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ject Hospital의 부서 목록 | ||||||
1차 진료과목 | ||||||
응급의학과 | ||||||
전문 진료과목 | ||||||
외과 수술 실시 | 외과 수술 미실시 | |||||
일반외과 | 정형외과 | 심혈관의학과 | 신경의학과 | 외상외과 | 내과 | 감염내과 |
지원과목 | ||||||
질병 진단 보조 | 중환자 관리 및 수술 마취 | 추가 수입 / 시설 관리 / 능력 향상 | 부검 | |||
영상의학과 | 진단검사의학과 | 집중치료실 | 행정과 | 병리과 |
Project Hospital의 부서 응급의학과 Emergency | 應急醫學科 | ||
정식 부서 명칭 | 응급의학과(Emergency) | |
실제 기반 부서 | 응급의학과(Emergency Medicine) 가정의학과(Family Medicine) | |
중심 직업 유형[1] | 의사 | |
필수 전문 기술[2] | 없음 | |
부서 전문 기술[3] | '응급의학과전공' 전문 기술 | |
외래 진료소 | 진료실 | |
입원 병동 | 일반 병동 | 단기응급병동 |
고위험병동 | 중증외상센터(TC) | |
검사실 | 없음[4] | |
수술실 | 필요하지 않음 | |
대합실[5] | 없음 | |
경영 모드 단축키 | 1 |
[clearfix]
1. 개요
응급의학과(Emergency)
병원의 1차 진료를 전담하는 부서.
병원의 기초이자 필수 부서로, 이 과가 없다면 다른 과를 정상적으로 운영하고 있어도 환자가 오지 않는다.
환자가 자신의 질병을 대강 알고 있는 게 아니라면 병의 경중을 막론하고 대부분이 1차적으로 방문하는 과이며, 게임 시스템 상 다른 진료 과의 질병을 가진 환자가 50% 확률로 응급의학과 외래 진료소를 방문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대부분의 상병이 응급의학과를 거쳐서 타 과로 전과 되는 걸 기준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응급의학과에서만 전담하는 질환 중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고위험도의 질환은 없으며, 저위험도의 질병은 진료실에서 바로 치료 후 귀가한다.
2. 상세
2.1. 외래
가정의학과 내지 보통 의원에 가면 흔히 볼 수 있는 일반의 외래진료실. 다른 과를 열지 않는다면 동네 의원마냥 비응급 환자들만이 들어온다. 우리나라에서 생각하는 응급실 개념이 아니기 때문에 야간에도 환자를 받으려면 야간 외래 담당의를 고용해줘야만 한다. 다른 과도 그렇지만 야간 진료가 없을 경우 대기하던 환자들이 병원 문을 닫으면서 다 돌아가버린다.한국에서는 일반적으로 내과에서 담당하는 가벼운 질환들까지 응급의학과의 외래 진료실에서 처리하기 때문에 다른 과보다 외래 진료실을 많이 갖춰야 할 필요가 있다.[6] 그러나 보통 외래로 들어오는 환자들의 병증이 가볍다보니[7] 병원비도 적게 청구되는 환자가 많아 수익이 높지 않으므로 임금이 적으면서도 간단한 질환에도 대응할 수 있는 수련의를 다수 쓰고 인턴들이 놓치고 넘어가는 환자를 커버할 진단 전문의를 응급과장으로 한명 갖추는 편이 유리하다. 진단이 제대로 나오지 않을 경우 플레이어가 직접 검사를 지정해주면 진단 확률이 올라가기도 한다.
감별 진단(Differential Diagnosis) 전문 기술을 가진 의사가 있으면 외래 진료실 운영에 큰 도움이 된다.
