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DOORS
{{{#!wiki style="margin: -1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5c4d41, #8a736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px -1px -11px" | <colbgcolor=#4a3e33> 요소 | 괴물 및 개체 · 아이템 · 오브젝트 · 방 · 맵 · 모드 · 대사 |
기타 | 팁 · 배지 · 업데이트 내역 · UGC · LSPLASH |
{{{#!wiki style="margin: -1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5c4d41, #8a736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px -1px -11px" | <colbgcolor=#4a3e33> | 적대적 | 러쉬 · 앰부쉬 · 아이즈 · 티모시 · 잭 · 듀프 · 샐리 · 스크리치 · 하이드 · 드레드 · ㄹNIㅓ쉬Cg== · 애ROxㅁ부쉬 · 스크JVER리치 · 홀트 · 스네어 · 떨어진 샹들리에 · 피규어 · 시크 |
중립적 | 보이드 | ||
우호적 | 가이딩 라이트 · 큐리어스 라이트 · 글리치 · 제프 · 엘 고블리노· 밥 | ||
적대적 | 암흑 박쥐 · 알집 · 기글 · 폭발성 가스 · 물 · 판자 벽 · 바위 더미 · 석순 · 스크리치 더미 · 그럼블 · 여왕 그럼블 | ||
중립적 | 광산 수레 | ||
우호적 | 루이 | ||
The Rooms | 적대적 | A-60 · A-120 · A-90 | |
The Backdoor | 적대적 | 블리츠 · 룩맨 · 진공 · 헤이스트 |
1. 개요2. The Hotel
2.1. 적대적
3. The Mines4. The Rooms5. The Backdoor2.1.1. 다음 방 문이 열리거나 특정 오브젝트와 상호작용 시 확률적으로 등장2.1.2. 다수의 방에서 확률적으로 등장2.1.3. 매 틱마다 확률적으로 등장2.1.4. 조건부로 확정적으로 등장2.1.5. 고유의 방에서 확정적으로 등장
2.2. 중립적2.3. 우호적5.1. 적대적
6. SUPER HARD MODE!!!6.1. 적대적
7. Retro Mode7.1. 적대적
8. Tower Heroes9. 이스터에그7.1.1. 다음 방 문이 열릴 시 확률적으로 등장7.1.2. 매 틱마다 확률적으로 등장7.1.3. 조건부로 확정적으로 등장
7.2. 우호적7.1.3.1. 드라코블록서즈
7.1.4. 고유의 방에서 확정적으로 등장9.1. The Hotel9.2. SUPER HARD MODE!!!
10. 유출된 괴물11. 삭제되었거나 파일을 해킹해야만 볼 수 있는 괴물1. 개요
DOORS에 등장하는 괴물 또는 대미지 있는 개체를 서술하는 문서.비율로만 보면 플레이어를 즉사시키는 괴물이 가장 많고 몇몇 괴물은 주로 40 정도의 대미지를 주기도 하며, 플레이어를 죽이지 못하거나 대미지가 아예 없는 점프 스케어용 괴물도 있다.
이하 실제로 공포감을 주는 인게임 괴물들의 사진이 첨부되어 있으니 열람할 때 주의해야 한다.
- 관련 배지[1]
- One Of Many(다중일수): 1번 죽기
- Ten Of Many(다중십수): 10번 죽기
- Hundred Of Many(다중백수): 100번 죽기
Thousand Of Many(다중천수): 1000번 죽기[2]- Evil be gone(악귀야 물러가라): 괴물에게 십자가 사용하기
2. The Hotel
2.1. 적대적
2.1.1. 다음 방 문이 열리거나 특정 오브젝트와 상호작용 시 확률적으로 등장
2.1.1.1. 러쉬
자세한 내용은 러쉬(DOORS) 문서 참고하십시오.2.1.1.2. 앰부쉬
자세한 내용은 앰부쉬 문서 참고하십시오.2.1.1.3. 아이즈
자세한 내용은 아이즈(DOORS) 문서 참고하십시오.2.1.1.4. 티모시
자세한 내용은 티모시(DOORS) 문서 참고하십시오.2.1.1.5. 잭
자세한 내용은 잭(DOORS) 문서 참고하십시오.2.1.2. 다수의 방에서 확률적으로 등장
2.1.2.1. 듀프
자세한 내용은 듀프 문서 참고하십시오.2.1.2.2. 샐리
자세한 내용은 샐리(DOORS) 문서 참고하십시오.2.1.3. 매 틱마다 확률적으로 등장
2.1.3.1. 스크리치
자세한 내용은 스크리치(DOORS) 문서 참고하십시오.2.1.4. 조건부로 확정적으로 등장
하이드, 드레드처럼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확정적으로 나타나는 괴물들이다.2.1.4.1. 하이드
자세한 내용은 하이드(DOORS) 문서 참고하십시오.2.1.4.2. 드레드
자세한 내용은 드레드(DOORS) 문서 참고하십시오.2.1.4.3. ㄹNIㅓ쉬Cg==
자세한 내용은 러쉬(DOORS) 문서 참고하십시오.2.1.4.4. 애ROxㅁ부쉬
자세한 내용은 앰부쉬 문서 참고하십시오.2.1.4.5. 스크JVER리치
자세한 내용은 스크리치(DOORS) 문서 참고하십시오.2.1.5. 고유의 방에서 확정적으로 등장
고유의 방에서 등장하는 괴물들이다.2.1.5.1. 홀트
자세한 내용은 홀트(DOORS) 문서 참고하십시오.2.1.5.2. 스네어
<colbgcolor=#2d2f34> 스네어 Snare | |
| |
<colcolor=#fff> 등장 조건 | 고유의 방에서 등장 |
등장 플로어 | 호텔, 슈퍼하드모드 |
공격 패턴 | 플레이어가 밟을 시 잠시 동안 해당 플레이어를 행동불가 상태로 만듬 |
대미지 | 10[4], 20[5], 30[6][7] |
봉인 가능 여부 | 봉인 불가능 |
폭사 가능 여부 | 폭사 불가능 |
사망 모션 | 앞으로 빠르게 미끄러진 뒤 쓰러짐 |
고유의 방 | 정원, 온실, 무수히 많음[8] |
- 특징
- 대처법
- 여담
- SUPER HARD MODE에서의 변화는 없지만 바나나가 추가되어서 온실 자체는 더 어려워졌다.
- 도어즈 수정자 모드가 생기면서 스네어가 대폭 추가되는 모드가 생겼다.
- 도어즈2 업데이트로 광산에서도 나왔었지만 9월 1일 패치로 광산에선 삭제 처리 되었다.
- 타워 히어로즈에선 특이하게 적이나 아군으로 등장하지 않고 엘 고블리노가 설치하는 4 레벨 덫으로 나온다.[12]
- 인게임에서는 티가 안나지만 바닥에는 스네어의 본체가 존재한다.[13]
- 관련 모드
- Watch Your step: 스네어가 온실이 아니어도 등장한다.
- Are Those Pancakes?!: 스네어가 많이 나오고 대미지가 강해진다.
- I Love Pancakes!!!: 스네어가 더욱 많이 나오고 대미지가 30으로 증가한다. 이 모드를 착용하면 스네어에게 죽을 수 있다.
