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E 노 웨이 아웃 (2007) WWE No Way Out (2007) | ||||||||||
| ||||||||||
WWE SMACKDOWN 개최 PPV | ||||||||||
개최일 | 2007년 2월 18일 일 20시E/17시P 韓 2007년 2월 19일 월 10시 | |||||||||
경기장 |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스테이플스 센터 Staples Center, Los Angeles, California | |||||||||
테마곡 | Monster Magnet "Powertrip"# | |||||||||
관중집계 | 14,000명 | |||||||||
WWE의 PPV | ||||||||||
로얄럼블 | 노 웨이 아웃 | 레슬매니아 23 | ||||||||
노 웨이 아웃 | ||||||||||
2006 | 2007 | 2008 | ||||||||
포스터 모델: 언더테이커 |
1. 대립 배경
1.1. 크리스 벤와 & 하디 보이즈 VS 몬텔 본테비어스 포터 & MNM
1.2. 그레고리 헴즈 VS 스카티 투 하티 VS 디바리 VS 후나키 VS 셰넌 무어 VS 지미 왕 양 VS 제이미 노블 VS 차보 게레로
WWE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건틀렛 매치
1.3. 부기맨 & 리틀 부기맨 VS 핀레이 & 리틀 바스타드
1.4. 케인 VS 킹 부커
1.5. 브라이언 켄드릭 & 폴 런던 VS 듀스 & 도미노
WWE 태그팀 챔피언십1.6. 바비 래쉴리 VS 미스터 케네디
ECW 월드 챔피언십1.7. 바티스타 & 언더테이커 VS 존 시나 & 숀 마이클스
2. 대진표 및 결과
태그팀 매치 <2점> | ||
✅크리스 벤와[1] & 하디 보이즈[2] | 몬텔 본테비어스 포터 & MNM |
WWE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 <2점> 건틀렛 매치 | ||||
| 스카티 투 하티 | 디바리 | 후나키 | |
셰넌 무어 | 지미 왕 양 | 제이미 노블 | ✅차보 게레로 |
태그팀 매치 | ||
부기맨 & 리틀 부기맨 | ✅핀레이 & 리틀 바스타드 |
싱글 매치 <2점> | ||
✅케인 | 킹 부커 |
WWE 태그팀 챔피언십 <3.25점> | ||
✅ | 듀스 & 도미노 |
ECW 월드 챔피언십 <3.25점> | ||
| ✅미스터 케네디[3] |
태그팀 매치 <3.5점> | ||
바티스타[4] & 언더테이커 | ✅존 시나[5] & 숀 마이클스[6] |
3. 여담
- 이 PPV를 마지막으로 WWE 백래쉬(2016)가 열리기 전까지 약 9년 간 WWE의 모든 PPV는 브랜드를 통합해 개최되었다.
- ECW 챔피언십 매치 이후 더 미즈의 진행 하에 디바 탤런트 인비테이셔널이라는 이름으로 디바 장기자랑 세그먼트
화장실 타임가 열렸다. 우승자는 당시 플레이보이 커버 모델이 됐던 애쉴리 마사로. - 한국에서는 2025년 4월 5일, IB SPORTS를 통해 재중계되었다. 중계진은 강영호 캐스터, 김대호 해설위원.
- 늘 그랬듯이 금지어가 된 인물이 나온 경기는 통편집되었다.
- 건틀렛 매치 중계에서는 강영호 캐스터가 경력이 어느덧 9개월이 되었음을 밝혔다. 이게 뜬금없이 나온 이유는 마지막 대전인 지미 왕 양과 차보 게레로의 경기 중 강영호 캐스터가 '캐싱인'이란 말을 꺼내자 김대호 해설위원이 "캐싱인을 아세요?"라고 묻고, 이에 강영호 캐스터는 "제 첫 중계가 에지의 캐싱인이었습니다"라고 답하면서 "저를 너무 낮게 보시는거 아닌가요?"라고 물었다. 그러자 김대호 해설위원은 '그럴 수밖에 없다'라고 답하자 차마 반박하지 못한다. 마찬가지로 강영호 캐스터가 차보의 시그니처 무브 중 쓰리 아미고스를 언급하자 똑같이 쓰리 아미고스를 아느냐고 묻고, 강영호 캐스터가 "제가 제일 좋아하는게 쓰리 아미고스입니다"라고 답했다.
- 태그팀 매치에서는 김대호 해설위원이 저 당시를 기준으로 미국에 '난쟁이 레슬링'이라는 왜소증 선수들만 나오는 단체가 실제로 존재했음을 알려주면서, 리틀 부기맨은 그 단체에서 차출된 사람이라고 밝혔다.
[1] WW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2] 제프 하디가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3] DQ 승. 챔피언 변동 없음.[4]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5] WWE 챔피언 & 월드 태그팀 챔피언[6] 월드 태그팀 챔피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