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5 22:18:20

PGA(골프)

1. 개요2. 대회
2.1. 메이저 대회2.2. 일반
3. 한국 골퍼의 활약4. 대회 우승자
4.1. 메이저 대회
4.1.1. PGA 챔피언십 (1990~현재)4.1.2. 마스터스 토너먼트 (1990~현재)4.1.3. US오픈 (1990~현재)4.1.4. 디 오픈 챔피언십 (1990~현재)
4.2. 일반 대회
4.2.1. 플레이어스 챔피언십

1. 개요

Professional Golfers Association.

미국의 프로골프협회로 1916년 4월 10일 미국 뉴욕에서 출범했다. 현재 미국 텍사스 프리스코에 본부가 있다.

참고로 PGA는 PGA 투어와는 다른 조직이다. PGA 투어는 PGA에서 독립해 프로 선수들의 토너먼트 대회 운영에 주안점을 두고있다.

PGA 투어라는 게임도 존재한다.

2. 대회

2.1. 메이저 대회

2.2. 일반

3. 한국 골퍼의 활약

3.1. 최경주

3.2. 양용은

4. 대회 우승자

4.1. 메이저 대회

4.1.1. PGA 챔피언십 (1990~현재)

연도 성명 기록
2024 파일:미국 국기.svg 잰더 셔플리 -21
2023 파일:미국 국기.svg 브룩스 켑카 -9
2022 파일:미국 국기.svg 저스틴 토마스 -5
2021 파일:미국 국기.svg 필 미켈슨 -6
2020 파일:미국 국기.svg 콜린 모리카와 -13
2019 파일:미국 국기.svg 브룩스 켑카 -8
2018 파일:미국 국기.svg 브룩스 켑카 -16
2017 파일:미국 국기.svg 저스틴 토마스 -8
2016 파일:미국 국기.svg 지미 워커 -14
2015 파일:호주 국기.svg 제이슨 데이 -20
2014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로리 매킬로이 -16
2013 파일:미국 국기.svg 제이슨 더프너 -10
2012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로리 매킬로이 -13
2011 파일:미국 국기.svg 키건 브래들리 -8
2010 파일:독일 국기.svg 마르틴 카이머 -11
200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양용은 -8
2008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퍼드리그 헤링턴 -3
2007 파일:미국 국기.svg 타이거 우즈 -8
2006 파일:미국 국기.svg 타이거 우즈 -18
2005 파일:미국 국기.svg 필 미켈슨 -4
2004 파일:피지 국기.svg 비제이 싱 -8
2003 파일:미국 국기.svg 숀 미킬 -4
2002 파일:미국 국기.svg 리치 빔 -10
2001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드 톰스 -15
2000 파일:미국 국기.svg 타이거 우즈 -18
1999 파일:미국 국기.svg 타이거 우즈 -11
1998 파일:피지 국기.svg 비제이 싱 -9
1997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스 러브 3세 -11
1996 파일:미국 국기.svg 마크 브룩스 -11
1995 파일:호주 국기.svg 스티브 엘킹턴 -17
1994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닉 프라이스 -11
1993 파일:미국 국기.svg 폴 에이징어 -12
1992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닉 프라이스 -6
1991 파일:미국 국기.svg 존 데일리 -12
1990 파일:호주 국기.svg 웨인 그래디 -6

4.1.2. 마스터스 토너먼트 (1990~현재)