2.1.1. 시설
2.1.1.1. 진료실
필수 장비 : 의료 폐기물통, 청력 검사기, 검사 테이블, CRP 검사기, 손 세정제, 장비 캐비닛, 검사 램프/의료용 램프, 시력 검사표, 싱크대, 컴퓨터, 프린터/서류 보관함, 책상, 의자
권장 장비 : 책상, 테이블, 의자, 화이트보드
최소 크기는 4x4이며, 책상이나 테이블은 필수가 아니지만 청력 검사기와 CRP 검사기, 컴퓨터, 프린터가 책상 위에만 올라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책상이 4칸 필요하다. 화이트보드는 설치하면 감별 진단 진행이 빨라지므로 필수적인 장비. 복잡해보이지만 다른 과의 진료실도 기본적으로 이 구성을 따라가거나 이 구성에서 장비 한두가지만 추가된 수준이므로 몇 번 짓다보면 금방 익숙해진다.권장 장비 : 책상, 테이블, 의자, 화이트보드
2.1.1.2. 대기실
필수 장비 : 없음
권장 장비 : 벤치/의자, 접수 기계, 안내용 TV
환자가 처음 내원하면 접수 기계에 접수를 하고, 안내 TV의 호출에 맞춰 진료를 받게 된다. 필수 요소는 없지만 권장 요소가 있어야 접수부터 진료까지의 과정에 부드럽게 흘러가고, 특히 의자가 모자라면 대기 환자들의 불만이 오르기 때문에 넉넉하게 깔아주자. 특히 응급의학과는 대부분의 환자가 몰리기 때문에 의자를 많이 지어야한다. 권장 장비 : 벤치/의자, 접수 기계, 안내용 TV
2.1.1.3. 접수
필수 장비 : 컴퓨터
권장 장비 : 접수 책상, 의자
접수는 간호사가 담당한다. 이 게임에서의 접수는 병원에 처음 와서 하는 접수가 아니라 환자의 트리아지에 가깝기 때문에 필수가 아니다.[8] 물론 병원이 커지고 환자가 많아지면 외래 부하를 줄이기 위해 설치를 하는 것이 좋다. 권장 장비 : 접수 책상, 의자
컴퓨터와 의자 1쌍 당 1명을 고용할 수 있으며, 업무 데스크가 바뀌기 전까진 오직 환자 접수만 가능하다.
2.1.1.4. 청소도구실
필수 장비 : 선반
권장 장비 : 청소 카트
선반 1개 당 1명의 청소부를 고용할 수 있다. 청소 카트가 있어야 청소 효율이 올라간다. 복도의 핏자국이나 물기를 닦는다.권장 장비 : 청소 카트
2.2. 내래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응급실에 부합하는 곳으로, 단기응급병동과 중증외상센터가 있다. 다른 과의 입원 병실 개념과 같으므로 이곳에 입실한 환자들을 보기 위해선 의국의 당직의들이 필요하다.2.2.1. 단기응급병동
필수 장비 : 병원 침대/현대 병원 침대[10]+환자 감시장치+침대 캐비닛, 의료 폐기물통, CRP 검사기, 청력 검사기, 제세동기, 손 세정제, 싱크대, 장비 캐비닛
권장 장비 : 침대 소켓, 장비 테이블, 의료용 전등/수술실 전등, 테이블, 화이트보드
권장 장비 : 침대 소켓, 장비 테이블, 의료용 전등/수술실 전등, 테이블, 화이트보드
단기응급병동(Observation)은 타 과에 환자를 보내기 이전에 환자를 수용하여 병세와 진행을 확인하는데 쓰이며, 다리를 다치거나 해서 거동이 힘든 환자를 침대에 눕히고 스트레쳐로 이동시키기 위해 쓰이거나, 타 과 입원실이 포화 상태일 때 환자를 귀가시키지 않고 임시 수용 하기도 한다. 수용 가능 환자 수는 침대(+환자 감시장치+침대 캐비닛)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
응급의학과 진료실의 의사들은 진단이 어려울 경우, 또는 진단이 내려졌지만 병동에서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한 경우 환자를 단기응급병동에 보내버린다. 여기서 추가적인 검사를 하고, 응급의학과에서 할 수 있는 검사가 끝난 경우 과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진료실에 낮은 등급의 의사를 주로 배치해 인건비를 절약하고, 단기응급병동에 감별진단을 할 수 있는 높은 등급의 의사를 넣어 고난이도의 진단을 담당하도록 해야 한다.