2.1.5.3. 떨어진 샹들리에
자세한 내용은 시크(DOORS) 문서 참고하십시오.2.1.5.4. 피규어
자세한 내용은 피규어(DOORS) 문서 참고하십시오.2.1.5.5. 시크
자세한 내용은 시크(DOORS) 문서 참고하십시오.2.2. 중립적
공격 패턴과 도움 패턴이 모두 있는 괴물이다.[14]2.2.1. 조건부로 확정적으로 등장
2.2.1.1. 보이드
자세한 내용은 보이드(DOORS) 문서 참고하십시오.2.3. 우호적
2.3.1. 조건부로 확정적으로 등장
팁을 알려주거나, 물건을 파는 등 플레이어에게 도움을 주는 괴물들이다. 우호적이기 때문에 대미지가 없다.2.3.1.1. 가이딩 라이트[15]
자세한 내용은 가이딩 라이트 문서 참고하십시오.2.3.1.2. 큐리어스 라이트[16]
자세한 내용은 큐리어스 라이트 문서 참고하십시오.2.3.1.3. 글리치
자세한 내용은 글리치(DOORS) 문서 참고하십시오.2.3.2. 고유의 방에서 확정적으로 등장
2.3.2.1. 제프
자세한 내용은 제프(DOORS) 문서 참고하십시오.2.3.2.2. 엘 고블리노
자세한 내용은 엘 고블리노 문서 참고하십시오.2.3.2.3. 밥
<colbgcolor=#2d2f34> 밥 Bob[17] | |
<nopad>
| |
등장 조건 | 고유의 방에서 등장 |
등장 플로어 | 호텔, 광산, 슈퍼하드모드 |
도움 패턴 | 없음 |
공격 패턴 | 없음 자신과 2번 상호작용한 플레이어를 공격^(슈퍼 하드 모드)^ |
대미지 | 0 즉사^(슈퍼 하드 모드)^ |
봉인 가능 여부 | 봉인 불가능 |
폭사 가능 여부 | 폭사 불가능 |
고유의 방 | 호텔 제프의 상점, 광산 제프의 상점 |
- 특징
파리가 꼬여있는 것으로 보아 이미 백골화 진행을 마친 시체이다. 사인은 러쉬에 의한 초살 이거나 엘 고블리노의 대사를 보면 스네어를 밟아 죽은 걸 수도 있다.[20]
- 여담
- 물리적으로 말을 할 수가 없어서인지 엘 고블리노가 밥의 말을 대신 전해주기도 한다. 엘 고블리노의 말에 따르면 호텔에서 일어나는 사건에 대해 많이 알고 있고 발차기가 세다고 한다.
- 광산에서도 등장한다, 이때 깨알같이 광부의 상징인 헤드랜턴 모자를 쓰고 나오는 것이 백미.
3. The Mines
여기의 고유 괴물 및 개체 이외에도 플로어 1에 나오던 몇몇 괴물들도 출현한다.3.1. 적대적
3.1.1. 다음 방 문이 열릴 시 확률적으로 등장
3.1.1.1. 암흑 박쥐
자세한 내용은 암흑 박쥐 문서 참고하십시오.3.1.2. 다수의 방에서 확률적으로 등장
3.1.2.1. 알집
자세한 내용은 암흑 박쥐 문서 참고하십시오.3.1.2.2. 기글
자세한 내용은 기글 문서 참고하십시오.3.1.2.3. 폭발성 가스
<colbgcolor=#2d2f34> 폭발성 가스 Firedamp | |
<nopad> | |
<colcolor=#fff> 등장 조건 | 화생방실에서 등장 |
등장 플로어 | 호텔[모드한정], 광산 |
공격 패턴 | 플레이어의 시야가 오랫동안 폭발성 가스 속에 있을 경우 질식 라이터를 킬시 폭사 |
전조 | 문에 경고표시가 붙어있음 |
대미지 | 즉사 |
봉인 가능 여부 | 봉인 불가능 |
폭사 가능 여부 | 폭사 불가능 |
사망 모션 | 쓰러짐(질식) 몸이 폭발하며 폭발 잔해가 남음(폭사) |
- 특징
해당 개체는 가스 누출 방의 모든 곳에 퍼져있고 약 1분간 해당 기체가 있는 방에 계속 있으면 점점 눈꺼풀이 감기다 질식한다.
해당 방에서 라이터를 킬 경우 즉시 폭사한다.[22][23] 때문에 빠르게 다음 방으로 가거나 잠긴 방이라면 이전 방으로 왔다갔다해야 한다.
실수로 이 방에서 라이터를 켰는데 그 라이터가 게이지가 전부 닳은 라이터라서 라이터가 꺼지는 애니메이션이 나오며 살게 되는 기적이 있다.
생각없이 라이터 켜고 문열어서 들어가다가 폭사당하지 않도록 주의하자.
눈꺼풀이 감기기 이전에 시야가 가려지는 거랑 이동하는 시간까지 생각해서 다음방으로 빨리 가기 어려우면 슬슬 빨리 이전 방으로 돌아가는 게 좋다.
- 관련 배지
- Whoever Smelt it(누가 냄새를 맡았든 간에): 가스 누출 방에서 탈출 시 획득
3.1.3. 고유의 방에서 확정적으로 등장
고유의 방에서 등장하는 괴물들이다.3.1.3.1. 물
<colbgcolor=#2d2f34> 물 Water | |
<nopad> | |
<colcolor=#fff> 등장 조건 | 대부분의 방에서 등장 |
등장 플로어 | 광산 |
공격 패턴 | 플레이어의 시야가 오랫동안 물 속에 있을 경우 익사 |
전조 | - |
대미지 | 즉사 |
봉인 가능 여부 | 봉인 불가능 |
폭사 가능 여부 | 폭사 불가능 |
고유의 방 | 무수히 많음 |
사망 모션 | 쓰러짐 |
- 특징
플레이하며 물에 의해 익사할 일은 거의 없지만 가끔씩 물 속을 웅크려서 지나가야 하는 방이 나온다.
사망 시 Drowning(익사)로 죽었다고 뜬다.
플레이어의 절반 이상이 잠겨있으면 젖음 효과가 생긴다.
일반적인 방법에서 대미지 받을 수 있는 물은 수중 동굴 방과 그럼블의 둥지와 4 사다리 방에 있고 종단 속도 사탕까지 쓰면 배수 시설 방에서도 대미지받을 수 있다.
200번 방에서 댐 시크를 처치하면 있는 물도 이 물이다. 운이 매우 없으면 컷씬 후 텔레포트가 안 돼서 그대로 빠져 죽는 경우가 있다(...)[죽은모습]
3.1.3.2. 판자 벽
자세한 내용은 시크(DOORS) 문서 참고하십시오.3.1.3.3. 바위 더미
자세한 내용은 시크(DOORS) 문서 참고하십시오.3.1.3.4. 석순
자세한 내용은 시크(DOORS) 문서 참고하십시오.3.1.3.5. 스크리치 더미
자세한 내용은 스크리치(DOORS) 문서 참고하십시오.3.1.3.6. 그럼블
자세한 내용은 그럼블(DOORS) 문서 참고하십시오.3.1.3.7. 여왕 그럼블
자세한 내용은 여왕 그럼블 문서 참고하십시오.3.2. 중립적
3.2.1. 고유의 방에서 확정적으로 등장
고유의 방에서 등장하는 괴물들이다.3.2.1.1. 광산 수레
<colbgcolor=#2d2f34> 광산 수레 Mine Cart | |
<nopad>
| |
<colcolor=#fff> 등장 조건 | 레일이 있는 방에서 등장 |
등장 플로어 | 광산 |
도움 패턴 | 나무 판자를 부숴줌, 플레이어를 태우고 시크에게서 더 빠르게 도망치게 도와줌 |
공격 패턴 | 속도가 일정량 이상일 때 부딪힐 시 공격[25], 일부 개체에게 대미지받을 수 있게 함 |
전조 | – |
대미지 | 10 이상[26] |
봉인 가능 여부 | 봉인 불가능 |
폭사 가능 여부 | 폭사 불가능 |
고유의 방 | 무수히 많음 |
사망 모션 | 쓰러짐 |
- 특징
수레를 밀어 나무판자로 막힌 곳을 뚫을 수 있다.
시크 추격전에선 광산 수레를 탈 수 있는데 광산 수레를 조종할 수 있다. 윗쪽에만 있는 나무판자는 못 부순다. 그러므로 해당 오브젝트가 나오면 숙여야 한다.
여왕 그럼블을 피한 이후 레일이 없어서 낭떠러지에 멈췄으나 여왕 그럼블에게 깔려서 부서졌다.
- 여담
- 광산 수레를 밀 때 플레이어가 사이에 있으면[29] 가끔 광산 수레가 끼어서 게임을 망칠 수 있다. 이 버그는 어디서든 광차와 레일만 있으면 돼서 150층에서 이런일이 일어나기도 한다.
- 광산 수레를 끄는 소리는 RAGDOLL UNIVERSE에 나오는 휠체어의 소리를 재활용 한 것 이다.
