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word-break:keep-all" | 지상파 | 공영방송 | |
( | ) | | ( | ) | |||
민영방송 | |||
| | | | | | | | | (독립) | (독립) | |||
종합편성채널 | |||
| | | | |||
보도전문채널 | |||
파일:YTN 로고 화이트.svg | | |||
복수채널사업자 | |||
채널 사용 사업자 문서 참고 | |||
일반채널사업자 | |||
<colbgcolor=#fff,#1c1d1f>유료방송채널/목록 문서 참고 | |||
플랫폼 | IPTV | | | ||
위성방송 | |||
케이블 MSO (헬로tv) | | | | | |||
케이블 개별 SO (경기) | (인천) | (대구) | (울산) | (경남) | (충북) | (전북) | (광주) | (제주) | |||
제도 | |||
<colbgcolor=#fff,#1c1d1f> 영상물 등급 분류 제도 ·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시청 등급 분류 제도 · 애니메이션 의무 편성 제도 · 국산영화 의무 상영 제도 · 공동체 라디오 · 직접사용채널(케이블 지역방송) | |||
기관 | |||
방송통신위원회 · 방송통신심의위원회 | |||
분류 | |||
방송 · 뉴스 · 드라마 · 예능 · 교양 · 영화 · 애니메이션 · 라디오 · 매체별 방송 · 인터넷 방송 · 케이블 방송 · 텔레비전 방송 · 대한민국의 방송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047a0> 가톨릭 | |
개신교 | | | | | | | |
불교 | | | |
원불교 | ||
기타 | [A] | |
[A] 공식적으로는 종교방송이라고 주장하지 않는다. |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라디오 방송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word-break:keep-all" | 종합 방송 | 공영방송 | ||
( | | ) | () | () | ||||
민영방송 | ||||
() | () (독립) | (독립) | ||||
종교방송 | ||||
<colbgcolor=#fff,#1c1d1f> (표준FM) | | ||||
() | ||||
음악 | 국영방송 | |||
공영방송 | ||||
( | | ) | () | ||||
민영방송 | ||||
() | () | (드림FM) | (MyFM) | (파워FM) | (그린FM) | (매직FM) | (조이FM) | (Fresh FM) | (뉴파워 FM) | ||||
종교방송 | ||||
<colbgcolor=#fff,#1c1d1f> (음악FM) | ||||
| | ||||
군사 | () | |||
국내 방송사 운영 | ||||
| | | | | ||||
주한미군 운영 | ||||
| | ||||
| | | 서대문공동체라디오 | 단원FM | SoneFM | | | | | 옥천FM | | 성주FM | GBS고려방송 | | 한밭FM | 태백FM | 영월FM | 상주FM | | 전주FM | 대구동구FM | ||||
DMB 스트리밍 | | | | |||
인터넷 EBS 반디 외국어 전문 · CBS JOY4U · CTS라디오 · | ||||
관련 틀과 문서 | ||||
대북방송 목록 | 공동체 라디오 | 수신 주파수 | 수신 애플리케이션 | ||||
방송 프로그램 문서 | ||||
| | |
지역 방송국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수도권 | |||||||
부산, 경남 | 광주, 전남 | 대구, 경북 | 충북, 세종 | |||||
강원 영서 북부, 강원 영동 일부 | 울산 | 제주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FFF,#1F2023> | 재단법인 불교방송 財團法人 佛敎放送 Buddhist Broadcasting System | }}} | ||
행복한 나를 찾는 길 | |||||
명칭 | 국문 | BBS불교방송 | |||
한문 | BBS佛敎放送 | ||||
영문 | Buddhist Broadcasting System | ||||
설립 | 1989년 3월 2일 | ||||
개국 | TV | 2008년 12월 2일 | |||
라디오 | 1990년 5월 1일 | ||||
채널 | TV | BBS TV | |||
라디오 | BBS RADIO | ||||
링크 | 홈 | [[http://www.bbsi.co.kr|]] | |||
사장 | 서진영 | ||||
위치 및 소재지 | BBS 불교방송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20 (마포동) |
[clearfix]
1. 개요
1990년 불교계 각 종단과 단체, 불교인들의 후원으로 설립한 불교 방송국이다. 약칭은 BBS(Buddhist Broadcasting System). BTN불교TV와는 다른 방송국으로 한국방송협회에 가입된 지상파 라디오 방송사이자 언론사이다.1990년 5월 1일부터 수도권에서 라디오가 개국한 뒤 지역 여러 곳에서 세워졌으며, 2008년 12월 2일부터 TV 방송에 진출했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20(마포동 140)에 소재한 대한불교진흥원 본부(다보빌딩)[1][2]에 있다. 마포대교 바로 옆이다.
