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6 15:01:49

LG 트윈스/2025년/시즌 전망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LG 트윈스/2025년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20><tablebordercolor=#c30452><tablebgcolor=#c30452>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LG 트윈스
2025 시즌별 경기
}}} ||
스토브리그 시범경기 3~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 시즌 전망과 과제
1.1. 불펜진 재건1.2. 백업 발굴 및 성장 여부
2. 예상 엔트리
2.1. 투수2.2. 야수
3. 종합

1. 시즌 전망과 과제

1.1. 불펜진 재건

어찌보면 2025시즌을 앞두고 LG 트윈스가 해결해야할 가장 큰 과제이자 숙제다. 우승을 견인한 막강 불펜진이 단 한 시즌만에 부상, 부진, 유출로 인하여 완전히 무너져버리며 충분히 우승 경쟁을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규시즌을 3위로 마쳤다. 사실상 불펜진에 믿을맨은 김진성김유영, 유영찬 단 셋 뿐이였다. 그마저도 김진성은 불혹을 넘겨서 체력관리를 해줘야 하며, 유영찬은 마무리 투수라 아무 때나 올릴 수 없고 풀타임 마무리를 맡은 첫 시즌이라 슬슬 체력관리를 해줘야 한다. 24시즌에 이종준이라는 재목을 발견한 점이 한 줄기 빛이지만, 이종준도 아직은 경기 경험이 많지 않아 더 두고봐야 한다.

현재로서는 백승현, 정우영, 박명근 그리고 함덕주의 부활이 절실하다. 다행인 점은 23시즌 우승에 혁혁한 공을 세웠던 전천후 이정용이 전반기 막판에 전역해서 복귀한다는 점이다. 이정용의 경우 전반기 막바지부터 후반기까지 힘를 보탤 것으로 전망된다. 그리고 선발, 불펜이 모두 가능한 임준형의 역할도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 외에도 롯데 자이언츠에서 트레이드로 합류한 우강훈, 연말에 상무에서 전역한 송승기허준혁, 2024 신인인 정지헌진우영, 교육 리그에서 가능성을 보인 좌,우완 파이어볼러 김지용허용주, 2025 드래프트 1라운더 김영우 등이 뉴페이스로서 눈여겨볼 만 하다.

또 하나의 변수가 있다면 바로 고우석의 리턴 여부다.[1] 현재로서는 내년 복귀 가능성은 다소 낮아보이나, 빅리그 콜업 가능성이 떨어질 경우 시즌 중 복귀도 가능할 수 있다.[2] 만약 고우석이 복귀하여 불펜진에 합류한다면 헐거웠던 불펜진에 큰 힘을 더해줄 것이다. 다만 고우석이 내년까지 미국에서 도전을 이어가겠다는 입장을 밝힌 만큼 2025년 리턴은 가능성이 낮다.

그리고 스토브리그에서 FA로 장현식을 4년 52억에 영입하며 일단 외부 영입을 통한 불펜진 보강에는 성공했다.[3] LG 프런트는 장현식이 2021년 홀드왕 당시 보여준 퍼포먼스나 작년 KIA 우승에 있어 큰 공헌을 한 점을 고려할 때 다소 헐거워진 LG 불펜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하여 계약을 추진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가장 투수친화적 구장인 잠실을 홈으로 사용한다는 점에서 성적 향상이 기대되는 측면도 있다. 이로써 장현식-김진성-유영찬을 중심으로 필승조가 꾸려질 것으로 보인다.

1.2. 백업 발굴 및 성장 여부

작년에 구본혁이 한층 성장한 모습을 보여주면서 준주전급 선수로 올라섰다. 그러나 후반기 들어 체력 저하의 여파로 부진에 빠졌고, 주전 유격수 오지환이 25시즌이면 만 35세 시즌을 맞이하기 때문에 백업 발굴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그렇기 때문에 오지환의 후계자 1순위로 꼽히는 이영빈의 성장이 중요해졌다.

또한 우타 자원으로 1루수와 코너 외야수를 볼 수 있는 문정빈이 전역 이후 스몰샘플이긴 하지만 퓨처스리그에서 큰 폭의 성장세를 보여준지라, 팬들의 기대치가 조금씩 올라가고 있는 상황이며, 때마침 기존 지명타자 자원인 김현수의 에이징 커브가 명확해졌기 때문에 문정빈의 성장세도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외야 주전들의 나이도 문성주를 제외하면 모두 30대고 문성주 역시 2024시즌 후반기 내내 햄스트링 부상으로 고생을 한 지라, 주전 선수들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외야수 백업 육성에 사활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 중에서도 타격 생산성이 크게 떨어졌고, FA 4년차 시즌을 보내게 될 중견수 박해민의 대체자원을 구하는 것이 시급하다. 현재로선 2024년 어느 정도 가능성을 보여준 최원영함창건, 2년차 시즌을 맞게 될 김현종의 성장이 중요해 보인다.