- 관련 배지
- Running Track(달리기 코스): 시크의 선로 방에서 탈출 시 획득
3.3. 우호적
3.3.1. 다수의 방에서 확률적으로 등장
3.3.1.1. 루이
<colbgcolor=#2d2f34> 루이 Louie | |
<nopad>
| |
<colcolor=#fff> 등장 조건 | 쥐구멍이 있는 방에서 등장 |
등장 플로어 | 광산 |
도움 패턴 | 플레이어가 준 아이템을 랜덤한 아이템으로 바꿔줌 |
대미지 | 0 |
봉인 가능 여부 | 봉인 가능 |
폭사 가능 여부 | 폭사 불가능 |
- 특징
동굴앞에 드롭되어 있는 아이템을 동굴로 가지고 간다.
십자가를 줄 시 루이가 가지고 들어간 뒤 봉인되면서 아이템 4개가 구멍 밖으로 나온다.
식빵, 치즈, 그윈 소다는 루이에게서만 얻을 수 있는 아이템이다.
그냥 보기엔 동물같아 보이지만 봉인이 되는 걸 보면 엄연히 괴물에 해당하는 걸로 보인다.[30]
참고로, 거래는 쥐구멍 당 딱 2번 밖에 못하고 플레이어가 루이한테 받은 아이템을 다시 루이한테 줘도 루이는 받지 않는다.[31]
아래의 표에 없는 아이템을 루이에게 줄 시 루이가 나와서 아이템을 보기만 하다가 도로 들어가버린다.
플레이어가 십자가를 들고 있지 않아도 봉인할 수 있는 2마리의 괴물 중 하나이다.[32]
아이템마다 루이가 교환해줄 수 있는 품목과 그 개수가 다르다. 자세한 건 아래 참고.
- ( 거래 품목 및 개수 / 펼치기 · 접기 )
- ||<bgcolor=#8a7360> 플레이어가 주는 아이템 ||<bgcolor=#8a7360> 거래 품목 ||<bgcolor=#8a7360> 루이가 주는 아이템 수 ||
라이터 식빵, 치즈 1 양초 글로우스틱 팁 통 손전등 스트랩 라이트, 비타민, 락픽 달빛 양초 스포트라이트, 그윈 소다, 해골 열쇠, 가위 2 레이저 포인트 1 스트랩 라이트 손전등, 비타민, 반창고 팩, 건전지 팩 스포트라이트 그윈 소다, 해골 열쇠 스무디 가위 셰이크 라이트 락픽, 해골 열쇠 비타민 스트랩 라이트, 락픽 식빵 치즈 치즈 식빵 그윈 소다 해골 열쇠, 가위 별빛 호리병 그윈 소다, 해골 열쇠, 가위 알람 시계 별빛 병 스포트라이트, 그윈 소다, 해골 열쇠, 가위 2 별빛 저그 4 락픽 손전등, 비타민, 반창고 팩 1 해골 열쇠 그윈 소다, 가위 십자가 특정 아이템[33]을 제외한 게임 내 모든 아이템 4
- 관련 배지
- Trade Offer(거래 제안): 루이와 아이템 교환 시 획득
- Scammed(사기): 루이에게 십자가 사용 시 획득
- You Finally Turn Green(마침내 초록색으로 바뀌었어요): 그윈 소다를 섭취할 시 획득
4. The Rooms
자세한 내용은 DOORS/괴물 및 개체/The Rooms 문서 참고하십시오.4.1. 적대적
4.1.1. 다음 방 문이 열릴 시 확률적으로 등장
4.1.1.1. A-60
자세한 내용은 DOORS/괴물 및 개체/The Rooms 문서 참고하십시오.4.1.1.2. A-120
자세한 내용은 DOORS/괴물 및 개체/The Rooms 문서 참고하십시오.4.1.2. 매 틱마다 확률적으로 생성
4.1.2.1. A-90
자세한 내용은 DOORS/괴물 및 개체/The Rooms 문서 참고하십시오.5. The Backdoor
자세한 내용은 DOORS/괴물 및 개체/The Backdoor 문서 참고하십시오.5.1. 적대적
5.1.1. 다음 방 문이 열릴 시 확률적으로 등장
5.1.1.1. 블리츠
자세한 내용은 DOORS/괴물 및 개체/The Backdoor 문서 참고하십시오.5.1.1.2. 룩맨
자세한 내용은 DOORS/괴물 및 개체/The Backdoor 문서 참고하십시오.5.1.2. 다수의 방에서 확률적으로 등장
5.1.2.1. 진공
자세한 내용은 DOORS/괴물 및 개체/The Backdoor 문서 참고하십시오.5.1.3. 조건부로 확정적으로 등장
5.1.3.1. 헤이스트
자세한 내용은 DOORS/괴물 및 개체/The Backdoor 문서 참고하십시오.6. SUPER HARD MODE!!!
2023년 만우절 기념으로 추가된 SUPER HARD MODE!!!에서 나오는 괴물들이다. 참고로 이 모드에서는 하이드가 기존보다 3배는 더 빨리 나오기 때문에 주의하자.[34] 더 헌트 업데이트로 삭제되었었으나 4월 5일 업데이트로 플레이 할 수 있게 되었다, 단 Rock Bottom 배지가 있어야 한다.6.1. 적대적
6.1.1. 다음 방 문이 열리거나 특정 오브젝트와 상호작용 시 확률적으로 등장
6.1.1.1. 팬메이드 엔티티
자세한 내용은 러쉬(DOORS) 문서 참고하십시오.6.1.1.2. 소이잭
자세한 내용은 잭(DOORS) 문서 참고하십시오.6.1.2. 다수의 방에서 확률적으로 등장
6.1.2.1. 바나나 껍질
<colbgcolor=#2d2f34><colcolor=#fff> 바나나 껍질 Banana Peel | |
| |
등장 조건 | 대부분의 방에서 무더기로 등장[35] |
등장 플로어 | 호텔[챗컨트롤], 광산[챗컨트롤], 슈퍼하드모드 |
공격 패턴 | 밟은 플레이어를 넘어뜨림 |
전조 | – |
대미지 | 3초당 10 |
봉인 가능 여부 | 폭사 불가능 |
폭사 가능 여부 | 폭사 불가능 |
사망 모션 | 쓰러짐 |
- 특징
심지어 체력이 소량 닳아도 죽이지는 못하는 티모시, 스네어와는 달리 체력이 적을 때 바나나 껍질은 플레이어를 죽일 수 있다.
참고로 문 바로 앞에도 소환될 수 있으니 조심하자. 이럴 경우 보지도 못하고 10 대미지가 깎일 수도 있다. 게다가 밟고 나서 일어난 뒤에 의도치 않게 두 번 밟는 경우가 있다. 밟아서 넘어지면 잠깐동안 움직일 수 없게 되다보니 이로 인해 러쉬나 그 파생형 괴물들한테 죽는 경우가 있다.
심지어 가끔씩은 옷장안에 스폰되어 옷장에 들어갈 때 바나나에게 미끄러져서 옷장 안에 못 들어가 러쉬한테 죽을 수도 있다.
그리고 장롱에 들어갔는데 이걸 밟고 넘어지며 장롱에 숨는 경우가 있다.
후술할 제프 더 킬러도 이걸 밟아서 넘어진다.[39]
제프가 바나나를 밟고 넘어졌을 때, 천장을 뚫어서 맵 밖으로 나갈 수도 있다. 이 영상의 0:57초.
6.1.2.2. 아공간 기뢰
자세한 내용은 듀프 문서 참고하십시오.6.1.2.3. 제프 더 킬러
<colbgcolor=#2d2f34><colcolor=#fff> 제프 더 킬러 JEFF THE KILLER | |
등장 조건 | 다음 방으로 가는 문을 열었을 때 확률적으로 출현 |
등장 플로어 | 호텔[모드한정], 광산[모드한정], 슈퍼하드모드 |
공격 패턴 | 타겟팅 된 플레이어를 타겟팅이 풀릴 때까지 추적[42] |
전조 | – |
대미지 | 1초당 75[43] |
봉인 가능 여부 | 봉인 불가능 |
폭사 가능 여부 | 폭사 가능 |
사망 모션 | 쓰러짐 |
- 특징
아무 전조도 없이 갑자기 방에서 튀어나와[44] 플레이어를 칼로 찔러서 75의 대미지를 준다.
