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11 14:46:22

R-트루스

R트루스에서 넘어옴
파일:치매루스.jpg
R-TRUTH

1. 프로필2. 개요3. 경력4. 음반 목록
4.1. Invinceable
5. 그 외6. 둘러보기

1. 프로필

파일:rtruth2024.png
SMACKDOWN
<colbgcolor=#fff><colcolor=#3c30fe> 링네임 K. Malik Shabaz
K-Kwik
K-Krush
Ron Killings
R-Truth
본명 Ronnie Aaron Killings
(로니 아론 킬링스)
생년월일 1972년 1월 19일 ([age(1972-01-19)]세)
출생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노스캐롤라이나 샬럿
신장 188cm
별칭 The Truth
The Conspiracy Theorist
~진실이형~
유형 쇼맨
피니쉬 무브 리틀 지미[1]
코크스크류 시저스 킥[2]
라이 디텍터[3]
트루스 오어 컨시퀀시스[4]
트루스 컨빅션[5]
머슬 버스터[6]
AA / STF[7]
주요 커리어 CSWF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MCW 남부 헤비웨이트 챔피언 2회
NCW 텔레비전 챔피언 1회
N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2회
NWA 월드 태그팀 챔피언 2회
NWA 와일드사이드 텔레비전 챔피언 1회
TNA 월드 태그팀 챔피언 1회
WWE 브래깅 라이츠 트로피 (2009)
WW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 2회
WWE 24/7 챔피언 53회
WWF 하드코어 챔피언 2회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2회
테마곡 Rowdy[8](2000~2001)
Get Rowdy[9](2000~2001)
What's My Name[10](2002~2003)
3 Live Kru[11](2003~2005)
What's Up?[12](2006~2007)
Toma[13](2006~2008)
U Suck[14](2011~2012)
The Awesome Truth[15](2011~2012)
What's Up? (The Golden Truth Remix)[16](2016~2017)
What's Up? (Remix)[17](2008~)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 개요

파일:2awintro-import.jpg
"What's up?"
WWE 소속 프로레슬러, WWE만 본 사람들이라면 모르지만 나름 프로레슬링 역사상 중요한 입지를 가진 선수로 70년 역사를 가진 NWA 역사상 최초의 흑인 월드 챔피언이다.[18]

TNA 활동 초창기 피니쉬 무브는 무릎을 꿇으면서 사용하는 근육버스터인 컨시퀀스, 450도 스플래시인 행 타임, 상대를 스플렉스 자세로 들어올렸다가 앉으면서 전면부부터 떨궈버리는 트루스 컨빅션 등을 사용했으나 3 라이브 크루 이후 부커 T가 액스 킥이라는 이름으로 사용했던 시저스 킥을 피니시로 쭉 사용해왔었다.

WWE에서의 피니쉬는 TNA 시절 '플라잉 할라페뇨'라는 이름으로 사용했던 코크스크류 포암 스매쉬 라이 디텍터였는데, TNA 시절에는 그냥 즐겨쓰는 기술 정도였던지라 피니시로써의 위력은 설득력이 좀 부족하다. 그 뒤 점핑 리버스 STO를 선역일 때에는 What's Up?, 악역일 때에는 Shut Up!이라는 이름으로 사용중. 흑인 특유의 탄력과 큼직큼직한 움직임으로 경기를 풀어 나간다.

3.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R-트루스/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R-트루스/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R-트루스/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음반 목록

4.1. Invinceable

파일:MTAtMzEwOS5qcGVn.jpg
트랙 곡명 링크
1 I'm Mad 풀버전
2 WKKrush Radio
3 I Got Issues
4 I Got That Flava
5 What's My Name
6 Still Gettin' Rowdy
7 Tell Mr Why
8 I'm Mad (Remix)
9 Didn't Get No Credit
10 Still Gettin' Rowdy (Remix)
11 Get Yo Ass On Tha Flo
12 The Enterprise
13 WKKrush Radio (Outro)

