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9 08:23:45

AIM-4 팰콘

AIM-4 팰컨에서 넘어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의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AIM-4 AIM-7 AIM-120 AIM-260

파일:AIM-4FG.jpg
AIM-4F와 G. 최후기형 모델이다.
1. 개요2. 제원3. 개발과 종류
3.1. AIM-26 뉴클리어 팰콘3.2. AIM-47 팰콘
4. 운용 기체5. 기타6. 관련 문서7. 둘러보기

Air Intercept Missile 4 Falcon / AIM-4 Falcon[1]

1. 개요

미 공군이 1956년에 최초로 도입한 공대공 유도미사일. 하지만 성능상으로 AIM-7AIM-9에게 밀려 한정적으로 사용되게 된다. AIM-54의 먼 조상 쯤 되는 물건.

2. 제원

이름 AIM-4C/D
종류 공대공 미사일
생산 휴즈
유도 방식 적외선/반능동 레이더 유도 방식
길이 2m(78인치)
날개길이 51cm(20인치)
직경 16cm
발사 중량 54kg
속도 마하 3
사정거리 9.7km
탄두 1.24kg HBX-1 고폭탄두
이름 AIM-4F/G
종류 공대공 미사일
생산 휴즈
유도 방식 적외선/반능동 레이더 유도 방식
길이 2.06m(81.1인치)
날개길이 61cm(24인치)
직경 16.8cm
발사 중량 66kg
속도 마하 3
사정거리 11.3km
탄두 2.26kg HBX-3 고폭탄두[2]

3. 개발과 종류

파일:F-106AIM-4.jpg
AIM-4F를 발사하는 F-106A.

본래 AIM-4는 전투기가 폭격기 요격용으로 사용할 AAM-A-1 파이어버드와 나뉘어 개발되던 폭격기의 자체방어용 미사일이였고, 장착도 튜브형 발사관에 넣는 방식이였다. 하지만 파이어버드의 심각하게 떨어지는 성능으로 인해 AIM-4가 파이어버드의 역할을 함께 맡게 된다.

이후 튜브 발사관을 버리고 통상적인 미사일 장착 방식으로 바뀌게 되며, 이로 인해 반능동 레이더 유도 방식 말고도 적외선 유도 시커를 달 수 있게 된다. 날개도 AIM-54와 비슷한 형상이 된다.

AIM-4A~D까지는 큰 개조가 이루어지지 않은 오리지널 시리즈로, 탄두의 위력은 부족했으며 덜떨어진 시커로 인해 끔찍한 성능을 자랑했다. 유도가 제대로 시작되더라도 종합적으로는 AIM-9B 수준의 성능이 한계였다. 베트남전에서는 겨우 5기밖에 격추시키지 못 했으며, 유명한 베트남전의 에이스인 로빈 올즈도 "우리 모두가 AIM-4를 싫어했다. 7~8발을 쐈는데도 단 한 발도 유도조차 시작하지 못 했다." 라며 혹평했다. 결국 베트남전에서는 AIM-9에게 밀려 사장되게 된다. AIM-4를 달게 되어 버린 F-4D의 배선을 개조해 억지로라도 AIM-9을 달았던 수준이였다.[3] 의외의 사실로 AIM-4C는 수출도 꽤 되어, 스위스의 미라주 IIIS, 캐나다의 CF-101, 스웨덴의 J35 드라켄과 JA37 비겐도 사용했다.

AIM-4E, F와 G는 일명 슈퍼 팰콘이라는 이름으로 개발을 시작한 물건으로, 약간 커진 사이즈가 특징이다. 개선된 시커, 오래 타며 더욱 강력해진 로켓 모터[4]와 개선된 탄두 위력을 자랑했다. 다만 AIM-4F와 G가 개발된 시점엔 이미 대부분이 AIM-9이나 AIM-7으로 갈아탄 지 오래였기 때문에, 내부 무장창이라는 한계로 별 다른 선택지가 없었던 F-106이 쓰게 된다. 유도 성능이나 기동성은 AIM-9J보다는 떨어졌지만 AIM-9E보다는 나은 수준이였다. 하지만 끝까지 근접신관은 달리지 못 했다.[5] 특이한 사항으로, AIM-4G는 MA-1 사통장치를 필수적으로 요구했다.