그냥 문을 열때마다 뒤로 좀 빠져서 피할 수도 있으나, 이놈이 플레이어가 죽을 때까지 쫓아와[45] 아이템이 아무것도 없다면 그저 도망치는 것 밖에는 할 수 있는 게 없다.
또한 플레이어 판정이라서, 얘를 바나나로 유인한뒤 넘어뜨러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다.[46] 다만 아주 가끔씩 이 녀석이 문도 열기 때문에 방심하다 찔려죽을 수도 있다. 한술 더 떠서 이 녀석이 문을 열어 앰부쉬라도 나오기라도 한다면 높은 확률로 죽는다.
할렐루야 폭탄을 던져서 죽일 수 있다. 그러니 제프 더 킬러가 보인다면 바로 뒤돌아서 비타민을 먹거나 바나나로 유인시켜 넘어뜨리는 등 거리를 벌리고, 수류탄을 던져서 죽이자.[47] 이 방법이 가장 안정적이므로 서랍을 열심히 뒤지거나 제프 상점에서 나오면 무조건 사야 한다. 이동속도가 생각보다 빠른편이므로 거리를 좀 벌리고 던져야 한다. [48]
100번방과 온실에도 나올 수 있는데[49], 만약 제프 더 킬러가 나오고 스네어나 바나나에게 당했다면 보호막이 없는 이상 그냥 죽는다.
이렇게 문에 제프의 칼만 빼꼼 나오는 경우도 있어서 알 수 있는 경우도 있다. 문에 몸을 비벼도 대미지를 입으니 주의
또한 십자가가 안 통하니 주의하자.[50]
특이하게도 애니메이션이 따로 없다. 걸어다니는 모션도 없어서 그냥 차렷상태로 움직인다. 그저 제프 더 킬러의 시그니처 대사인 Go to sleep 말풍선이 머리 위에 뜨는 것이 전부.
이 녀석이 할렐루야 폭탄에 죽으면 "Argh, my head, my head gone, bruh". (아. 내 머리, 내 머리가 사라졌어 엄..) 효과음이 나온다.
6.1.3. 조건부로 확정적으로 등장
6.1.3.1. 그리드
<colbgcolor=#2d2f34><colcolor=#fff> 그리드 Greed | |
| |
등장 조건 | 골드를 연속으로 획득 시 출현 |
등장 플로어 | 슈퍼하드모드 |
공격 패턴 | 골드를 7연속으로 획득한 플레이어를 공격 |
전조 | 골드를 3회 이상 연속 획득 시 화면에 그리드의 얼굴이 나타남 |
대미지 | 100 |
봉인 가능 여부 | 봉인 불가능 |
폭사 가능 여부 | 폭사 불가능 |
사망 모션 | 쓰러짐 |
- 특징
러쉬 파생형 괴물과는 달리 무조건 즉사 판정은 아니라서, 보호막이 어느 정도 있다면 살 수 있지만 그리드에게 공격받아도 골드 스택이 바로 초기화되지는 않기 때문에 그리드에게 공격받은 직후 골드를 또 획득하면 다시 공격받으므로 주의.[51]
처음엔 좀 무섭겠지만 익숙해질수록 서랍 파밍도 맘 편히 못하게 하는 짜증나는 존재로 여겨질 것이다.
점프스케어는 어떤 남자의 괴성과 그리드를 확대시킨 화면이다.
이 항목에서 알 수 있듯이 원래는 Floor 2에서 나올법한 괴물을 한 익명의 팬이 상상으로 만들어낸 팬메이드 괴물이었으나, Depth, Silence와 함께 HOTEL+ 업데이트때 그림으로 추가되더니 만우절 업데이트로 Depth와 함께 잠시나마 등장하게 되었다.
6.1.4. 고유의 방에서 확정적으로 등장
6.1.4.1. 사악한 열쇠!!!
<colbgcolor=#2d2f34><colcolor=#fff> 사악한 열쇠!!! THE EVIL KEY!!! | |
| |
등장 조건 | 고유의 방에서 등장 |
등장 플로어 | 슈퍼하드모드 |
공격 패턴 | 가짜 열쇠를 획득한 플레이어를 습격 |
전조 | 열쇠에 0002라고 적혀 있음 |
대미지 | 즉사 |
봉인 가능 여부 | 봉인 불가능 |
폭사 가능 여부 | 폭사 불가능 |
사망 모션 | 쓰러짐 |
고유의 방 | 응접실 |
- 특징
진짜 열쇠는 1번 문 왼쪽에 있는 선반의 옆에 붙어있으므로 그것을 가져가자.[52]
점프스케어는 엑소시스트에 나오는 등장인물 중 하나인 리건 테레사 맥닐이며, 얼굴이 살짝 옆으로 늘려져 있다.
6.1.4.2. 뉴비 피규어
자세한 내용은 피규어(DOORS) 문서 참고하십시오.6.1.4.3. 존도우 피규어
자세한 내용은 피규어(DOORS) 문서 참고하십시오.6.1.4.4. 지프차 시크
자세한 내용은 시크(DOORS) 문서 참고하십시오.7. Retro Mode
2024 만우절을 기념하여 만들어진 모드, 전체적으로 2023년 만우절에 비해 난이도가 확 내려갔다. 중간중간에 오비가 있어서 점프맵을 잘 못하는 사람이라면 어려울 수도 있다 특히 시크의 방, 42층7.1. 적대적
7.1.1. 다음 방 문이 열릴 시 확률적으로 등장
7.1.1.1. 레트로 러쉬
자세한 내용은 러쉬(DOORS) 문서 참고하십시오.7.1.1.2. 레트로 앰부쉬
자세한 내용은 앰부쉬 문서 참고하십시오.7.1.1.3. 레트로 아이즈
자세한 내용은 아이즈(DOORS) 문서 참고하십시오.7.1.2. 매 틱마다 확률적으로 등장
7.1.2.1. 레트로 스크리치
자세한 내용은 스크리치(DOORS) 문서 참고하십시오.7.1.3. 조건부로 확정적으로 등장
7.1.3.1. 드라코블록서즈
<colbgcolor=#2d2f34><colcolor=#fff> 드라코블록서즈 Drakobloxxers | |
등장 조건 | 첫번째 문을 연 뒤 600초가 지난 경우 등장 |
등장 플로어 | 호텔[챗컨트롤], 광산[챗컨트롤], 레트로 모드 |
공격 패턴 | 플레이어를 추격 |
전조 | 으르렁거리는 소리와 함께 스폰. |
대미지 | 0.2초 당 10[55] |
봉인 가능 여부 | 봉인 불가능 |
테마곡 | Zero Project(제로 프로젝트) |
- 특징
600초가 지나면 으르렁거리는 소리와 함께 방의 입구에서 여러마리가 스폰된다. 43번 방 이후부터는 나오지 않는다.[57][58]
42층에서 시간이 끝났다 하더라도 드라코블록서즈가 점프맵 끝까지 쫓아오지 못하니 나왔다고 해도 포기하지 말자.[59]
여담으로 레트로 모드의 메인빌런이나 다름 없다.
7.1.4. 고유의 방에서 확정적으로 등장
7.1.4.1. 용암!!
<colbgcolor=#2d2f34><colcolor=#fff> 용암!! Lava!! | |
등장 조건 | 고유의 방에서 등장 |
등장 플로어 | 레트로 모드 |
공격 패턴 | 자신과 접촉 시 공격 |
전조 | 이 괴물이 있는 방의 문이 밝게 빛남 |
대미지 | 20 |
고유의 방 | 레트로 시크의 복도, 레트로 도서관, 레트로 전기실 |
봉인 가능 여부 | 봉인 불가능 |
- 특징
7.1.4.2. 시킹 벽!!!!
