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4 21:43:51

어서오세요, 305호에!

305호에서 넘어옴
와난 작가 장편 작품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2d2f34><width=200> 파일:어서오세요 305호에 로고.png ||<width=200> 파일:하나 웹툰 로고.png ||<width=200> 파일:집이없어 로고.png ||

상세정보 링크 열기

파일:네이버 웹툰 로고.svg 네이버 웹툰 연재작
{{{#!wiki style="margin:-11px;margin-top:-16px;margin-bottom:-5px" PLAY툰 브랜드웹툰 연재종료 }}}나무위키에 문서가 있는 전체 네이버 웹툰 연재작

어서오세요, 305호에!
파일:어서오세요 305호에.jpg
장르 일상, 개그, 드라마, 퀴어
작가 와난
연재처 네이버 웹툰
네이버 시리즈
연재 기간 2008. 03. 03. ~ 2011. 09. 29.
연재 주기
단행본 권수 2권 (2012. 11. 28.)
이용 등급 전체 이용가

1. 개요2. 줄거리
2.1. 에피소드
3. 연재 현황4. 등장인물5. 평가6. 단행본7. 미디어 믹스
7.1. 라디오 드라마
8. 기타9. 외부 링크

[clearfix]

1. 개요

한국의 드라마 웹툰. 작가는 와난. 줄여서 305호라고 부른다.

대중매체에서 다루기 힘든 소재인 성 소수자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작품의 특징은 은근한 개그와, 시트콤적 구성, 그리고 그것을 관통하는 성소수자에 대한 깊은 통찰이다. 왜 제목이 《어서오세요, 305호에!》이냐면, 주인공김정현김호모(홈씨)가 사는 집의 호수가 305호이기 때문이다.

2. 줄거리

평범하게 자라온 대한건아 김정현, 그리고 그의 룸메이트 김호모.
하나부터 열까지 정반대인 그들이 겪는 민감하고 민망한 이야기들.

2.1. 에피소드

총 6개의 에피소드.

각 에피소드마다 성소수자들의 다양한 모습이 그려지는데, 거의 모든 에피소드에 '성소수자의 존재를 몰랐던 이성애자들이 그 존재를 알게 되었을 때, 여기에 대응하는 다양한 방식들'이 중심 소재로 함께 그려진다.

15화에 주인공들의 뒷모습 일러스트가 있다. 이 일러스트는 나왔다 안 나왔다 하다가, 42화 이후로 새로 그려졌다. 매 에피소드가 끝날 때마다, 그 에피소드의 주요 주인공이 한 명씩 뒤를 돌아본다.

3. 연재 현황

베스트 도전을 거치지 않고 도전만화에서 10화만에 웹툰에 입성, 네이버 웹툰에서 2008년 3월 3일부터 매주 목요일에 연재됐다.

2011년 9월 22일 총 171회로 완결되었고 9월 29일에 후기가 올라왔다.

2015년 10월 13일에 유료화되었다.

4. 등장인물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5. 평가

인기, 작품성, 평가 모두 호평을 받는 작품이며 네이버 웹툰 명작 중 하나로 손꼽힌다.

BL이나 백합으로서 '(흥미, 상업성 위주의)동성애 코드'가 아니라 '퀴어 사회'와 관련된 내용을 그려내려 하는 시도 하나만큼은 높이 살 만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무엇보다도 매 화 간의 갭이 약간씩 존재하기는 하나 전체적으로 연출이나 감정 묘사 면에서 대단하다는 평가가 뒤따르는 수작.

성소수자에 대해 알지 못했던 사람들이 받아들이는 것과는 별개로 일단 그에 관련한 것을 '알게' 해주는 매개체의 역할도 수행해냈다. 우호적인 입장을 취하는 이들도 굳이 알아보지 않는 이상 잘 모르는 부분이 있게 마련인데, 그런 면을 자연스럽게 잘 설명해냈다.

성 소수자를 다룬 작품이 빠지기 쉬운 일률적인 비극화, 동정화, 혹은 전투적인 反호모포비아의 패턴에서 벗어나 성 소수자의 인권신장이라는 극히 이념적인 이슈에만 치우치지 않고 보다 폭넓은 인간관계의 복합성을 그려내는, 한국에서는 보기 드문 시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다만 시도는 좋았으나 그 과정을 풀어나가는 것이 미숙하다는 지적도 많다. 성소수자들의 인간군상(게이, 레즈비언, 호모포비아 등등…)을 표현하고자 하면서도, 그렇게 깊은 내용까지는 파고들지 못하고 수박 겉핥기 식으로 넘어가면서 괜히 진지하게 묘사하기 때문이다. 괜히 진지하게 힘주지 말고 그냥 캐릭터의 일상이야기로 풀어나갔으면 좋았을 거라는 의견도 있으며, 작가도 비슷한 생각을 했는지 웹툰에서 쓸데없이 진지했던 장면들을 단행본에서는 생략하거나 가벼운 분위기로 수정했다.

작품 자체적인 구성이 서로 다른 문제들을 안고 사는 퀴어들을 주제로 에피소드를 나열한 옴니버스식인 것이 구조적인 문제라면 문제. 내용적으로는 작품의 내용 전반이 퀴어 캐릭터들과 非퀴어 캐릭터들이 서로의 존재를 모르다가(또는 알고 있었지만 부정하다가) 인간적 관계를 맺어가기 시작하는 단계에서 나타나는 이야기거리들을 중심축으로 삼고 있다보니, 아무래도 이야기를 끌고 가기 힘든 구조다. 때문에 설정이 그냥 설정으로만 존재하는 면이 있으며, 특히 동성애자인 홈의 캐릭터가 지나치게 애매하다는 비판을 받는다. 연재 후반부에 '승호'라는 남친 캐릭터가 추가되긴 했지만 딱히 게이라는 것이 부각된다고 보긴 좀 미묘하다.

