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0 07:09:19

456번 지방도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강원특별자치도지방도 파일:Korea_Local_Highway_logo.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일반 지방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D50037> 경기 <colcolor=#000,#e5e5e5> 349 원주 - 양평 · 372 파주 - 화천 · 387 남양주 - 철원 · 391 양평 - 화천
충북 519 영월 - 쌍용 - 단양 · 531 충주 - 원주 · 595 단양 - 고씨굴 - 영월
경북 910 봉화 - 삼척
북한 463 화천 - 철원 - 이천
남북 403 홍천 - 양구 · 407 춘천 - 화천 · 409 원주 - 횡성(서원) · 411 원주(신림) - 횡성(둔내) · 415 영월 - 강릉 · 421 정선 - 삼척 · 427 태백 - 삼척 · 451 홍천(내촌) - 인제 · 453 인제 - 양구
동서 406 횡성 - 동홍천 · 408 홍천 - 평창 · 410 평창 - 정선 - 강릉 · 414 정선 - 태백 · 418 인제 - 양양 · 420 홍천 - 평창 · 424 홍천 - 삼척 · 426 인제 - 고성 · 444 홍천읍 - 인제 · 446 인제 - 홍천(내면) · 456 평창 - 대관령 - 강릉 · 460 화천 - 양구 · 494 서홍천 - 횡성
시군 404 원주(문막 - 귀래) · 416 삼척(신리 - 호산) · 442 횡성(추동 - 새말) · 461 화천(다목리 - 간동) · 464 철원(지경 - 월하) }}}}}}}}}
국지도 | 지방도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1. 개요2. 경로3. 역사4. 현황

1. 개요

강원특별자치도지방도 중 하나이다.

2. 경로

평창군 진부면과 강릉시 성산면을 이으며, 영동고속도로 옆을 지나간다. 영동고속도로와는 대관령IC(舊 횡계IC)에서 만난다. 도로명은 전 구간이 경강로에 속한다.

3. 역사

일제강점기 시절 비포장 흙길이 조성되었고, 감자, 고구마 마을로 불리는 강릉(명주군)을 수도권과 이어주는 유일한 통로 역할을 했었다. 강릉의 발전사와 맥락을 같이 한 도로이다.

1980년대 초반까지도 폭설이 오면 엉망진창이 되어 차량통행에 상당한 지장을 초래하곤 했다. 2000년대 초반까지도 고속국도 구간이었으며, 그만큼 사건 사고도 많았다.

본래 이 도로의 대관령 구간은 6번 국도와 영동고속도로가 공용하던 구간이었는데, 6번 국도가 1991년 진고개로(진고개)개통과 동시에 그쪽으로 노선 지정이 변경되면서 이 구간을 456번 지방도로 격하됐다. 그때부터 영동고속도로 확장 전까지 456번 지방도와 영동고속도로가 이 구간을 공용했다.

그러다 영동고속도로 확장 공사로 대관령 구간을 새로 뚫으면서 영동고속도로는 새로 뚫린 구간으로 지정이 변경되었고, 해당 구간은 456번 지방도만 쓰게 되었다. 즉 이 도로의 대관령 구간은 대한민국에서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로 모두 지정된 적이 있는 유일한 도로다.

그 높은 대관령을 그대로 타넘기 때문에 한때 고속도로였다고 믿기 어려울 정도의 시설이며, 이 구간만 접어들면 고속도로를 쌩쌩 달리던 자동차들도 예외없이 꼬불랑거리는 이 길에서 거북이 운행을 해야 했다.