연도 성명 기록
2024 파일:미국 국기.svg 스코티 섀플러 -11
2023 파일:스페인 국기.svg 존 람 -12
2022 파일:미국 국기.svg 스코티 섀플러 -10
2021 파일:일본 국기.svg 마쓰야마 히데키 -10
2020 파일:미국 국기.svg 더스틴 존슨 -20
2019 파일:미국 국기.svg 타이거 우즈 -13
2018 파일:미국 국기.svg 패트릭 리드 -15
2017 파일:스페인 국기.svg 세르히오 가르시아 -9
2016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대니 윌렛 -5
2015 파일:미국 국기.svg 조던 스피스 -18
2014 파일:미국 국기.svg 버바 왓슨 -8
2013 파일:호주 국기.svg 애덤 스콧 -9
2012 파일:미국 국기.svg 버바 왓슨 -10
2011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챨 스왓첼 -14
2010 파일:미국 국기.svg 필 미켈슨 -16
2009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앙헬 카브레라 -12
2008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트래버 임멀먼 -8
2007 파일:미국 국기.svg 잭 존슨 +1
2006 파일:미국 국기.svg 필 미켈슨 -7
2005 파일:미국 국기.svg 타이거 우즈 -12
2004 파일:미국 국기.svg 필 미켈슨 -9
2003 파일:캐나다 국기.svg 마이크 위어 -7
2002 파일:미국 국기.svg 타이거 우즈 -12
2001 파일:미국 국기.svg 타이거 우즈 -16
2000 파일:피지 국기.svg 비제이 싱 -10
1999 파일:스페인 국기.svg 호세 마리아 올라사발 -8
1998 파일:미국 국기.svg 마크 오메라 -9
1997 파일:미국 국기.svg 타이거 우즈 -18[7]
1996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닉 팔도 -12
1995 파일:미국 국기.svg 벤 크렌쇼 -14
1994 파일:스페인 국기.svg 호세 마리아 올라사발 -9
1993 파일:독일 국기.svg 베른하르트 랑거 -11
1992 파일:미국 국기.svg 프레드 커플스 -13
1991 파일:웨일스 국기.svg 이안 우즈넘 -11
199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닉 팔도 -10

4.1.3. US오픈 (1990~현재)

연도 성명 기록
2024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이슨 디섐보 -6
2023 파일:미국 국기.svg 윈덤 클락 -10
2022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맷 피츠패트릭 -6
2021 파일:스페인 국기.svg 존 람 -6
2020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이슨 디섐보 -6
2019 파일:미국 국기.svg 개리 우드랜드 -13
2018 파일:미국 국기.svg 브룩스 켑카 +1
2017 파일:미국 국기.svg 브룩스 켑카 -16
2016 파일:미국 국기.svg 더스틴 존슨 -4
2015 파일:미국 국기.svg 조던 스피스 -5
2014 파일:독일 국기.svg 마르틴 카이머 -9
2013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저스틴 로즈 +1
2012 파일:미국 국기.svg 웹 심슨 +1
2011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로리 매킬로이 -16
2010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그레이엄 맥도웰 E
2009 파일:미국 국기.svg 루카스 글로버 -4
2008 파일:미국 국기.svg 타이거 우즈 -1
2007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앙헬 카브레라 +5
2006 파일:호주 국기.svg 제프 오길비 +5
2005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마이클 캠벨 E
2004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레티프 구젠 -4
2003 파일:미국 국기.svg 짐 퓨릭 -8
2002 파일:미국 국기.svg 타이거 우즈 -3
2001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레티프 구젠 -4
2000 파일:미국 국기.svg 타이거 우즈 -12
1999 파일:미국 국기.svg 페인 스튜어트 -1
1998 파일:미국 국기.svg 리 얀센 E
1997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어니 엘스 -4
1996 파일:미국 국기.svg 스티브 존스 -2
1995 파일:미국 국기.svg 코리 파빈 E
1994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어니 엘스 -5
1993 파일:미국 국기.svg 리 얀센 -8
1992 파일:미국 국기.svg 톰 카이트 -3
1991 파일:미국 국기.svg 페인 스튜어트 -6
1990 파일:미국 국기.svg 헤일 어윈 -8

4.1.4. 디 오픈 챔피언십 (1990~현재)