환자는 여기서 당분간 입원하며 병세를 지켜보게 되며 진단이 내려질 경우 해당 과의 병동으로 이송되거나 치료 되어 퇴원하게 되고, 의식 불명이 될 경우에는 다시 TC로 이송된다. 응급의학과의 진단 확실성이 높음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보통 알맞은 과로 환자를 이동시키게 되므로 이곳에서 의식 불명 상태로 TC로 이송될 일은 보기 힘들게 된다.
AI 의사들이 꽤 자주 협심증 등의 고위험 환자를 여기 단기응급병동로 넣어버리곤 하니 주의할 것. 이런 환자는 보이는 즉시 적절한 치료를 하고 알맞은 과로 올려 보내야 집중치료실에서 사망하는 불상사를 최대한 막을 수 있다.
2.2.2. 중증외상센터
필수 장비 : 수술 테이블+마취 워크스테이션+의료용 전등/수술실 전등, 의료 폐기물통, 제세동기, 손 세정제, 장비 캐비닛, 신속 초음파, 싱크대, 이동형 워크스테이션, 수술용 모니터
권장 장비 : 테이블, 화이트보드
권장 장비 : 테이블, 화이트보드
중증외상센터(Trauma Center, TC)는 구급차로 입원한 환자와 진단이 내려지지 않은 의식불명 환자를 다룬다.
응급처치와 상병 확인을 거쳐 타과로 옮기기 때문에 중증외상센터는 구급차가 하루에 이송해오는 만큼의 환자를 커버하고 의사가 주야간을 막론하고 상시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11]
집중치료실과 마찬가치로 검사/처치 전에 응급처치를 필수로 진행해야 하므로 의사, 간호사를 충분히 배치해놔야 한다. 응급처치가 끝나면 TC에서 대기중이던
어느 정도 환자가 안정되었다고 판단될 경우 알맞은 과의[12][13] HDU(고도의존성병상)등의 입원실로 환자를 보내게 된다.
필수 장비를 보면 알겠지만 설치 비용이 어마무시하다. 수술 테이블+마취기+전등만 해도 9000$이 나오며 필수 장비인 초음파와 워크스테이션도 합치면 9000$이다. 벽이나 타일, 보조 장비 비용까지 생각하면 기본 20000$에 추가 수술 테이블 갯수×9000$ 만큼 들어간다. 하지만 환자의 생명과 즉결된 곳이라 병원 규모에 걸맞게 계속 유지시켜줘야하는 곳.
2.2.3. 의국
필수 장비 : 컴퓨터, 서류함, 프린터
권장 장비 : 책상, 의자
응급의학과에 입원한 환자들을 담당하는 의사들을 위한 공간이다. 컴퓨터와 의자 1쌍당 1명씩의 주/야간 의사를 고용할 수 있다.권장 장비 : 책상, 의자
2.2.4. 간호사실
필수 장비 : 장비 캐비닛, 컴퓨터
권장 장비 : 책상, 의자, 식사 트레이, 스트레처, 휠체어
마찬가지로 응급의학과에 입원한 환자들을 담당하는 간호사를 위한 공간이다. 식사 트레이가 있는 것을 보면 알겠지만 입원 환자들의 식사도 간호사들이 전부 병동까지 가져다준다.권장 장비 : 책상, 의자, 식사 트레이, 스트레처, 휠체어
스트레처가 모자랄 경우 환자가 입원하거나 진단을 위해 검사실로 가는 시간이 느려질 수 있기 때문에 모자랄 경우 바로바로 추가해주자.[14]
2.3. 질병 목록
유구조충 | 유구조충(T. solium)은 인간의 소화기계통에 기생하는 조충이며, 돼지는 인간의 분변으로 오염된 물과 사료를 섭취할 때 중간숙주로 작용합니다. 익히지 않은 돼지고기를 먹으면 감염될 수 있습니다. |
무구조충 | 무구조충(T. saginata)은 인간의 소화기계통에 기생하는 조충이며, 소는 인간의 분변으로 오염된 물과 사료를 섭취할 때 중간숙주로 작용합니다. 익히지 않은 쇠고기를 먹으면 감염될 수 있습니다. |
수두 | 수포창이라고도 알려진 수두는 수두바이러스(Varicella zoster virus)의 초기 감염으로 인해 발병하며 전염성이 매우 높은 질환입니다. 작고 가려운 물집을 형성하는 특징적인 피부 발진을 초래합니다. |
