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D9DBD8><colcolor=#162123> Standing on the Corner 스탠딩 온 더 코너 | |
▲ (왼쪽부터) (뒷줄) 네이트 콕스, 브랜든 "버즈" 도널드 (가운뎃줄) 잭 놀란, 실 두베니온, 지오 에스코바르, 토민 페레아-샴블리 아야 브라운 | |
밴드명 | Standing on the Corner |
결성 | 2014년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뉴욕 주 뉴욕 시 브루클린 크라운 하이츠 | |
장르 | 아방가르드 음악, 얼터너티브 힙합, 스포큰 워드 |
소속 | Creative Mysteries Arts, XL |
현 멤버 | 지오 에스코바르 (Gio Escobar | 리더, 보컬, 작곡, 기타, 베이스) 잭 놀란 (Jack Nolan | 기타, 베이스) 릴라 라마니 (Lila Ramani | 기타) 네이트 콕스 (Nate Cox | 드럼) 실 두베니온 (Syl Dubenion | 색소폰) 사반나 해리스 (Savanna Harris | 드럼) 브랜든 "버즈" 도널드 (Brandon "Buz" Donald | 드럼) 클레리다 엘티메 (Clerida Eltimé | 첼로) |
이전 멤버 | 케일럽 자일스 (Caleb Giles | 보컬, 작곡, 색소폰) 재스퍼 마르살리스 (Jasper Marsalis | 보컬, 작곡, 기타) 토민 페레아-샴블리 (Tomin Perea-Chamblee | 코넷, 알토 클라리넷, 베이스 클라리넷) |
링크 | | | | | |
[clearfix]
1. 개요
2014년 미국 브루클린 에서 설립된 아방가르드, 얼터너티브 힙합 그룹이다.2. 상세
이름의 유래는 이전에 존재했던 할렘 기반의 힙합 그룹 "Children of the Corn"[1]이며, 초창기에 지오 에스코바르(Gio Escobar)와 잭 놀란(Jack Nolan)이 주축이 되어 기타와 베이스, 드럼을 기반으로 하는 라이브 공연 위주의 그룹으로 탄생했다. 이후 여러 작곡가들과 접촉하면서 재스퍼 마르살리스[2]과 협업하게 되고, 이후 셋이서 "Standing on the Corner"라는 이름으로 2016년 첫 데뷔 앨범을 내게 된다.이후 계속해서 활동하며 뉴욕 기반의 여러 음악가들과 콜라보를 진행하면서 훨씬 더 넓은 스펙트럼의 장르를 시도하는 등 현재의 정체성을 만들었으며, 일부 멤버들은 객원 멤버 형태로 비정기적인 참여를 하기도 한다.
그룹에 백인 멤버(잭 놀런)가 포함되어 있지만 흑인 음악(힙합, 재즈, 소울 등)의 영향이 강한 브루클린 기반 음악 그룹이다보니 흑인 멤버들이 많고, 타 아티스트들과 협업할 때 주로 힙합 앨범의 프로듀싱에 많이 참여한다. 대표적으로 대니 브라운의 uknowhatimsayin¿ 앨범에서 "Shine"이라는 트랙[3].