겨울에 눈이라도 내리면 바로 교통이 통제되어 꼼짝없이 갇히는 등 애환이 많았던 길. 하도 급구배라 여름에는 경차는 물론이거니와 이 도로가 아직 현역이던 당시에 자동차세가 저렴해 수요가 있던 1800cc급 저배기량 중형차들도 에어컨을 껐다 켰다 하면서 통과해야 할 정도였다.[1] 오죽하면 도로공사에서도 좀 찔렸는지 이 구간은 "국도겸용구간"이라고 해서 고속도로긴 한데 자동차전용도로에서 해제시켜 무료로 개방했다.[2] 영동고속도로 확장이 막 결정되었을 때 이 길을 그대로 왕복 4차선으로 늘리려는 꼼수를 부렸다가 지역 주민들이 벌떼같이 들고일어나는 바람에 터널을 뻥뻥 뚫은 지금의 형태가 되었다는 얘기가 있다.[3][4]


영동고속도로의 확장 이후로 강릉시 성산면 서쪽 구간 중 영동고속도로와 중복되었던 구간은 456번 지방도로 격하되었고 동쪽 구간은 35번 국도에 포함되었다.

4. 현황

대관령 정상 부근에서는 옛 대관령 휴게소를 지나가는데, 강릉 방향 표시를 아주 조그맣게 해 놓는 등 도로 표시판이 어정쩡하게 되어 있으므로 정신을 차려야 길을 잃지 않는다.

대관령이 꽤 유명하기 때문에 지방도 격하 이후로도 순전히 대관령을 방문하는 사람들로 인해 교통량은 많다. 영동고속도를 타고 대관령을 넘으면 중간에 새는 길 없이 바로 강릉으로 빠지기 때문에 대관령IC(구 횡계 IC)에서 나와서 456번 지방도를 이용하는 것이 더 빠르기 때문. 강릉 쪽에서 대관령에 인접한 성산면 등 일부 지역도 거리상으로는 고속도로보다 456번 지방도를 통과하는 것이 가깝기는 한데 선형이 워낙 개판이라 소요시간은 별로 차이나지 않는다. 무슨 펜션 등 산골짜기를 방문할 예정이 아니라면 그냥 영동고속도로 대관령 구간을 넘어 강릉에서 빠진 다음 거슬러오는게 더 낫다.

한때 고속도로였기 때문인지 이 구간에 2개의 휴게소가 있었다. 옛 대관령휴게소와 구산휴게소가 그것이다. 옛 대관령휴게소는 대관령양떼목장 진입로로 재활용되고 있으며, 구산휴게소는 폐쇄 후 그 자리에 강릉국토관리사무소가 들어섰다.

강릉시에서 이 지방도(대관령 옛 도로 구간)를 폐지하여 이 구간에 루지를 설치해 루지파크를 개발하는 사업을 추진중이지만 강원도와 평창군에서 지방도 폐지 불가 입장을 밝혀 해당 사업은 답보상태에 있다.기사 게다가 루지를 설치한다면 대관령을 무조건 돈 내고 넘어야 하기 때문에 지역주민들에게 큰 불편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게다가 걸어서 넘을수도 없으며, 대관령IC-(강릉JC 경유)-강릉IC 사이에 있는 자연마을이나 펜션 등은 들어가지도 못한다.


[1] 세제개편 이전의 헛점을 노린 1.8 중형차들의 경우 다운사이징을 하는 대신 과급기를 달아 부족한 출력을 보충하는 요즘 중형차와는 달리 자연흡기 저배기량이라 일상주행도 상당히 답답했다고.[2] 도로법 제23조에 의하면 고속국도는 대통령령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하고, 제48조의 자동차전용도로 항목에는 고속국도가 당연히 적용된다는 내용은 없으며, 고속도로의 자동차전용도로 지정 여부는 한국도로공사에 위임 가능하다고 규정되어 있다.[3] 지금도 이 구간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특히 새벽에 운전하기엔 위험한게 가로등이 없는게 특징이다. 예전 공포라디오 레아리에서 이곳 456번 지방도에서 새벽에 겪은 소름끼치는 일화가 있다.https://youtu.be/oNQXZp9ZWgY[4] 선형이 좋지 못한것도 있지만 이 구간을 확장공사 하여 정식 고속도로로 편입시켜버리면 456번 지방도가 없어지는 정신나간 상황이 벌어진다!!! 그러면 지역 주민들이 마을 도로로 활용할 도로가 없기 때문에 당연히 반대할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