5. 그 외

6. 둘러보기

파일:TNA-Slammiversary-PPV-Logo.jpg
역대 슬래미버서리 메인이벤트[★]
2004.6.23 N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33]
제프 제럿(C) vs 론 킬링즈
2006.6.18 N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킹 오브 더 마운틴 매치
우승자 : 제프 제럿
파일:resem63503gfwgauntletforgold.jpg
TNA 건틀렛 오브 더 골드 배틀로얄 우승자
창설 3 라이브 크루
(2003)
AJ 스타일스 & 톰코
(2007)
파일:WWE_Mixed_Match_Challenge_RENDERED--be159eda33a707f30b3be419eb87b031.png
2018년 WWE 믹스드 매치 챌린지 시즌 2 우승자
미즈 & 아스카 알 트루스 & 카멜라 폐지
파일:슬래미어워드 로고.jpg
WWE 슬래미 어워드 올해의 뮤지컬 퍼포먼스
창설 알 트루스
(2008)
일라이어스
(2020)
WWE 슬래미 어워드 올해의 LOL
데미안 미즈도우
(2014)
알 트루스[34]
(2015)
미정
CAGEMATCH 이어 앤드 어워드 선정 가장 과소평가된 선수
창설 알 트루스
(2006)
사모아 조
(2007)
CAGEMATCH 이어 앤드 어워드 선정 올해의 태그팀
넥서스
(2010)
알 트루스 & 더 미즈
(2011)
팀 헬 노
(2012)
파일:PWI 로고.png PWI 선정 올해의 태그팀
비어 머니 Inc.
(2011)
코피 킹스턴
알 트루스
(2012)
더 실드
(2013)
파일:프로레슬링 옵저버 로고.png레슬링 옵저버 선정 최악의 경기
2006년 10월 24일
TNA 임팩트!
리버스 배틀로얄
론 킬링스 vs 랜스 호잇
파일:프로레슬링 옵저버 로고.png 레슬링 옵저버 선정 올해 최악의 경기
2006년 10월 26일
TNA Impact!
리버스 배틀로얄
파일:v2T9qSqP_400x400.jpg 슬램 레슬링 어워드 선정 최악의 남성 태그팀 경기 [★]
2024년
6월 10일
WWE RAW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미즈(C)(O) & R-트루스(C) vs AOP (아캄(X) & 레자)