대상포진 | 대상 포진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의 재발로 인한 감염입니다. 이 질환은 피부 발진 후 넓은 줄무늬에 작은 물집을 형성하는 붉은 피부 발진을 초래합니다. 대상 포진은 매우 고통스러울 수 있습니다. |
손발톱곰팡이병 | 손발톱곰팡이병 또는 조갑진균증이라고 불리는 곰팡이 감염증은 손과 발톱에 영향을 미치는 진균 감염입니다. |
발 무좀 | 발 무좀이라고 알려진 족부백선은 곰팡이에 의한 발의 전염성이 매우 높은 피부 감염입니다. |
철결핍빈혈 | 철결핍빈혈은 빈혈의 가장 흔한 형태입니다. 빈혈은 혈액이 산소를 운반하는 능력의 감소로써, 적혈구 또는 헤모글로빈의 감소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젖당불내성 | 젖당불내성은 유제품을 통해 발견되는 탄수화물인 젖당을 소화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소화되지 않은 젖당은 팽창, 설사, 가스 또는 복통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감기 | 일반적인 감기는 보통 코나 인후와 같은 상부 호흡기의 바이러스 감염입니다. |
급성부비동염 | 급성부비동염은 하나 이상의 부비동에 생긴 염증을 말하며, 붓기를 유발하며 부비동에서 점액 또는 고름의 배액이 어려워집니다. |
급성인두염 | 급성인두염은 인후의 염증을 말하며,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될 수 있습니다. |
세균성 편도염 | 세균성 편도염은 편도선의 감염이며, 가장 흔한 세균성 편도염은 고름사슬알균(S. pyogenes)에 의해 발생합니다. |
바이러스성 편도염 | 바이러스성 편도염은 편도선의 감염이며, 여러 종류의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될 수 있습니다. |
후두염 | 후두염은 성대의 염증으로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될 수 있지만, 과도한 성대 사용으로 유발될 수도 있습니다. |
인플루엔자[DLC][16] | 독감으로 알려진 인플루엔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군에 의해 발생하는 흔한 전염병입니다. |
기관지염 | 기관지염은 기관지라고 불리는 하부 호흡기의 염증이며 보통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합니다. |
건초열 |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알려진 건초열은 꽃가루와 같은 공기 중 알레르기에 대한 반응에 의해 유발되는 코의 염증입니다. |
접촉성 피부염 | 접촉성 피부염은 알러지 또는 자극성 물질에 접촉하여 피부의 국부적인 발진이나 자극을 유발합니다. |
내측상과염 | 골프엘보로 알려진 내측상과염은 팔꿈치 안쪽에서 손목까지 통증을 유발하는 특징이 있으며, 반복적인 움직임을 통해 근육과 해당 움직임을 담당하는 힘줄에 자극을 주어 발생합니다. |
척추측만증 | 척추측만증은 일반적으로 척추 측 곡면이 C 또는 S자 모양으로 척추가 비틀어지거나 구부러지는 질환이며, 보통 통증이 없습니다. |
레이노 증후군 | 레이노증후군은 차가운 실외 온도에 대한 반응으로 손, 손가락, 발가락의 무감각과 차가워짐을 유발합니다. |
만성피로증후군 | 만성피로증후군은 매우 복잡한 질병으로 어떠한 근본적인 의학적 상태로는 설명할 수 없는 피로 상태를 말합니다. |
불면증 | 불면증은 나쁜 수면의 주관적인 경험으로 잠들지 못하거나, 밤새 계속 잠을 자거나 너무 일찍 일어나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팔 타박상 | 좌상이라고도 알려진 타박상은 보통 자주색 변색을 가진 손상된 조직의 부위를 말합니다. |
