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66여단에 대한 내용은 제66여단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제1포병여단 | 제2포병여단 | 제3포병여단 | |||||
파일:제5포병여단 마크.png | |||||||
제5포병여단 | 제7포병여단 | 화력여단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사단 포병여단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수도기계화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1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3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5보병사단 포병여단 | ||||
제6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7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8기동사단 포병여단 | 제9보병사단 포병여단 | ||||
제11기동사단 포병여단 | 제12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15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17보병사단 포병여단 | ||||
제21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22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25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28보병사단 포병여단 | ||||
제60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66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72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73보병사단 포병여단 | ||||
제75보병사단 포병여단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 |||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제66보병사단의 예하부대 | |||||
제187보병여단 | 제188보병여단 | 제189보병여단 | |||
포병여단 | |||||
※ 군 공통의 직할부대(본부근무대, 의무근무대 등)는 소속 부대 문단 참고 |
제66보병사단 포병여단 第66步兵師團 砲兵旅團 The 66th Infantry Division Artillery Brigade | ||||||
전군제일 횃불포병 | ||||||
창설일 | 1975년 9월 30일(제66보병사단 포병연대) 2020년 12월 1일(제66보병사단 포병여단) | |||||
상징명칭 | 횃불포병여단 | |||||
소속 | 대한민국 육군 | |||||
상급부대 | 제66보병사단 | |||||
규모 | 여단 | |||||
역할 | 66사단 예하 여단 화력지원 | |||||
여단장 | 대령 000(육사 00기) | |||||
위치 | 경기도 가평군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육군 육군동원전력사령부 제66보병사단 예하 제66보병사단 포병여단.2. 상세
여단장은 대령이며 예하 대대장은 중령급 지휘관이다.경기도 가평군 일대를 담당한다.
원래 명칭은 제66사단 포병연대였으나 국방개혁 2.0 기본계획에 의거, 상비사단과 지역방위사단이 개편돼 2020년부로 제66보병사단 포병여단으로 격상되었다.
3. 예하부대
3.1. 여단직할대
3.2. 제361포병대대
- 본부포대
- 1포대(알파 포대)
- 2포대(브라보 포대)
- 3포대(찰리 포대)
3.3. 제362포병대대
- 본부포대
- 1포대(알파 포대)
- 2포대(브라보 포대)
- 3포대(찰리 포대)
3.4. 제363포병대대
- 본부포대
- 1포대(알파 포대)
- 2포대(브라보 포대)
- 3포대(찰리 포대)
3.5. 제935포병대대
- 본부포대
- 1포대(알파 포대)
- 2포대(브라보 포대)
- 3포대(찰리 포대)
4. 출신인물
4.1. 여단장
볼드체는 대장 진급이 된 연대장 및 여단장. |
역대 제66보병사단 포병여단장 | |||||
역대 | 이름 | 계급 | 임관 | 비고 | 기타 |
초대 | 000 | 예) 대령 | 육사 00기 | 前 연대장 | |
00대 | 000 | 대령 | 육사 00기 | 現 여단장 |
4.2. 장교/부사관
4.3. 병
- 정승제 (인터넷 강의 수학 강사)
5. 기타
5.1. 근무환경
KH179 155mm 견인포와 K-711 5톤 카고트럭을 운용했는데, 현재는 어떤 무기와 장비를 운용중인지 확인 요망.주둔지 막사는 신식이고, 나름 큰 PX와 병영식당을 갖춰 생활 환경은 좋은 편이다.
주특기가 전포라면 관절을 위해 묵념... 종종 특정 보직에 인원이 없거나 부족해서 타 주특기 인원이나 간부가 역할을 분담하는 상황도 있었다. 운전병들은 주로 수송부에서 일과를 했는데, 배차는 적고 차량은 노후화되고 정비병은 부족해 차량 정비가 군생활의 대부분이었다. 훈련 끝나고 차가 퍼져서 계속 정비만 했더니 다른 훈련이 코 앞인 식. 주둔지가 좁지는 않다 보니 이들은 차량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는 메리트가 있어서 타 인원들이 차량 탑승을 부탁하기도 했다. 통신병들은 대개 그렇듯 전선이 있는 곳이면 이곳 저곳 불려다니기도 하고, 훈련 직전은 가장 민감해지는 순간이었다. 많은 병들, 특히 전포들은 FDC나 보급병 등을 부러워하곤 했다.
동원사단 특성상 물자 보급이 후순위인지라 M16 소총 수준까진 아니어도 K1 방독면, 개구리 무늬 판초우의같은 물건을 쉽게 볼 수 있었다. 물론 병 대비 간부 수가 많아 레인코트를 쉽게 물려받을 수 있었다. 그래도 구형 군장과 엑스반도는 2020년대 들어서 대체가 완료됐다.
과거 모 동원전력사령관의 지시로 전 부대 연간 300km 행군, 그 중 1회 이상 100km 행군을 실시한 적이 있었다. 다행이라면 어느 시점부터 유격 훈련은 사라졌다는 것.
예비군 동원훈련 때는 견인포를 보고 한숨을 내쉬는 예비역을 쉽게 볼 수 있었다. 아무래도 대다수의 인원들은 현역 부대가 자주포 부대였을테고, 소수의 견인포 부대 출신들은 견인포병이 어느 정도로 힘든지 잘 알고 있을테니... 현역 수의 10배는 되는 예비역들을 위해 치장창고에서 하루 종일 상하차를 하고 견인포 방렬 시범을 보이는 현역들도 한숨을 내쉬기는 마찬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