자세한 내용은 시크(DOORS) 문서 참고하십시오.7.2. 우호적
7.2.1. 고유의 방에서 확정적으로 등장
7.2.1.1. 레트로 피규어
자세한 내용은 피규어(DOORS) 문서 참고하십시오.7.2.1.2. 레트로 제프
자세한 내용은 제프(DOORS) 문서 참고하십시오.7.2.1.3. 레트로 엘 고블리노
자세한 내용은 엘 고블리노 문서 참고하십시오.7.2.1.4. 레트로 밥
<colbgcolor=#2d2f34> 레트로 밥 Retro Bob | |
<nopad> | |
<colcolor=#fff> 등장 조건 | 고유의 방에서 등장 |
등장 플로어 | 레트로 모드 |
도움 패턴 | - |
대미지 | 0 |
고유의 방 | 레트로 제프의 상점 |
- 특징
그리고 호텔에 있는 밥과 다르게 레트로 모드에선 밥이 쓰러져있다.
7.2.1.5. 뉴비
<colbgcolor=#2d2f34><colcolor=#ffffff> 뉴비 Noob
| |
등장 조건 | 고유의 방에서 등장 |
등장 플로어 | 레트로 모드 |
도움 패턴 | 게임을 클리어한 플레이어를 축하해줌[61] |
대미지 | 0 |
고유의 방 | 레트로 도착점[62] |
- 특징
8. Tower Heroes
타워 히어로즈 콜라보 한정으로 만들어졌던 도어즈 괴물들이다. 타워 히어로즈의 도어즈 맵에서 등장한다. 디펜스 게임에서 등장했다는 특성상 자신의 체력에 비례해 피해를 준다.8.1. 적대적
8.1.1. 특정 웨이브 마다 등장
8.1.1.1. 티모시 주니어
자세한 내용은 티모시(DOORS) 문서 참고하십시오.8.1.1.2. 홀
<colbgcolor=#2d2f34> 홀 Hole | |
<nopad>
| |
<colcolor=#fff> 등장 조건 | 타워 히어로즈 모든 도어즈 맵에서 등장 |
공격 패턴 | 특정 지점에 도착 시 플레이어 앞에 나와서 덮침 |
대미지 | 0(DOORS) 200 ~ 800 |
- 특징
도어즈 버전의 공식 이미지가 있다. 때문에 미스처비스 라이트와 함께 인게임에 추가될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됐으나 추가 가능성은 없다고 못박았다. 하지만 도어즈 2에서 비슷한 괴물이 등장하기도 한다.
8.1.1.3. 슬러지
자세한 내용은 시크(DOORS) 문서 참고하십시오.8.1.1.4. 핸즈
자세한 내용은 시크(DOORS) 문서 참고하십시오.8.1.2. 조건부로 확정적으로 등장
8.1.2.1. 보이디드
자세한 내용은 보이드(DOORS) 문서 참고하십시오.8.1.2.2. 미스쳐비스 라이트[63][64]
자세한 내용은 미스쳐비스 라이트 문서 참고하십시오.8.2. 우호적
8.2.1. 조건부로 확정적으로 등장
8.2.1.1. 치비
<colbgcolor=#2d2f34> 치비 Chibi | |
<nopad> | |
<colcolor=#fff> 등장 조건 | 타워 히어로즈에서 문고리로 구매,kart kid의 '러쉬'스킨 착용 |
도움 패턴 | 기지에서 아군 러쉬,앰부쉬를 소환함 |
대미지 | - |
- 특징
8.2.1.2. 버프 피규어
자세한 내용은 피규어(DOORS) 문서 참고하십시오.8.2.1.3. 팬시 시크
자세한 내용은 시크(DOORS) 문서 참고하십시오.8.2.1.4. 킹 엘 고블리노
자세한 내용은 엘 고블리노 문서 참고하십시오.9. 이스터에그
9.1. The Hotel
9.1.1. 다음 방 문이 열릴 시 확률적으로 등장
9.1.1.1. 섀도우[66]
<colbgcolor=#2d2f34> 섀도우 Shadow | |
<nopad>
| |
<colcolor=#fff> 등장 조건 | 다음 방으로 가는 문을 열었을 때 확률적으로 출현 |
등장 플로어 | 호텔, 광산, 슈퍼하드모드 |
공격 패턴 | - |
전조 | - |
대미지 | 0 |
봉인 가능 여부 | 봉인 불가능 |
수류탄 폭사 가능 여부 | 폭사 불가능 |
- 특징
플레이어가 다음 방으로 가는 문을 열 때 2000의 1 확률[67]로 등장하는 형체. 이름처럼 그림자에 가까운 형상을 가지고 있다. 플레이어를 아주 짧게 놀래키고 사라진다. 워낙 빠르게 깜빡이기 때문에 러쉬의 전조 현상으로 착각하는 사람들도 있다.
이 괴물의 이전 디자인이 두 개가 있다.
{{{#!folding 첫 번째 이전 디자인 (펼치기 · 접기)
{{{#!folding 첫 번째 이전 디자인 (펼치기 · 접기)
우리가 원래부터 흔히 알고 있는 이전 디자인. 이 괴물의 이전 디자인은 진짜 목을 매단 사람의 그림자 모습과 더욱 가깝다. 다만 자살이라는 민감한 소재가 너무 직접적으로 드러나고 있기에, 게임 출시 전, 현재 디자인으로 변경되었다.}}}
{{{#!folding 두 번째 이전 디자인 (펼치기 · 접기)
인게임 초기의 모습. 지금의 디자인에서 반전되고 좀 눌려져 있다. 그리고 이 모습은 타워 히어로즈에서 사용되었다.}}}
- 호텔에서 등장하는 이스터에그 괴물들중 유일하게 가벼운 분위기의 괴물이 아니다.[71]
- 가끔씩 로딩이 덜 되어서 흰색으로 등장할 때가 있다.
- 섀도우를 디자인한 디자이너[72]에 따르면 섀도우가 언젠가 다시 사용될수도 있다고 한다.
- 마찬가지로 홀트와 섀도우가 같이 나와서 홀트 방이 짙은 초록색이 아니라 시야가 좀 어둡지만 보통 방처럼 보이게 되는 경우가 있다.#
- 참고로 이름인 Shadow는 '섀도우'로 발음하는 것이 옳다, 왜 쉐가 잘못된 표현인지는 여기 참조.
- 룩맨과 매우 유사하게 생겼다. 이 때문인지 룩맨 사망 메시지에서 큐리어스도 플레이어가 호텔에서 봤던 거랑 비슷하다고 언급한다.
* 광산에서도 등장한다.
엔티티 효과음
*
▲섀도우가 등장 할 시 나오는 효과음 (귀갱 주의)
*
▲섀도우가 등장 할 시 나오는 효과음 (귀갱 주의)
9.1.2. 고유의 방에서 확정적으로 등장
9.1.2.1. 빌더맨
<colbgcolor=#2d2f34> 빌더맨 Builderman | |
<nopad> | |
<colcolor=#fff> 등장 조건 | 고유의 방에서 등장 |
등장 플로어 | 호텔, 슈퍼하드모드 |
공격 패턴 | - |
대미지 | 0 |
고유의 방 | 전기실 |
수류탄 폭사 가능 여부 | 폭사 불가능 |
- 특징
9.1.2.2. 크고 무서운 덩굴[파일명]
<colbgcolor=#2d2f34> 크고 무서운 덩굴 Big Scary Vine | |
<nopad> | |
<colcolor=#fff> 등장 조건 | 고유의 방에서 등장 |
등장 플로어 | 호텔, 광산 |
공격 패턴 | - |
대미지 | 0 |
고유의 방 | 정원, 광산 제프의 상점 |
- 특징
괴물이 아니라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평범한 식물이라면 가로등을 흐르는 폭포에서 저렇게 오래 잡고 있을 수 없다.
정원에서의 개체는 그냥 널부러져만 있어서 일반 식물로 생각할 수 있지만 광산에서의 개체와 모습이 100% 일치하고 파일명도 똑같다.