머리 타박상 | 좌상이라고도 알려진 타박상은 보통 자주색 변색을 가진 손상된 조직의 부위를 말합니다. |
발 타박상 | 좌상이라고도 알려진 타박상은 보통 자주색 변색을 가진 손상된 조직의 부위를 말합니다. |
발목 타박상 | 좌상이라고도 알려진 타박상은 보통 자주색 변색을 가진 손상된 조직의 부위를 말합니다. |
다리 타박상 | 좌상이라고도 알려진 타박상은 보통 자주색 변색을 가진 손상된 조직의 부위를 말합니다. |
흉부 타박상 | 좌상이라고도 알려진 타박상은 보통 자주색 변색을 가진 손상된 조직의 부위를 말합니다. |
인플루엔자 B형[17] | 인플루엔자 B형은 인플루엔자 B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되는 병으로 인플루엔자 감염의 계절성 발병이 원인입니다. |
[1] 해당 부서에서 중점적으로 배정하는 직업 유형.[2] 해당 부서에 배정할 때 필요한 의사의 전문 기술.[3] 해당 부서에 배정해야만 경험치 획득이 가능한 의사의 전문 기술.
'마취통증의학과전공' 전문 기술은 어느 부서든 마취 담당으로 역할을 부여하면 경험치를 획득할 수 있음으로 제외됨. '감별 진단' 전문 기술도 동일.[4] 정확히는 영상의학과의 검사실을 사용한다.[5] 병원 서비스 DLC 한정.[6] 의사 한명당 최대 하루에 10명 정도를 맡을 수 있다. 70명 정도의 환자가 생긴다면 다른 과의 외래로 가는 것을 제외하고 50명 정도가 응급의학과로 몰리며, 5명의 의사가 있어야 환자가 기다리다 집으로 가지 않는다.[7] 응급의학과 전담 질병은 전부 비응급 질환이며 심각한 고위험 환자의 경우 실제 질환은 타 과의 전담 분야기 때문에 당장 죽을 수도 있는 상황만 처치한 후 응급의학과를 경유하여 타과로 전과된다.[8] 환자 임의로 접수를 무시할 수도 있다.[9] 접수 간호사에게는 환자 자신이 알고 있는 증상만 얘기하고, 환자가 알고 있을만한 증상은 거의 중위험으로 분류되며 고위험 증상을 찾는 경우는 드물다. 의사가 증상을 묻는 시간을 줄인다는 것에 의의를 둬야 한다.[10] 일반 침대가 599$인데 현대 침대는 2999$로 5배나 차이난다. ICU는 현대 침대만 쓸 수 있기 때문에 사실상 ICU 전용인 장비다. 일반 병실에서는 일반 침대를 사용하자.[11] 96×96 사이즈의 종합병원 기준으로 병상 6-8개 정도면 여유롭고, 4개만 있어도 충분히 굴러간다. 어차피 고위험 환자는 다른 과로 전출처리되고, 응급의학과에서 처리해야 하는 환자의 경우 금방 치료가 가능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정도만 있어도 문제 없다. 다만 응급환자가 자주 오거나 이벤트를 자주 사용하는 유저라면 외상센터 6개 이상, 전담 의사 및 간호사 각 5명 이상을 고용해둬야 한다. 만약 일일 300명 이상으로 환자가 매우 많아서 원내 응급이 자주 발생할 경우 병상 12개를 갖추어놔야 할 수도 있다.[12] 진단이 내려지지 않았을 경우 최대한 가능성 있는 과로 이송한다. 물론 다른 과로 이송될 경우도 가끔 나오지만 이런 환자는 검사 후에 알맞은 과로 재이송 되게 된다.[13] 응급의학과 전담인 비응급 환자의 경우 몇시간 동안 중증외상센터를 점유하다가 돈을 내고 퇴원하는데, 이래서 비응급 환자들이 응급 환자들보다 중증외상센터에 있는 시간이 길다. 중증외상센터에 입원했다면 단기응급병동으로 보낼수도 없으므로 다수의 비응급 환자 사이에 응급 환자가 섞여들어오면 매우 난감하다.정형외과나 내과등 응급이 거의 없는 과로 보내버리는 방법이 있다.[14] 간호사들은 주변의 이용 가능한 모든 스트레처를 이용하지만 스트레처가 없으면 저 멀리서 가져온다. 당연히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DLC] 감염내과 통합[16] 감염내과 DLC를 설치할 시 인플루엔자 A형, B형으로 나뉘게 된다.[17] 감염내과 DLC 전용.