2. 지역방송국
- 부산불교방송
개국일 : 1995년 2월 1일
- 광주불교방송
개국일 : 1995년 3월 1일
- 대구불교방송
개국일 : 1996년 11월 11일
- 청주불교방송
개국일 : 1997년 4월 25일
- 춘천불교방송
개국일 : 2002년 11월 1일
- 울산불교방송
개국일 : 2008년 6월 30일
- 제주불교방송
개국일 : 2018년 9월 9일
- 전북불교방송
개국일 : 2025년 6월 개국 예정
- 대전불교방송
개국일 : 2025년 7월 개국 예정
3. 방송지표[3]
* 참된 말씀을 바로 펴는 방송
* 온 겨레를 하나로 묶어주는 방송
* 치우침 없는 생각을 이끌어가는 방송
* 우리 것을 새롭게 만들어 가는 방송
* 나누는 기쁨을 함께하는 방송
* 온 겨레를 하나로 묶어주는 방송
* 치우침 없는 생각을 이끌어가는 방송
* 우리 것을 새롭게 만들어 가는 방송
* 나누는 기쁨을 함께하는 방송
4. 로고
국문 | 영문 |
5. 사가
BBS불교방송 사가(社歌) | |
<colbgcolor=#BE9A34> 1절 | 마음을 활짝 열어요 하나되는 우리의 기쁨 오늘의 삶을 가꿔요 희망의 내일 키워요 |
2절 | 진리와 슬기 가득히 하나되어 넘치는 세상 우리 함께 만들어요 손잡고 나아가요 |
후렴 | 새로운 방송 좋은 방송 BBS불교방송 |
BBS불교방송 라디오의 매일 오전 2시 방송 종료와 오전 4시 방송 개시 전 들을 수 있다.
6. 역대 임원
6.1. 이사장
- 1대 의현 (1989~1993)
- 2대, 4대, 6대 종하 (1993~1997/2006~2007/2013~2021)
- 3대 도후 (1997~2006)
- 5대 영담 (1997(대행)/2007~2013)
- 7대 정문 (2021~2022)
- 8대 덕문 (2022~ )
6.2. 사장
- 1대 장상문[4] (1989~1992)
- 정인섭 사장대행 (1993)
- 2대 김태호 (1993~1995)
- 강한필 사장대행 (1995~1996)
- 종하 사장대행 (1995)
- 3대 조해형 (1996~1997)
- 서돈각 사장대행 (1997~1998)
- 4대 성낙승 (1998~2000)
- 도후 사장대행 (2000/2004)
- 5대 김규칠 (2000~2004)
- 6대 이성언 (2004~2006)
- 7대 홍승기 (2006~2007)
- 영담 사장대행 (2007~2008)
- 최명준 사장대행 (2008~2009)
- 김영일 사장대행[5] (2009~2011)
- 8대 이채원[6] (2011~2015)
- 9대 선상신 (2015~2019)
- 종하 사장대행 (2019)
- 10대 이선재 (2019~2023)
- 사장 직무대행 성기홍[7] (2024)
- 11대 서진영 (2024~현재)
6.3. 아나운서, 라디오 DJ
- 이준기
- 김한나
- 김현회
- 강현구
- 오승진
- 최은경
- 정준영
- 이효주
- 주병선
- 전경윤
- 전영신
- 김성애
- 김명석
- 함인경
- 김희진
7. 채널
7.1. 라디오
자세한 내용은 불교방송/라디오 문서 참고하십시오.7.2. 텔레비전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1F2023> | BBS TV 불교텔레비전방송국 | }}} | ||
개국 | 2008년 12월 2일 | ||||
채널 구분 | 유료방송채널 | ||||
운영 유형 | 민영 종교방송 | ||||
채널번호 | 180[8] | 296[9] | 232[10] | 276[11] | ||||
방송 품질 | 화질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BE9A34,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FHD 1080/60i)], | |||
음향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BE9A34,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돌비 디지털 스테레오)] | ||||
언어 | 한국어 | ||||
운영 | BBS TV제작국 | ||||
소유 | 재단법인 불교방송 | ||||
송출 | KMH(KX이노베이션) |
여기서 언급하는 채널은 스카이라이프와 IPTV 기준이다. 케이블 방송은 링크를 참고.
자체 송출 설비가 없어, KMH(KX이노베이션)에서 송출 대행을 담당한다.
7.2.1. 로고송
남자 버전: 소중한 만남 향기로운 방송 BBS불교방송여자 버전: 소중한 만남 아름다운 방송 BBS불교방송[12]
[1] 60계 치킨이 바로 뒷편에 있고, 지하 1층에 수타짜장 맛집 현래장이 있어 방송국인데도 불구하고 점심시간에 인원이 몰린다.[2] 1960년대에 마포 차고지가 있었으며 은방울자매의 마포종점의 배경이 되었다. 1990년대 후반에는 해태그룹의 사옥으로 쓰이기도 했다.[3] 매일 오전 2시 방송 종료 멘트와 오전 4시 방송 개시 멘트에서 낭독한다.[4] 동국제강 창업주 장경호의 차남으로, 유엔 한국대사 및 청와대 국방외교비서관, 외무부 차관보 역임.[5] 전 MBC 보도제작국장, 강릉MBC 사장.[6] 전 MBC 윤리경영실장, 강릉MBC 사장.[7] 전 국민체육진흥공단 스포츠본부장, LG 스포츠과학정보센터장, 바이탈식스랩 대표이사.[8] 스카이라이프[9] B tv[10] olleh tv[11] U+tv[12] 라디오 로고송에서 FM만 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