연도 성명 기록
2023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이언 하먼 -13
2022 파일:호주 국기.svg 캐머런 스미스 -20
2021 파일:미국 국기.svg 콜린 모리카와 -15
2020 코로나바이러스-19로 인해 대회 취소
2019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셰인 로리 -15
201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프란체스코 몰리나리 -8
2017 파일:미국 국기.svg 조던 스피스 -12
2016 파일:스웨덴 국기.svg 헨릭 스텐손 -20
2015 파일:미국 국기.svg 잭 존슨 -15
2014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로리 매킬로이 -17
2013 파일:미국 국기.svg 필 미켈슨 -3
2012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어니 엘스 -7
2011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대런 클라크 -5
2010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루이스 우스트헤이젠 -16
2009 파일:미국 국기.svg 스튜어트 싱크 -2
2008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퍼드리그 헤링턴 +3
2007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퍼드리그 헤링턴 -7
2006 파일:미국 국기.svg 타이거 우즈 -18
2005 파일:미국 국기.svg 타이거 우즈 -14
2004 파일:미국 국기.svg 토드 헤밀턴 -10
2003 파일:미국 국기.svg 벤 커티스 -1
2002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어니 엘스 -6
2001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드 듀발 -10
2000 파일:미국 국기.svg 타이거 우즈 -19
1999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폴 라우리 +6
1998 파일:미국 국기.svg 마크 오메라 E
1997 파일:미국 국기.svg 저스틴 레너드 -12
1996 파일:미국 국기.svg 톰 레만 -13
1995 파일:미국 국기.svg 존 데일리 -6
1994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닉 프라이스 -12
1993 파일:호주 국기.svg 그렉 노먼 -13
1992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닉 팔도 -12
1991 파일:호주 국기.svg 이안 베이커-핀치 -8
199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닉 팔도 -18

4.2. 일반 대회

4.2.1. 플레이어스 챔피언십

연도 성명 기록
2024 파일:미국 국기.svg 스코티 셰플러[8] -20
2023 파일:미국 국기.svg 스코티 셰플러 -17
2022 파일:호주 국기.svg 캐머런 스미스 -13
2021 파일:미국 국기.svg 저스틴 토마스 -14
2020 코로나바이러스-19로 인해 대회 취소
2019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로리 매킬로이 -16
2018 파일:미국 국기.svg 웹 심슨 -18
201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시우 -10
2016 파일:호주 국기.svg 제이슨 데이 -15
2015 파일:미국 국기.svg 리키 파울러 -12
2014 파일:독일 국기.svg 마르틴 카이머 -13
2013 파일:미국 국기.svg 타이거 우즈 -13
2012 파일:미국 국기.svg 맷 쿠차 -7
201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경주 -13
2010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팀 클락 -16
2009 파일:스웨덴 국기.svg 헨릭 스텐손 -12
2008 파일:스페인 국기.svg 세르히오 가르시아 -5
2007 파일:미국 국기.svg 필 미켈슨 -11
2006 파일:캐나다 국기.svg 스티븐 에임즈 -14
2005 파일:미국 국기.svg 프레드 펑크 -9
2004 파일:호주 국기.svg 애덤 스캇 -12
2003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스 러브 3세 -17
2002 파일:호주 국기.svg 크레이그 퍼크스 -8
2001 파일:미국 국기.svg 타이거 우즈 -14
2000 파일:미국 국기.svg 헤일 서튼 -10
1999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드 듀발 -3
1998 파일:미국 국기.svg 저스틴 레너드 -10
1997 파일:호주 국기.svg 스티브 엘킹턴 -16
1996 파일:미국 국기.svg 프레드 커플스 -18
1995 파일:미국 국기.svg 리 얀센 -5
1994 파일:호주 국기.svg 그렉 노먼 -24
1993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닉 프라이스 -18
1992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스 러브 3세 -15
1991 파일:호주 국기.svg 스티브 엘킹턴 -12
1990 파일:미국 국기.svg 조디 머드 -10


[1] 대표적인 레슨 프로는 2023년 공동 15위를 기록한 마이클 블록[2] 전 년도 대회 우승자가 이듬해 우승자에게 그린 재킷을 건네주는 것이 대회의 전통.[3] 현재는 개정되어 2홀 스트로크 플레이 후 동점 시 서든데스 방식으로 변경.[4] 첫 대회 개최 연도가 무려 1860년[5] 김시우의 우승은 대회 역사상 최연소 우승 기록으로 아직도 남아있다.당시 나이 21세 11개월.[6] 플레이오프에선 컷탈락이 없음. 대신 대회 종료 기준 페덱스컵 포인트 랭킹 하위 20명은 탈락.[7] 마스터스 역사상 최다 타수차 우승. 2위와 무려 12타차...[8] 플레이어스 챔피언십 역사상 첫 2연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