이를 포함한 여러 비판들과 관련해서는 서울대학교 퀴어 자치언론인 queer fly의 기획기사 참조. 단, 이 글이 에피소드 3(부녀자와 BL)이 종료된 후의 휴재기, 즉 연재 초~중반기에 작성된 것임을 감안할 것. 해당 기사에서 지적하는 '동성애자의 삶이 다루어지지 않는다.' 등을 비롯한 여러 문제들은 에피소드 4 이후의 내용에서 완전히는 아니지만 어느 정도 해소되었다.

하지만 작품 내에서 등장하는 주역 퀴어 캐릭터들 역시 우리가 사회에서 마주할 수 있는 많은 성소수자와 같이 자신의 정체성 문제에 대해서 많은 고민을 하고 흔들리는 시기에 있거나 바로 얼마 전까지 그러했던 이들인 만큼, 이들 역시 어떤 측면에서는 '이성애자의 사회'에서 '성소수자의 사회'를 알아가는 위치에 있는 사람들이다.[8] 모든 성소수자가 자신을 '성소수자'라고 자신 있게 규정하고 쿨하게 살아갈 수 있는 세상이 아닌 만큼, 성소수자로서의 삶을 당당하게 살고 있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 어느 쪽도 아닌 애매한 위치에 있는 사람 등의 미묘한 위치와 사람들이 변화해 가는 과정들을 놓치지 않으려는 점은 좋게 평가할 수 있는 부분.

그리고 작가 본인도 위에서 제기된 문제점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듯 큰 에피소드가 시작 될 시점에서 1~2개월간 휴재한다. 아마 자료 준비 겸 쿨타임을 가지기 위한 용도인 듯. 연재가 후반부로 진행될수록 퀴어 사회에 대해 더 심도 있는 내용을 다루게 되다 보니, 작가 본인도 후반부로 갈수록 힘들어하는 모습을 많이 보인다.[9]

6. 단행본

단행본으로도 제작되었으며 연재가 끝난 후 한달 뒤에 학산문화사에서 1권이 발매되었고 2012년에 2권도 발매되었지만 3권은 아직도 소식이 없다. 자세한 건 해당 문서 참고.

7. 미디어 믹스

7.1. 라디오 드라마

305호 라디오 드라마 제작카페,『 虔(건)誠(성)建(건)聲(성) 』~정성으로 이루는 목소리

인기 웹툰답게 성우 지망생들이 모여 만든 라디오 드라마가 존재한다.

다만 아마추어들이기 때문에 연기가 좀 많이 불안하지만 꽤나 재미있게 새로 구성된 각본과 구성이 커버해준다. 오프닝곡과 BGM은 그 유명한 시드 사운드가 맡았다.

거의 한 달에 1회씩 공개되며, 1회당 약 30분~1시간 분량이다. 즉 라디오 드라마 1회당 웹툰 몇 회가 담겨져 있다. 매회 본편(라디오 드라마화 된 웹툰) 말고도 연기자들끼리 만든 오리지널 외전도 있다. 거기에 스태프가 직접 그린 현장 스케치나 일화가 담긴 '쾌남견문록' 글들은 상당히 재밌다는 평.

참고로 김호모를 맡은 최영수는 종종 BL 드라마CD에 참여한 그 쪽 연기에도 깊이가 있다고 한다. "게이 연기가 하루 이틀도 아니고... 이젠 생활이죠." 라고. 현재는 제작진 측이 다른 프로젝트로 바빠 상중 에피소드까지만 전 10화로 완결되어 있다가 제작진이 활동 종료를 선언함에 따라 무기한 제작 중단된 상태.

2013년 5월 4일 현재 재생이 되지 않는다.

305호 팬카페에서 만든다고 했지만 1화 녹음하고 프로젝트가 중단되었다.

8. 기타

9. 외부 링크



[1] 모든 조연은 검은색.[2] 눈썰미가 좋은 독자라면 알아챘겠지만, 주역 7인방의 말풍선 색은 모두 무지개색이며 이는 동성애자들의 상징 깃발 색과 같다. 실제로는 6색 무지개 깃발을 사용한다. 6색 무지개가 성적소수자의 상징이 된 유래는 무지개 문서 참조.[3] 더 전문적인 퀴어학 용어로는 디나이얼 게이라고 하는데 자기 자신의 정체성을 인정하지 않는 게이를 뜻한다. 에피소드가 진행되면서 동성애자인 스스로를 인정하고 연애도 한다.[4] 글씨색이 노란색이면 하얀바탕때문에 잘 보이지 않기때문에 귤색으로 설정하였다.[5] 15화에 처음 등장한 당시에는 말풍선에 색이 없었으나 16화부터는 주황색.[6] 단행본에서는 색이 사라졌다.[7] 무성애자 떡밥이 있지만 공식에서 밝히질 않고 끝내서 아직은 추측일 뿐이다. 그런데 단행본 부록에서는 홈을 좋아하는 듯한 내용이 있다. 사실 무성애자들도 연애감정을 못 느끼는 것이 아니다. 연애감정을 못 느끼는 것은 무로맨틱의 영역이다. 구민아 문서 참조.[8] 특히 오윤아의 경우, 스스로가 성소수자이면서도 호모포비아를 갖고 있고, 성소수자의 사회나 이성애자의 사회 그 어느 쪽에도 속하기를 거부했던 만큼, 에피소드 5에서는 이러한 부분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9] 별점이나 네이버 댓글, 혹은 네이버 자체의 심의 규정.[10] 110화가 나온 지 얼마 안 되어 나온 그림. 즉 113화 나오기 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