[1] 셸턴 벤자민의 피니쉬인 페이더트와 동일기. 리틀 지미 기믹 버리고나서 What's up이라고 불리기도 했다.[2] 시저스 킥으로 찍은 후, 회전하면서 착지.[3] 달려가서 포어 암 스매쉬를 하는 동시에 공중에서 회전하면서 착지하는 기술. WWE에 오기 전에는 플라잉 할라피뇨라는 명칭으로 썼으며 피니쉬 무브도 아니었지만, WWE에 오면서 시저스 킥 대신 이 기술을 피니쉬 무브로 사용하게 했다. 후에 리틀 지미를 피니쉬로 쓰기 전까지 계속 이 기술을 피니쉬로 써야 했다. 피니쉬로써 위력은 설득력이 많이 부족하나 대신 본인의 우월한 신체능력으로 540도 회전을 더해줌으로서 시각적인 효과를 극대화시켰다.[4] 수플렉스 자세로 상대방을 들어올리자마자 바로 떨어뜨려 스터너를 먹인다. 기술 이름의 뜻이 진실 혹은 거짓이다.[5] 트루스 오어 컨시퀀시스와 마찬가지로 슈플렉스 자세로 들어올린 뒤, 앉으면서 앞으로 상대를 떨어뜨린다.[6] 한때는 대표 피니쉬로 원래 이기술을 컨시퀀시스라는 이름으로 사용하였다.[7] 존 시나의 피니시/서브미션 기술. 우상이라 밝힌 후 가끔 쓴다.[8] K-Kwik 시절 WWF 테마곡.[9] 로드 독과의 WWF 태그팀 테마곡.[10] K-Krush 시절 TNA 테마곡. 이후 론 킬링스로 링네임을 변경했다.[11] 로드 독 & 코난과의 스테이블 '3 Live Kru' TNA 테마곡.[12] 2006년 TNA 활동 시절부터 2008년 WWE 복귀 이후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는 R-트루스의 대표적인 테마곡. 이후 제목이 현 제목인 'What's Up?'으로 변경되었다.[13] AAA 테마곡.[14] 2011년 턴힐후 사용한 테마곡. 'The Truth Has Set Me Free'라는 대사가 나온뒤에 테마가 나온다.[15] 미즈와의 태그팀 '어썸 트루스'의 리믹스 버전.[16] 골더스트와의 태그팀 '골든 트루스'의 리믹스 버전.[17] 원래 테마에 가사가 들어가 있었지만 최근에는 가사 없이 반주만 나오고 본인이 직접 랩을 하며 등장한다.[18] 비공식적인 역사까지 따지면 상당히 오래전에 활동했던 보보 브라질도 있지만 이는 인정되지 않았다.[19] 실제로도 트루스와 스웨거는 상당히 친한 사이로 알려져 있다.[20] WWE에서 트루스보다 나이가 많은 레슬러는 언더테이커·트리플 H·케인 정도인데, 언더테이커와 트리플 H는 공식적으로 은퇴를 선언했으며 케인은 이제 공직에 한 발 들여놓았으니 사실상 WWE 로스터에선 큰 형님이라 불러도 무방할 정도. 상상이 잘 안 가지만 타단체에서 뛰는 과거 WWE 소속였던 크리스 제리코RVD도 트루스보다 불과 2살 많다.[21] 상대가 코너 쪽으로 트루스를 로프반동시키면서 쫓아오면 구석의 턴버클을 짚고 상반신을 들어올려 도약해서 뒤로 상대 선수를 뛰어넘은 뒤 백덤블링으로 도발하는 트루스의 시그니처 무브이다. 비보잉의 레인보우와 동작이 흡사하며 못해도 180이 넘는 거구의 몸으로 이런 고난도의 동작을 잘 소화해낼 정도로 신체능력의 우월함을 입증했었다.[22] 그래서인지 존 시나의 경기 스타일을 완벽 재현하면서 존 시나의 공백도 나름(?) 채워주고 있다.[23] 게다가 애티튜드 시대 당시의 3선급 타이틀이었던 WWE 하드코어 챔피언십 획득 기록이 있다보니 향후에 WWE 챔피언 혹은 인터컨티넨탈 챔피언 둘중에 한가지만 획득해도 (구)그랜드 슬램을 달성할 수 있는 유일한 후보이기도 하다.[24] 덕분에 미즈는 경기 끝나고 트리플 H에게 락커룸에서 오지게 욕을 먹었다고 하며 트루스는 장기간 공백기를 가져야만 했다. 그도 그럴 것이 움짤에 나와있다시피 접수를 겁내고 받아주기 전에 혼자 자빠지는 프로레슬러란 직업이 심히 의심될 정도로 허접한 사고를 쳤으니. 거기다 사실 미즈는 과거에도 이런 실수를 자주 저질렀던 전적이 있다.[25] 재밌게도 로얄럼블 2001과 로얄럼블 2009에서 트루스를 탈락시킨 사람이 빅 쇼였다.[26] 전날 있던 미스 유니버스 선발대회에서의 해프닝을 패러디한 것이다.[27] 니키가 연설하려다가 뒤에서 화가 난 페이지가 트루스를 때리려고 따라가는데, 니키가 페이지에게 진정시키라며 그녀를 불러 함께 시상식에 참여하게 된다.[28] 이 영향덕에 Raw Talk 공동 호스트까지 담당하게 된다.[29] 소속 선수 전원이 나와 트루스의 생일축하를 해줄 때 포옹을 해주며 축하해주기도 했다.[30] 노쇠한 선수가 형편 없는 시합을 선보이면 은퇴하라는 비판이 필연적으로 나온다. 현재 이 각주 내용의 예시는 2024년 부터의 크리스 제리코.[31] 부커 T가 6살 연상이지만 트루스는 부커가 은퇴했을 당시 나이보다 훨씬 더 롱런하고 있다.[★]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33] 노 컨테스트[34] 수상 내용은 6월 8일 RAW에서 머니 인 더 뱅크 래더 매치에 참여하는 줄 알고 착각하는 장면과 11월 19일 스맥다운에서 서바이버 시리즈 2015 WWE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4강 토너먼트에 참여하는 줄 알고 착각하는 장면.[★]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