해외에선 해당 괴물이 250번 방이나 300번 방의 보스로 나올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75] 하지만 최근 개발자 Q&A에서 나온 사진에 서브 플로어의 테마가 정원 느낌이라 그곳에서 적대적인 과물로 출현할수도 있다.[76]
9.1.3. 소환할 시 확정적으로 등장
9.1.3.1. 트롤페이스[77]
<colbgcolor=#2d2f34> 트롤페이스 Trollface | |
<colcolor=#fff> 등장 조건 | 개발자의 장난으로 스폰[78] |
등장 플로어 | 호텔 |
공격 패턴 | 방 전체를 휩쓸고 지나감 |
전조 | 트롤페이스 특유의 노래가 들림 |
대미지 | 즉사 |
- 특징
나타나면 특유의 노랫소리를 내면서 달려오는데, 다름아닌 트롤링 노래로 유명한 I Am So Happy Finally Be Back Home.
죽을 때 사망 원인에도 있다.[80]
속도는 러쉬보단 빠르고, 앰부쉬보다는 느리다.[81]
9.1.3.2. 대머리 크릭[82]
<colbgcolor=#2d2f34> 대머리 크릭 Bald Kreek | |
<nopad> | |
<colcolor=#fff> 등장 조건 | 개발자가 장난으로 소환 |
등장 플로어 | 호텔 |
공격 패턴 | 방 전체를 휩쓸고 지나감 |
전조 | - |
대미지 | 즉사 |
- 특징
호텔+ 업데이트 이후 100번째 방에 대머리 크릭의 사진이 있는 방이 생겼다.[83][84] 엘리베이터 퍼즐을 푼뒤 피규어가 나오는 방에 들어가면 대머리 크릭의 사진이 있다. 이것 역시 개발자가 장난으로 넣어놓은 것 같다.
9.1.3.3. (구)A-60[85]
<colbgcolor=#2d2f34><colcolor=#fff> A-60 | |
등장 조건 | 개발자가 장난으로 소환 |
등장 플로어 | 호텔 |
공격 패턴 | 방 전체를 휩쓸고 지나감 |
전조 | - |
대미지 | 즉사 |
- 특징
위 처럼 개발자가 직접 소환한 거 외에 정상적인 경로로는 볼 수 없으며, 유튜브 등에 직접 봤다며 존재하는 영상은 대부분 외부 프로그램(치트)이며 자신이 직접 만든 서버에서 소환해 만든 연출이다.
과거에는 해당 괴물에 대해 밝혀진 게 별로 없어서 현재까지도 북미를 제외한 대부분의 사람들이 유튜브에 나온 주작, 허위 영상을 믿고 있다.
The Rooms의 A-60이 등장한 이후 더이상 개발자가 소환하지 않는다.
9.2. SUPER HARD MODE!!!
9.2.1. 조건부로 확정적으로 등장
9.2.1.1. 공백
<colbgcolor=#2d2f34><colcolor=#fff> 공백 blank | |
등장 조건 | 고유의 방에서 등장 |
등장 플로어 | 슈퍼하드모드 |
공격 패턴 | 자신의 뒷 부분에 접촉한 플레이어를 공격[86] |
전조 | - |
대미지 | 20 |
수류탄 폭사 가능 여부 | 폭사 불가능 |
- 특징
러쉬의 극초기 버전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9.2.2. 고유의 방에서 확정적으로 등장
9.2.2.1. 미로의 눈
<colbgcolor=#2d2f34><colcolor=#fff> 미로의 눈 Mase's Eye | |
등장 조건 | 고유의 방에서 등장 |
등장 플로어 | 슈퍼하드모드 |
공격 패턴 | 플레이어를 미로 속에 가둠 |
전조 | - |
대미지 | 0 |
고유의 방 | 정원 미로 |
수류탄 폭사 가능 여부 | 폭사 불가능 |
- 특징
정원 미로안에는 노란 글씨로 Stay With Me라는 글씨가 있고, 옆엔 미로의 눈이 있다.
미로의 눈은 동공이 3개여서 섬뜩한 분위기를 형성한다.
10. 유출된 괴물
유출된 괴물이다, 모든 괴물의 이름은 가칭 또는 파일명.몇몇은 광산에서 등장하지 않은 걸 보면 호텔+ 업데이트처럼 새로운 히든 플로어에서 등장하거나 추후 업데이트 될 플로어들에서 등장할 수도 있다.
10.1. 섀이드
<colbgcolor=#2d2f34> 섀이드 shade | |
<nopad> | |
<colcolor=#fff> 등장 조건 | – |
공격 패턴 | – |
대미지 | – |
혹은 이 캐릭터의 이름이 섀이드일수도 있다.[87]
10.2. 메쉬즈[추측]
<colbgcolor=#2d2f34> 메쉬즈 Meshes | |
<nopad> | |
<colcolor=#fff> 등장 조건 | 고유의 방에서 등장할 것으로 추정 |
공격 패턴 | 양 팔의 끝으로 플레이어를 찢어 죽일것으로 추정 |
대미지 | 즉사[추정] |
몸체나, 긴 팔다리 등이 있는 점 등 피규어와의 유사점이 많다.
피규어와 유사점이 많은걸로 보아 광산에서의 서든플로어에서 피규어와 비슷한 존재로 나올수도 있다.
10.3. 그라운드키퍼
<colbgcolor=#2d2f34> 그라운드키퍼 GroundsKeeper | |
<nopad> | |
<colcolor=#fff> 등장 조건 | - |
공격 패턴 | 낫을 휘두를것으로 추정 |
대미지 | - |
이름을 추정했을뿐인 다른 괴물들과 달리 제작자가 파일을 업로드할 때 직접 'GroundsKeeper'라고 칭하기도 했다.[90]아마도 말을 타고 있는 모습으로 나올 걸로 추정.
겉 외형이 허수아비와 매우 유사하다. 허수아비는 보통 밭에 있다. 플로어 2의 서브 플로어는 정원으로 추정되기에 정원에서 말과 함께 등장할수도 있다.
10.4. 말
<colbgcolor=#2d2f34> 말 Horse | |
<nopad> | |
<colcolor=#fff> 등장 조건 | – |
공격 패턴 | – |
대미지 | 40(추정)[91] |
더 콘텐츠 트레일러에선 러쉬의 역할로 등장했었다.[93]
10.5. 웨이드
<colbgcolor=#2d2f34> 웨이드 Wade | |
<nopad> | |
<colcolor=#fff> 등장 조건 | – |
공격 패턴 | – |
대미지 | 40(추정) |
정원 컨셉과 관련이 있어 광산+ 업데이트때 등장할 가능성이 있다.
10.6. 알마[추측]
<colbgcolor=#2d2f34> 알마 Alma | |
<nopad>
| |
<colcolor=#fff> 등장 조건 | - |
공격 패턴 | - |
대미지 | - |
앞서 서술한 메쉬즈에 비해 최근에 업로드된 괴물로, 위의 괴물들과 달리 전용 이미지가 3개나 올라와 있다는 점 등을 보면 러쉬 같은 포지션보단 아이즈같은 포지션에 더 가까운 괴물로 보인다.[95][96]
이름은 불명이나 파일명이 Alma인걸로 보아 알마일 확률이 높으나 블리츠의 경우[97]를 생각해보면 알마가 아닐 가능성도 있다.
이름인 Alma는 스페인어로 영혼이라는 뜻이다.
1번째 이미지 2번째 이미지 3번째 이미지
룸즈의 괴물들과 '전체적으로 글리치가 낀 모습'이라는 공통점을 공유하는것을 보면 추후 룸즈에 추가될 수도 있다.[98]
10.7. 옥토퍼스[임시명칭]
<colbgcolor=#2d2f34> 옥토퍼스 Octopus | |
<nopad> | |
<colcolor=#fff> 등장 조건 | – |
공격 패턴 | – |
전조 | – |
대미지 | - |
다만 챕터 2에 나오지 않는 걸로 보아 그럼블의 초기 모델링일 수도 있다.
옥토퍼스의 눈을 자세히 보면 웃고 있는걸로 보아 제프와 비슷한 포지션일 수도 있다.