AIM-4는 이후 핵탄두를 쓰는 AIM-26[6]XF-108YF-12에 쓰려 했던 AIM-47로 발전하게 된다. 이 중 AIM-47은 AIM-54의 직접적인 조상이 된다.

3.1. AIM-26 뉴클리어 팰콘


파일:AIM-26missile.jpg
이름 AIM-26A/B
종류 공대공 미사일
생산 휴즈
유도 방식 반능동 레이더 유도 방식
길이 2.14m(84.25인치)
날개길이 62cm(24.4인치)
직경 29cm
발사 중량 92kg
속도 마하 3
사정거리 8~16km
탄두 W54 핵탄두 (0.25~1.5KT급) / 22kg 고폭탄두

크기를 키워 핵탄두를 장착한 모델. 그 덕분에 뉴클리어 팰콘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부가적으로 근접신관도 붙게 된다. A형과 B형이 있으며, 이 중 B형은 통상탄두형으로 타국에 수출도 되었다.

이 미사일은 실제로 발사가 되지 않아서 망정이지, 만약 실전투입이 되었다면 아군 오사 피해가 굉장히 심각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제원에서 볼 수 있듯 사거리는 8~16km 밖에 되지 않는데, 핵탄두를 장착했을 경우 그 위력은 0.25~1.5KT까지 올라가기 때문이다. 즉 이 미사일은 최대사거리에서 발사되더라도 반능동 레이더라서 끝까지 적기를 물어야 해 필연적으로 적기에 근접한다는 점, 핵무기가 EMP를 생성한다는 점 등으로 인해 격추되는 적기도 많았겠지만 그만큼 아군기도 많이 죽이는 팀킬을 했을 가능성이 있다.

AIM-26B의 스웨덴 수출형인 RB27은 현지에서 추가적인 개조가 이루어져 미국의 것보다 신뢰성이 더 높은 근접신관을 장착하게 된다.

3.2. AIM-47 팰콘


파일:xaim-47a.jpg
사진 왼쪽의 미사일. 오른쪽은 AIM-54 피닉스다.
이름 XAIM-47A
종류 공대공 미사일
생산 휴즈
유도 방식 반능동 레이더 유도 방식[7]
길이 3.82m
날개길이 83.8cm
직경 34.3cm
발사 중량 371kg
속도 마하 4
사정거리 160km [8]
탄두 45kg 고폭탄두

최후의 팰콘 계열 미사일. 이전 모델들의 개선점들을 모두 가져옴과 동시에 AIM-26보다 크기가 더욱 커졌으며, 사거리도 비약적으로 늘어났다. XF-108YF-12가 사용하려 했으나 두 기체 다 계획이 취소되어 AIM-47도 개발이 중단되어 버린다. 디자인에서부터 알 수 있듯이, 이 미사일은 AIM-54 피닉스의 직접적인 조상이다.[9]

AIM-47 중 일부는 AGM-76 이라는 이름의 대레이더 미사일로 개조되기도 했는데, 스펙상의 성능 자체는 AGM-45 슈라이크보다 좋았으나 시험발사 몇 번만 해보고 프로젝트가 폐기되었다.

4. 운용 기체

5. 기타

근접신관이 달려있지 않았으며, 이로 인해 적기에 직격하지 않는 이상 아무런 효과도 내지 못 했다. 떨어지는 유도 성능과 함께 작용해 악평에 큰 몫을 했다.

일단은 공대공 미사일이지만 특이하게도 F-102가 억지로 지상 공격용으로 쓴 적이 있다. 야간 한정으로 적외선 시커를 단 버젼만 가능했다.

