높은데, 해외 낚시인들의 버킷리스트에 종종 올라오며 일본 남부에서도 인기 대상어이다. 불행히도 성질이 급해 잡힐 경우 대부분 방생이 불가능하다.[6] 따라서 어자원이 고갈되거나 대형 성어들이 자취를 감춘 곳이 많으므로 사실상 오지 원정낚시 한정이다. 어자원보전과 대형 번식개체들의 보호를 염두에 두자.

그 외에 스쿠버다이버들도 종종 관찰하거나 관찰하고 싶어하는 어종이다.

식용으로도 쓰이며 SBS 예능 정글밥에서 이승윤이 잡아온 개이빨다랑어를 류수영이 초밥, 꼬치구이, 김치찌개로 만들어 먹는 모습이 나오는데 출연진들의 반응을 보아 맛도 뛰어난 것으로 보인다. 다만 검증되지 않은 개체를 먹으면 시구아테라 식중독에 걸릴 수도 있다. 특히 대형 성어들은 시구아테라를 일으킬 수 있는 시구아톡신(ciguatoxin)이 위험한 수준으로 축적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7]

[1] 자세히 보면 어린 빨판상어가 붇어있다.[2] 각도와 반사광에 따라 청색으로도 보인다.[3] 원양성 어종이 아닌데 어떻게 해서 이렇게 널리 퍼졌나 하면 알을 해류에 실어보낸 것이다. 이는 많은 산호초 어류의 확산 방법이다.[4] 본 출처는 NHK 다윈이 왔다.[5] 상술한 개이빨다랑어의 주 서식지[6] 이는 사실 고등어과 대부분에 해당되지만, 개이빨다랑어의 경우 부레가 퇴화되지 않아 급격한 수심 변화에 더 취약하므로 특히 심한 편이다. 이 종을 노리는 낚시인들 대부분이 방생을 염두에 둔 장비 준비를 하지 않는 것도 원인 중 하나이다.[7] 정글밥 방송분에 나온 개이빨다랑어의 경우도 성어가 아닌 작은 크기의 미성숙 개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