10.8. 휴머노이드 엔티티
<colbgcolor=#2d2f34> '''{{{#!html <span style="text-shad Humanoid entity''' | |
<nopad> | |
<colcolor=#fff> 등장 조건 | - |
공격 패턴 | - |
전조 | – |
대미지 | - |
- 특징[추정]
11. 삭제되었거나 파일을 해킹해야만 볼 수 있는 괴물
11.1. 적대적
11.1.1. 다음 방 문이 열리거나 특정 오브젝트와 상호작용 시 확률적으로 등장
11.1.1.1. 모블
<colbgcolor=#2d2f34> 모블 Mobble | |
<nopad> | |
<colcolor=#fff> 등장 조건 | 장롱을 열 때나 다음 방으로 가는 문을 열었을 때 확률적으로 출현 |
공격 패턴 | 장롱이나 다음방으로 가는 문을 열 시 나타나 놀래킴 |
대미지 | – |
정황상 게임 분위기에 맞지 않는 디자인 탓에 삭제된 듯.
11.1.2. 다수의 방에서 확률적으로 등장
11.1.2.1. 잭 오 랜턴 샐리
자세한 내용은 샐리(DOORS) 문서 참고하십시오.11.1.3. 사망 이후 확률적으로 등장
11.1.3.1. 드립 오공
<colbgcolor=#2d2f34> 드립 오공 Drip Goku | |
<nopad>
| |
<colcolor=#fff> 등장 조건 | 사망 후 '로비로 돌아가기'를 눌렀을 때 낮은 확률로 출현 |
공격 패턴 | 화면에 나타나 '둥' 소리를 냄 |
전조 | - |
대미지 | 0[101] |
- 특징
일종의 외국 밈중 하나인데 제작자가 재미 삼아 넣은 듯 하다.
실제로 이 밈은 등장에 개연성이 없는 게 관건이다. 의외로 고증인 것.
11.1.4. 조건부로 확정적으로 등장
11.1.4.1. 이블달러[추측]
<colbgcolor=#2d2f34> 이블달러 Evildollar | |
<nopad> | |
<colcolor=#fff> 등장 조건 | 광산 업데이트 이전에 치트로 얻으면 안되는 아이템을 균열에 저장했을 때 그 아이템 대신 등장 |
공격 패턴 | 집을 시 이블 달러 대신 앰부쉬가 나오며 플레이어를 죽임 |
대미지 | 즉사 |
[1] 죽는 횟수를 통해 얻는 뱃지들의 경우 인게임에선 일중다수, 십중다수, 백중다수로 번역되었으나 어법상 X중다수는 X개 중 여러 개를 뜻하고 X of many는 여러 개 중 X개를 뜻하므로 X중다수보단 다중X수라는 표현이 어법상 맞다.[2] 삭제되었다.[3] 해당 사진은 진공 방에 스폰된 스네어로, 바닥에 가려져 보지 못했던 스네어의 모습을 볼 수가 있다. 스네어 관련 모드와 Vacuum Sealed 모드를 같이 적용하면 볼 수 있다.[4] 슈퍼 하드 모드 한정.[5] 광산 업데이트 전엔 10이었다.[6] I Love Pancakes!!! 모드를 적용했을 때 한정[7] 광산 업데이트 전엔 20이었다.[8] 스네어 관련 모드 한정[9] 온실에서 플레이어들이 긴장하게 하는 주범이다.[10] 이빨이 아닌 가시라고 부르는 사람이 있는데, 가시처럼 생겼으니 그럴법도하다.[11] 스네어의 색깔과 온실 바닥 색깔이 멀리서 본다면 비슷해보인다. 따라서 스네어가 있는지 여러번 확인해야 하는 상황이 오기도 하여 상당히 귀찮다.[12] 1 레벨 덫은 부서진 나무판자 더미,
2 레벨 덫은 시크의 점액,
3 레벨 덫은 부서진 밥,
4 레벨 덫은 스네어,
5 레벨 덫은 썩은 살점,
5 레벨 특수 덫은 십자가이다.[13] 위에 진공안에서 스네어가 생성되었을때의 스네어의 모습이 본체이다.[14] 보이드가 주는 대미지는 공격이라기에는 페널티에 가깝다.[15] 공식 명칭은 아니며, ost 이름에서 따온것. 후술할 Curious Light도 마찬가지.[16] 공식 명칭은 아니며, ost 이름에서 따온것. 전술한 Guiding Light도 마찬가지.[17] SUPER HARD MODE에서는 SKELETON BOB이라고 한다.[18] 현재는 The Haunt 이벤트가 끝나 더이상 볼 수 없게 되었다.[19] 사실상 시체가 맞다.[20] 플레이어는 스네어를 밟아도 죽지 않는데, 플레이어도 괴물들 만큼 비정상적인 존재이거나 당시 모디파이어가 적용된 상태로 밟아 죽었거나, 또는 스네어를 밟은 상태로 러쉬가 지나가 사망했을 가능성이 높다.[모드한정] 특정 모드가 있을 때 한정[22] 해당 가스가 발화성 물질이기에 DOORS에 나오는 라이터의 종류는 가스 라이터이며 화생방실 마찬가지로 다량의 열과 에너지가 방출하는 방이기에 거의 눈에 보이지 않는 기체 가스가 라이터의 불과 첩촉해서 폭사당한다.[23] 터지는 모습은 죽는 당사자는 볼 수 없고 옆에 있는 다른 플레이어들만 볼 수 있다.[죽은모습]
별에 별건 다 고치면서 이런 작은 버그는 안 고친다.[25] 특히 내리막길에서[26] 대미지가 속력에 비례하기에 이론상 무한으로 증가할 수 있다.[27] 방법이 있긴 하다. 번호가 없는 문을 열었을 때 확률적으로 나오는 원형 철길이 깔린 구조에서, 한쪽 방향으로 수레를 두 번에서 세 번 밀고 즉시 반대 방향으로 걸어가면 혼자서도 대미지를 받을 수 있다.101번 방에서 나무 판자를 부수고 두번정도 위쪽으로 밀고 반대편에서 맞으면 20 대미지정돈 받을수 있다[28] 현재는 방만 남았고 홀트는 세 갈래 다리로 옮겨졌다.[29] 당연히도 대미지를 받지 않는 속도여야 한다.[30] 혹은 가이딩 라이트가 쥐를 싫어해서 봉인 했을수도 있다.[31] 거래를 무한정으로 하는걸 막기위한거 같다.[32] 나머지 하나는 헤이스트.[33] 양초, 달빛 양초, 셰이크 라이트, 스무디, 달빛 칵테일, 별빛 물약, 십자가, 소지 불가 아이템, 이벤트 모드 아이템[34] 점프스케어는 볼만한 게 없다. 왜냐면 기본 러쉬를 제외하면 괴물 사진이 클로즈업되고 허접한 비명이 나오고 끝. 비명의 원본은 인간 여성 비명 버전 3이라는 상업용 효과음이다.[35] 2번 방 이후로 나온다.[챗컨트롤] 챗 컨트롤 모드 한정[챗컨트롤] [38] 실제로 있는 로블록스 모델을 기반으로 했다. 이는 로블록스 게임 '죽어보기'에 가면 볼 수 있다.[39] 하지만 대미지를 받지 않는다.[모드한정] 특정 모드가 있을 때 한정[모드한정] 특정 모드가 있을 때 한정[42] 쫓던 플레이어가 죽거나 길이 막힐 시 다른 플레이어를 쫓거나 더 이상 쫓아오지 않는다.[43] 놀라운건 업데이트를 할때마다 데미지가 점점 는다는 것이다...[44] 가끔 바나나와 스폰위치가 겹쳐 넘어지면서 효과음이 나와 제프의 존재를 플레이어가 미리 알아챌 수 있긴 하다.[45] 옷장에 의해 문이 막혀 웅크려 들어가야 하는 방 등의 경우 따라오지 못한다.[46] 바나나를 13번 밟으면 죽는다는 말이 유튜브에 나왔지만 날라가기만 할 뿐 죽지 않는다.[47] 다만 운이 지지리도 없는 플레이어는 이 녀석을 죽이고 다음 문을 열자마자 또 나타나 플레이어를 죽인다.[48] 제프 더 킬러가 바나나를 밟도록 유인해서 바나나를 밟게하는 것도 방법이다.[49] 90번 방에서는 확정적으로 나온다.[50] 괴물이 아니라 인간 형태의 살인마 그 자체라 그런 듯.