3. 디스코그래피
3.1. 정규 앨범
3.1.1. Standing on the Corner[4]
Standing on the Corner | ||
발매일 : 2016. 09. 11 | ||
트랙 | 제목 | 길이 |
01 | BNS | 3:04 |
02 | In + Out | 1:15 |
03 | Trouble | 1:12 |
04 | Girl | 5:27 |
05 | Vomets | 3:19 |
06 | Dedicated to Nunu | 1:18 |
07 | OFF A LITTLE BIT | 3:42 |
08 | Caleb Just Monkeying Around | 1:00 |
09 | Wordee | 1:29 |
10 | Santa Maria (Dedicated to Chuchita) | 4:10 |
11 | The Monkey on Your Back | 1:21 |
12 | Played Us Cheap | 3:26 |
13 | WHAT TIME IS IT? | 0:11 |
14 | That Awful Sound | 2:05 |
15 | Splitting Time | 0:35 |
Rate Your Music |
3.62 / 5.00 |
3.1.2. Red Burns
Red Burns | ||||
발매일 : 2017. 09. 11[5] | ||||
{{{#!wiki style="margin:0 -10px" {{{#fff {{{#!folding 트랙리스트 (펼치기 • 접기) | Side X | |||
트랙 | 제목 | 길이 | ||
01 | The Landing | 3:38 | ||
02 | Sellin Soap | 4:33 | ||
03 | Pass Time | 0:32 | ||
04 | I Remember | 1:17 | ||
05 | Recitation #1, nate sees the storm | 0:29 | ||
06 | A Siren Reimagined (That Awful Sound Pt.II) | 1:49 | ||
07 | Que triste | 1:19 | ||
08 | Unhappy | 0:30 | ||
09 | Recitation #2, red burns comin! | 0:38 | ||
10 | Revelation, First Variation | 1:18 | ||
11 | Get It On ! | 4:35 | ||
12 | Millyrock | 1:19 | ||
13 | Tricknology ! | 0:54 | ||
14 | A Shame! AKA Canned Pears | 7:30 | ||
15 | >:-)! | 0:35 | ||
16 | Tri ck nol o g y | 1:23 | ||
Side Y | ||||
17 | Tribute for Malcolm (Allah) | 0:56 | ||
18 | Today's Mathematics | 2:25 | ||
19 | Noise Complaint Skit | 0:15 | ||
20 | !Can I Kick It?[6] (with Ah Ah Ah Brownie) | 0:33 | ||
21 | Recitation #3, cleb sees the storm ! | 1:19 | ||
22 | Tribute for Albert Ayler (Rejoice !) | 0:30 | ||
23 | SahBabii / Now, Nation End[7] | 2:50 | ||
24 | :'-( | 1:13 | ||
25 | Recitation #4, what about the planet? | 0:50 | ||
26 | So I go bang bang and shoot | 1:17 | ||
27 | Wont U | 3:10 | ||
28 | Fiesta para San Lasaro Babalu | 3:17 | ||
29 | Recitation #5, the devil Meets Red Burns | 0:36 | ||
30 | Red Burns jumped the devil | 0:33 | ||
31 | Let Us Pray | 0:52 | ||
32 | U Remember | 1:14 | ||
33 | You Purified Me caveman | 2:39 | ||
34 | MIKE[8] Sees the Storm | 2:34 | ||
35 | Take the 'C' Train | 3:25 | ||
36 | A Moment of Silence for You Bichass Niggas | 0:11 | ||
총 길이 | 62:56 |
8.0 / 10.0 |
Rate Your Music |
3.80 / 5.00 |
재즈나 인디 록, 소울, 펑크와 힙합 등 여러 장르를 구분짓지 않고 한 앨범에 잘 녹여냈다는 평가 함께, 앨범 전반적으로 뉴욕의 음악적 느낌을 잘 살렸다는 평을 받는다. 1960년대 부터 2000년대 음악까지 다양한 흑인 음악들이 주로 샘플링 되었으며, 마빈 게이, 마이클 잭슨, 제이 지, 데스 그립스, 플레이보이 카티, A Tribe Called Quest 등 많은 아티스트들의 음원이 포함되었다.
특이하게도 "Side A", "Side B" 로 구분하는 통상적인 더블 앨범 발매 방식과는 약간 다르게, "Side X", "Side Y"로 구분지어 발매된 더블 앨범이다. 앨범 커버의 왼편의 90도 회전한 미국 지도의 빨간 선은 Standing on the Corner가 결성되어 주로 활동하는 지역인 뉴욕의 브루클린을 나타내고, 오른편의 빼곡히 적힌 흰 글씨들은 본 앨범의 트랙리스트이다.
[1] Big L과 Mase가 소속되어 활동했던 이력이 있다.[2] 현재는 탈퇴, 현 활동명은 Slauson Malone 1.[3] 이외에도 얼 스웻셔츠의 Some Rap Songs나 MIKE의 MAY GOD BLESS YOUR HUSTLE에 포함된 트랙도 작업하였다.[4] 셀프 타이틀 앨범[5] 이전 앨범 "Standing on the Corner" 발매 이후 정확히 1년만에 두번째 앨범을 발매했다.[6] A Tribe Called Quest의 앨범 People's Instinctive Travels and the Path of Rhythm에 포함된 동명의 트랙을 샘플링하여 재해석한 트랙[7] 해당 트랙의 뮤직비디오는 피치포크가 선정한 2018년 최고의 뮤직비디오 25개 중 13위에 랭크되었다.#[8] 이 앨범의 유일한 외부 피쳐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