스위스군에서도 AIM-26B와 HM-55S를 도입하여 Falco(팔코)라는 별명을 붙여 미라주 IIIS에 장착해 사용했다.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파일:스위스 국기.svg 현대 스위스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스위스군 (1945~현재)
Schweizer Armee
<colbgcolor=#DA291C><colbgcolor=#DA291C>{스파이크 LR2} | NLAW | PAL BB 77 드래곤R
탑재형
기갑차량
{스파이크 LR2} | PAL BB 85 TOW | PAL BB 65 BANTAMR
공대지
고정익기
Flz Lwf LB 66 "NORAS"R | Flz Lwf LB 82 매버릭R
유도포탄
지대지
12cm Mw int G 96 STRIX (120mm, Mö 16) | 15,5cm Kan int G 01 SMArt (155mm, Pz Hb M109)
L Flab Lwf BL 94 스팅어
단거리
Mob Flab Lwf 레이피어R
장거리
{BODLUV GR 패트리어트} | Flab Lwf BL 64 블러드하운드R | RSA | RSC/D | RSE 크린스
단거리
Flz Lwf LL AIM-9X "SIWA" | Flz Lwf LL (63/80 · 63/90 · 63/91) | Flz Lwf LL (63 · 63/75)R
중장거리 Flz Lwf LL (64 · 64/79) "팔코"R | Flz Lwf LL 97 · AMRAAM 120C-7
※ 윗첨자R: 퇴역 무장
취소선: 개발 취소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파일:그리스 국기.svg 현대 그리스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colbgcolor=#0D5EAF><colcolor=#FFF><colbgcolor=#0D5EAF><colcolor=#FFF>BGM-71E TOW 2A | 밀란 (F1/F2) | 9K111 파곳
탑재형
기갑차량
스파이크 NLOS | 9K135F 코넷-E | BGM-71C I-TOW
소형함선
스파이크 NLOS | SS.12R
공대지
회전익기
스파이크 NLOS | AGM-114(F/K/L/M) 헬파이어 | AS.12R
고정익기
AGM-65(A/B/G2) 매버릭 | AGM-12B 불펍R
'''[[지능탄|
유도포탄
]]'''
지대지
SMArt 155 (155mm, PzH2000)
공대지 (ALCM)
SCALP-EG
함대지
SCALP-나발
MGM-140A ATACMS 블록 I
함대함
MM40 블록 II/III 엑조세 | RGM-84(G/D) 하푼 블록 1G/1C | MM38 엑조세R | RGM-84A 하푼 블록 1AR | 펭귄 Mk.2 Mod 3R
잠대함
UGM-84D 하푼 블록 1C
공대함
AM39 블록 II 엑조세 | AGM-119 펭귄 Mk.2R
지대함
MM40BC 블록 II 엑조세
대잠미사일 RUR-5A Mod 4 ASROCR
어뢰
경어뢰
{MU90 임팩트} | Mk.46 Mod (2/5) | Mk.44 Mod 1R
중어뢰
SUT Mod (0/4) | SST-4 Mod 0 제알R | Mk.37 Mod 3R
보병
FIM-92(A/C/E) 스팅어 | FIM-43 레드아이R
차량
FIM-92E (험비 ASRAD)
단거리
9K331 토르-M1 | 9K33M2 오사-AK | 크로탈 NG
중거리
RIM-7M (스카이가드) | MIM-23(B/C/E) I-호크R
장거리
MIM-104E PAC-2 GEM | MIM-104F PAC-3 CRI | S-300PMU1 (48N6E)R | MIM-14B 나이키 허큘리스R
'''
CIWS
'''
RIM-116(B/C) RAM 블록 1/2
'''
개함방공
'''
RIM-162C ESSM | RIM-66E SM-1MR 블록 VI | RIM-7(PR/M) 시스패로우 | 아스피데R
'''
함대방공
'''
{아스터 30 블록 1 NT}
단거리
IRIS-T | AIM-9(L/M) 사이드와인더 | R.550 매직 II | AIM-9(F/P-4/J)R | AIM-4C 팰콘R
'''
중장거리
'''
미티어 | AIM-120(AR/B/C-5/C-7) AMRAAM | MICA-(IR/EM) | 쉬페르 530D | AIM-7(E/M) 스패로우R
{AGM-88E AARGM} | AGM-88B HARM
유도폭탄 AGM-154C JSOW | SPICE (1000/2000) | GBU-31 JDAM | GBU-(48/49/50) 인핸스드 페이브웨이 | GBU-(24/27) 페이브웨이 III | GBU-(10/12/16) 페이브웨이 II | GBU-8 HOBOSR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대표 발사 플랫폼
}}}}}}}}}