포수 포지션 역시 백업 육성이 필수로 요구되는데, 2022년부터 3년간 백업 포수를 맡은 허도환은 더 이상 1군에서 쓸 수 없을 정도로 노쇠했다는 것이 2024시즌 후반, 그리고 포스트시즌에서 드러났으며 결국 포스트시즌 종료 후 방출 통보를 받았다. 그리고 주전 포수 박동원 역시 2024시즌 상당히 밀도 높게 포수 수비를 소화했으며,[4] 그의 나이 역시 2025시즌이면 만 35세로 적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기존에 허도환이 소화하던 이닝은 물론이고, 박동원의 수비 이닝을 줄여줄 선수가 필요하다. 현재로선 2024시즌 전역 이후 퓨처스에서 괜찮은 모습을 보이고, 시즌 말 1군 경기 소화에 이어 포스트시즌까지 출전한 이주헌의 성장 여부가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5]

그리고 2023년 1라운더인 김범석의 경우는 시즌을 소화할수록 체중이 증가하는 기이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다, 강점인 타격 마저도 체력 저하와 분석이 이뤄진 뒤부턴 바닥을 긴지라 20kg 이상의 극단적인 체중 감량이 있지 않을 경우엔 구상에서 제외될 수도 있다.[6]

2. 예상 엔트리

2.1. 투수


감독이 이미 재계약을 공언한 에르난데스와 토종 에이스 임찬규, 작년에 좋은 모습을 보여준 손주영 정도가 선발 엔트리에 들것이 확실한 상황에 디트릭 엔스최원태의 재계약 여부가 작년의 선발진에서 변화를 줄 전망이다. 특히 최원태가 떠날 경우, 이정용이 돌아올 때까지 그가 떠나고 무주공산이 된 5선발 자리를 두고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2.2. 야수


1루수의 경우, 오스틴의 재계약이 예상된다. 작년 주전 라인업은 큰 변화가 없다면 2025년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다만 2024년의 경우 주전과 백업 사이의 실력 격차로 인해 주전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고 그에 따른 주전들의 체력 저하와 부상이 시즌 구상을 어렵게 만든 요인 중 하나였기에 2025년에는 확실한 슈퍼 백업의 존재가 필요하다.[10]

3. 종합


[1] FA가 아닌 포스팅을 통해 미국으로 진출한 것이기에 KBO에 복귀한다면 무조건 LG로 와야만 한다.[2] 비슷한 경우로는 LG 동 포지션 레전드인 이상훈이 있다. 이상훈은 2002년 시즌 중 보스턴에서 방출되자 5월 중순에 LG로 복귀했고, 그 해 한국시리즈 진출에 큰 공을 세웠다.[3] 다만 셀러리캡이 거의 꽉 찬 상황에서 B등급 불펜 투수를 50억대 금액에 무옵션으로 데려오는 것에 대해 회의적 시각을 보내는 의견이 많았다. 우선 차명석 단장은 계약 직후 현장의 요청이었다고 밝혔다[4] 2024시즌 수비 이닝은 944.2이닝으로, 지난해 대비 38이닝 정도 줄어들긴 했지만, 5월에 다리 부상으로 잠깐 1군에서 빠졌고, 복귀 이후 잠시 지명타자 롤을 소화했던 것을 감안하면 부상이 없었을 경우 1000이닝 이상 수비를 소화했을 것이다. 거기에 포스트시즌에서도 준PO 4차전, PO 2차전 후반을 제외하면 줄곧 포수 마스크를 썼으며, 시즌 후에는 프리미어 12 대표팀 합류도 유력한 상황이다.[5] 이주헌의 드래프트 동기 김성우는 가능성을 조금 보여주긴 했지만 군 문제를 아직 해결하지 못하였으며, 98년생 전준호의 경우는 2군에서도 너무 저조한 타격 때문에 제3포수 이상으로 올라가기는 힘든 상황. 2021년 드래프트 10라운드로 입단한 박민호의 경우는 포수지만 군 문제 해결 이후 팀의 포수 뎁스 약화가 명백해진 2024시즌이 되어서야 포수 출전 비율이 올라갔다. 그리고 신인 이한림은 2군에서 육성이 필요한 상태다.[6] 다만 마무리캠프에서 감량에 성공한 모습을 보이며 내년을 기대케 하기도 했다.[7] 6월 17일 전역[8] 6월 17일 전역[9] LG 복귀 시. 다만 마무리가 아닌 셋업맨을 맡을 가능성도 있다.[10] 예를 들어, 29년만의 우승을 이루어냈던 제작년의 경우, 내야에는 김민성정주현이 있었고 외야에는 부상을 당하기 전 아시안 게임 승선이 거론될 정도로 잠시나마 좋은 폼을 보여주었던 이재원이 있었다. 또한 제1 백업 포수는 허도환이 맡았는데, 노쇠화의 직격탄을 맞기 전이라 공수 양면에서 꽤나 쏠쏠한 모습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