[51] 부활해도 스택은 사라지지 않아서 부활하고 코인 딱 한번 먹으면 죽는다.[52] 선반과 기둥 사이에 비비면 자동으로 먹어진다.[챗컨트롤] [챗컨트롤] [55] 틱대미지로 부여하며, 아이즈에 버금가는 속도다.[56] 대표적인 로블록스의 롱런 고전게임인 Work at a Pizza Place와 동년배 게임으로 현재는 알 수 없는 이유로 삭제되었다. 하지만 Dogutsune란 유저가 재개발하여 복구하였다.[57] 드라코블록서즈가 나온뒤에 부활을 하면 부활하자마자 드라코블록서즈에게 둘러싸여 아까운 목숨만 날릴 수도 있다.[58] 참고로 드라코블록서즈가 나온 시점에서 게임을 진행하려는 시도 자체가 불가능한데, 방의 입구에서 스폰된다는 건 플레이어가 문을 연 다음방의 입구에서도 스폰된다는 것이니 다음방의 문을 열자마자 드라코블록서즈들에게 둘러싸여 죽을수도 있다.[59] 다만 42층에서 실수를 해서 떨어진다면 시작점으로 돌아갈때 드라코블록서즈와 마주쳐서 죽을 확률이 높아진다.[60] 아까도 말했지만 체력을 한번에 40이나 깎기 때문에 자주 억까를 당하기 때문.[61] 이게 끝이다(...).[62] 정확히는 43번 방[63] 정식 명칭이 아니다.[64] 또한 레드 라이트(Red Light)라고도 한다.[65] 이때 5레벨에서 앰부쉬를 소환하면 초창기 모습처럼 붉은 모습의 앰부쉬도 볼 수 있다.[66] 과거 팬들이 만들어낸 비공식 명칭이였으나 제작자가 공식 이름으로 인정했다.[67] 0.05%로, 문을 열었을 때 잭이 등장할 확률과 같다.[68] 소리도 약간 닮았다.[69] 레드룸 포함.[70] 자세히 보면 문을 가이딩 라이트가 빛내고 있으며, 전등도 빛나는 상태가 아닌 꺼진 상태인데 켜진것 마냥 방이 환하고, 열쇠를 찾다가 원래 어두운 방에서만 나오는 스크리치가 눈앞에 나타났다.[71] Window는 웃는 얼굴인 괴물이며,Builderman은 로블록스의 개발자로 이스터 에그로 숨어있는 것이며 Drip Goku,Trollface는 인터넷 밈이며, Bald Kreek은 개발자가 KreekCraft를 놀리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72] Ghostly Wowzer[73] 확률은 약 0.00025%에 육박한다.[파일명] [75] 덩쿨로 감싸져서 만들어진 괴물이 나오거나 나무로 나올수 있다.나무에도 덩쿨이 있기 때문.[76] 이게 맞다면 광산에서의 서브 플로어 출입구는 해당 괴물이 있는 제프상점일수도 있다.[77] 슈퍼하드모드의 개체와는 별개의 개체이다.[78] 정확히는 장난으로 인해 존재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했을 때.[79] 영상에서 처음 이 괴물에게 죽은 장면에서 시크에게 죽었다고 나온다.[80] Died to Trollface라고 뜬다. 근데 지금은 SUPER HARD MODE!!! 말고는 제작자가 소환을 안 하기에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81] 러쉬<트롤페이스<앰부쉬[82] 슈퍼하드모드의 개체와는 별개의 개체이다.[83] 현재는 볼 수 없지만 현재 어드민으로 다시 볼 수 있게 되었다.[84] SUPER HARD MODE에서 100층 차단기실의 썩은 살점과 선반 사이에 있다.[85] 룸즈의 개체와는 별개의 개체이다.[86] 데미지 받기가 조금 어려운 편이다. 공백의 뒷부분에 비비면 쉽게 데미지 받을 수 있다.[87] 섀이드란 이름은 홀트의 초기 파일명이지만 아이즈의 초기 파일명이였다가 아예 같은 이름으로 새로 만들어진 룩맨처럼 섀이드라는 이름이 재활용될 가능성이 있다.[추측] 파일명을 토대로 추측한 이름.[추정] [90] 이름을 굳이 번역하자면 '땅속의 문지기'같은 느낌이 될것이다.[91] 시크 추격전에서 떨어진 샹들리에에서 옮겨붙은 불이나 시크의 팔 같은 부가적인 요소들도 대미지를 줬던 사례를 생각하면 대미지를 줄 수도 있다.[92] 그러나 위의 그라운드 키퍼와 색깔이나 재질이 똑같은 것으로 보아, 그라운드 키퍼가 타고 다닐 확률도 있다.[93] 추측으로는 괴물 커스텀 기능을 홍보하려고 한걸 수도 있다.[추측] [95] 러쉬와 엠부쉬, 블리츠도 전용 이미지는 하나뿐이였다.(기본 페이스)[96] 다만 위의 하이드의 새로운 디자인으로 인해 인지도가 확 상승한 후 잠잠해질때 조용히 업로드된 괴물이여서인지 인지도가 그리 높진 않다.[97] Images/rushs brother/sister LORE LORE LORE[98] 만약 추가된다면 A-30 혹은 A-150으로 나올 확률이 높다. 룸즈 괴물들의 번호는 모두 30의 배수이기 때문이다.[임시명칭] [추정] [101] 애초에 사망 후에 만날 수 있는 괴물이다.[102] 0.0125%[103] 러쉬와 다르게 시간차가 아닌 둥!하고 끝이다.[104] #1 #2 #3 #4 #5 #6[추측] 파일명이나 데이터베이스명 등을 토대로 추측한 이름으로, 실제 인게임과는 차이가 날 수 있음.[106] 플로어 2 업데이트 이전 가위, 제프의 팁 통 등
2 레벨 덫은 시크의 점액,
3 레벨 덫은 부서진 밥,
4 레벨 덫은 스네어,
5 레벨 덫은 썩은 살점,
5 레벨 특수 덫은 십자가이다.[13] 위에 진공안에서 스네어가 생성되었을때의 스네어의 모습이 본체이다.[14] 보이드가 주는 대미지는 공격이라기에는 페널티에 가깝다.[15] 공식 명칭은 아니며, ost 이름에서 따온것. 후술할 Curious Light도 마찬가지.[16] 공식 명칭은 아니며, ost 이름에서 따온것. 전술한 Guiding Light도 마찬가지.[17] SUPER HARD MODE에서는 SKELETON BOB이라고 한다.[18] 현재는 The Haunt 이벤트가 끝나 더이상 볼 수 없게 되었다.[19] 사실상 시체가 맞다.[20] 플레이어는 스네어를 밟아도 죽지 않는데, 플레이어도 괴물들 만큼 비정상적인 존재이거나 당시 모디파이어가 적용된 상태로 밟아 죽었거나, 또는 스네어를 밟은 상태로 러쉬가 지나가 사망했을 가능성이 높다.[모드한정] 특정 모드가 있을 때 한정[22] 해당 가스가 발화성 물질이기에 DOORS에 나오는 라이터의 종류는 가스 라이터이며 화생방실 마찬가지로 다량의 열과 에너지가 방출하는 방이기에 거의 눈에 보이지 않는 기체 가스가 라이터의 불과 첩촉해서 폭사당한다.[23] 터지는 모습은 죽는 당사자는 볼 수 없고 옆에 있는 다른 플레이어들만 볼 수 있다.[죽은모습]
별에 별건 다 고치면서 이런 작은 버그는 안 고친다.[25] 특히 내리막길에서[26] 대미지가 속력에 비례하기에 이론상 무한으로 증가할 수 있다.[27] 방법이 있긴 하다. 번호가 없는 문을 열었을 때 확률적으로 나오는 원형 철길이 깔린 구조에서, 한쪽 방향으로 수레를 두 번에서 세 번 밀고 즉시 반대 방향으로 걸어가면 혼자서도 대미지를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