파일:핀란드 국기.svg 현대 핀란드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0px;"
핀란드 방위군 (1945~현재)
Puolustusvoimat | Försvarsmakten
<colbgcolor=#FFF><colcolor=#002F6C><colbgcolor=#FFF><colcolor=#002F6C>102 RsLPstOhj NLAW | PstOhj 2000(M) | PstOhj 83(MR/MA/MB) | PstOhj 82MR | PstOhj 82R
탑재형
기갑차량
빅커스 비질런트R
공대지
고정익기
AS.11R
'''[[지능탄|
유도포탄
]]'''
지대지
BONUS 155 (155mm, K-9 FIN)
공대지 (ALCM)
AGM-158A JASSM
함대함
{가브리엘 V} | RBS 15 Mk.(2/3) | P-15UR
지대함
RO 06 | MTO 85(M) | MTO 66R | RO 63R
'''[[어뢰|
어뢰
]]'''
경어뢰
{Tp 47 SLWT} | Tp 45
보병
ItO 15 | ItO 05M | ItO 86(M)R | ItO 78R
차량
ItO 05 (유니목 ASRAD)
단거리
XA-181 ItO 90M
중거리
ItO 12 NASAMS 2 | ItO 96R | ItO 79R
장거리
{다비즈 슬링}
'''
개함방공
'''
{RIM-162C ESSM 블록 2} | 움콘토-IR Mk.2
단거리
AIM-9(M/X) 사이드와인더 | AIM-9(B/P-2)R | AIM-4(F/G) 팰콘R | R-60R | R-13MR | R-3SR
'''
중장거리
'''
AIM-120(B/C-7) AMRAAM
유도폭탄 AGM-154C JSOW | GBU-(32/38) JDAM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685050><colcolor=white>북미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남미
서유럽
'''
중부유럽
'''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북유럽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동유럽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
동아시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동남아시아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
남아시아
'''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
중앙아시아
'''
서아시아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
오세아니아
'''
아프리카}}}}}}}}}}}}


[1] 개발 당시 이름은 MX-904였으며, 이후 AAM-A-2와 GAR-1 (Guided Aircraft Rocket의 약자) 을 거쳐 최종적으로 AIM-4라는 이름이 된다.[2] 13kg이였다는 말도 있다.[3] 하지만 F-102, F-106과 같이 AIM-4 전용 사통장치가 갖추어진 기체를 몬 파일럿들에겐 그런 불만이 없었기에, F-4의 사통장치 자체가 AIM-4와는 맞지 않아 벌어진 일이라는 주장이 있다. #[4] 정확하게는 AIM-7 후기형같이 부스트-서스테인 모터가 달리게 된다.[5] 1970년에 XAIM-4H라는 근접신관이 달리고 유도 성능이 더욱 개선된 프로토타입이 개발되긴 했었지만 생산되지 못 했다.[6] 다만 통상 탄두를 단 AIM-26B도 있었으며, 이 모델은 수출까지 되었다. 추가적으로 두 모델 전부 제대로 된 근접 신관을 달고 있었다.[7] AIM-54와 같은 반능동 + 능동 유도 방식이라는 주장이 있다.[8] 이론상의 최대 사정거리이기에 실제로는 더 짧다.[9] AIM-47과 AIM-54의 외관상 차이점은 AIM-54의 길이가 소폭 길고 더 두꺼우며, AIM-47의 안정익이 앞으로 더 길다는 것 정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