'마취통증의학과전공' 전문 기술은 어느 부서든 마취 담당으로 역할을 부여하면 경험치를 획득할 수 있음으로 제외됨. '감별 진단' 전문 기술도 동일.[4] 정확히는 영상의학과의 검사실을 사용한다.[5] 병원 서비스 DLC 한정.[6] 의사 한명당 최대 하루에 10명 정도를 맡을 수 있다. 70명 정도의 환자가 생긴다면 다른 과의 외래로 가는 것을 제외하고 50명 정도가 응급의학과로 몰리며, 5명의 의사가 있어야 환자가 기다리다 집으로 가지 않는다.[7] 응급의학과 전담 질병은 전부 비응급 질환이며 심각한 고위험 환자의 경우 실제 질환은 타 과의 전담 분야기 때문에 당장 죽을 수도 있는 상황만 처치한 후 응급의학과를 경유하여 타과로 전과된다.[8] 환자 임의로 접수를 무시할 수도 있다.[9] 접수 간호사에게는 환자 자신이 알고 있는 증상만 얘기하고, 환자가 알고 있을만한 증상은 거의 중위험으로 분류되며 고위험 증상을 찾는 경우는 드물다. 의사가 증상을 묻는 시간을 줄인다는 것에 의의를 둬야 한다.[10] 일반 침대가 599$인데 현대 침대는 2999$로 5배나 차이난다. ICU는 현대 침대만 쓸 수 있기 때문에 사실상 ICU 전용인 장비다. 일반 병실에서는 일반 침대를 사용하자.[11] 96×96 사이즈의 종합병원 기준으로 병상 6-8개 정도면 여유롭고, 4개만 있어도 충분히 굴러간다. 어차피 고위험 환자는 다른 과로 전출처리되고, 응급의학과에서 처리해야 하는 환자의 경우 금방 치료가 가능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정도만 있어도 문제 없다. 다만 응급환자가 자주 오거나 이벤트를 자주 사용하는 유저라면 외상센터 6개 이상, 전담 의사 및 간호사 각 5명 이상을 고용해둬야 한다. 만약 일일 300명 이상으로 환자가 매우 많아서 원내 응급이 자주 발생할 경우 병상 12개를 갖추어놔야 할 수도 있다.[12] 진단이 내려지지 않았을 경우 최대한 가능성 있는 과로 이송한다. 물론 다른 과로 이송될 경우도 가끔 나오지만 이런 환자는 검사 후에 알맞은 과로 재이송 되게 된다.[13] 응급의학과 전담인 비응급 환자의 경우 몇시간 동안 중증외상센터를 점유하다가 돈을 내고 퇴원하는데, 이래서 비응급 환자들이 응급 환자들보다 중증외상센터에 있는 시간이 길다. 중증외상센터에 입원했다면 단기응급병동으로 보낼수도 없으므로 다수의 비응급 환자 사이에 응급 환자가 섞여들어오면 매우 난감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